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2023년 6월] 산업동향
작성일
2023.06.02
Industrial Trends

산업 전반

2023년 3월 한국의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이 광공업과 서비스업 증가 등으로 증가했습니다. 소비는 양호하나 투자는 다소 주춤했습니다. 또한 투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감소했습니다.
3월 한국의 산업 활동
전산업 생산 광공업 서비스업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기성
‘23.3월(%) 1.6 5.1 0.2 0.4 ∆2.2 ∆3.3
3월 광공업 생산은 통신방송장비가 31.5% 감소했으나, 반도체와 자동차가 각각 35.1%, 6.5% 증가하며 전월대비 5.1%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부동산, 금융보험이 각각 3.1%, 1.8% 증가하면서 전월 대비 0.2% 소폭 증가했습니다. 소매판매는 준내구재가 1.1% 감소하였으나 내구재와 비내구재가 각각 0.4%, 0.7% 개선되며 전월 대비 0.4% 증가했습니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 투자가 0.5% 증가하였으나 선박 등 운송장비 투자가 9.7% 감소하여 전월 대비 2.2%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SOC 집행 증가 등으로 토목 공사 실적이 12.2% 증가했으나, 자재 수급 지연 등으로 건축 공사 실적이 7.6% 줄며 전월 대비 3.3% 감소했습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6p 상승했으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재고 증가, 기계류 내수출하 감소 등으로 0.3p 하락했습니다. 2022년 하반기 이후 실물경제 악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향후 경기흐름에 상하방 요인이 혼재한 모습을 보입니다. 생산측면에서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기대감, 서비스업 생산의 완만한 개선 흐름 등 긍정적 요인이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회복세 약화 가능성과 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수출, IT 부진 등 부담 요인이 있습니다. 소비·투자의 경우, 조특법 개정안 시행, 내수 활성화 대책 추진, 인플레이션 둔화, 소비자·기업심리 개선 등 긍정적 요인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감산에 따른 단기적 투자 조정과 건설경기 불확실성 가계부채 부담 등 리스크 요인이 있습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완성차 수출 규모가 월 60억 달러를 돌파하며 월 기준 최고 실적 기록’
→ 2월 생산은 전년도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증가 속 부품 공급 문제로 전월비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3월 내수는 지난해 부품 조달 문제로 인한 기저효과와 적체된 대기 수요로 전년동월비 20.6%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3월 수출은 친환경 자동차 수출 증가와 전년도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39.6% 증가하며,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 기록했습니다. 완성차는 95.7% 증가한 전기차 수출과 함께 미국과 EU로의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하며 64.2% 증가했습니다.

조선

‘생산과 수주 모두 증가하며 생산지표의 회복 지속’
→ 경기불황으로 세계 선박 수주량은 감소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친환경 선박에 강점을 보유하여 H-Line 해운의 LNG운반선과 CMA CGM, HMM의 메탄올 연료추진선을 대량 수주하였기 때문에 2월 수주는 전년동월비 62.6% 증가한 168만 CGT 기록했습니다. 2월 수입은 전년동월비 22.2% 증가하였는데, 생산지표 개선에 따른 기자재 수입 증가와 함께 중국으로부터 대규모로 수입된 선박블록의 영향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3월 수출은 고가의 러시아 LNG-FSU가 인도되었지만, 중소형 선박 중심으로 인도되며 전년동월비 24.3% 감소했습니다.

일반기계

‘중국 경기회복 지연으로 대중국 수출 부진 심화’
→ 2월 생산은 내수와 수출 모두 반등하여 전년동월비 8.6% 소폭 증가했습니다. 수출과 내수판매가 각각 12.8%, 7.0% 증가하면서 생산은 전년동월비, 전월비 모두 증가했습니다. 2월 수입은 24억 1,7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3.1% 증가했습니다. 3월 수출은 대중국 수출 부진과 전년동월 실적 호조의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0.8% 소폭 감소했습니다.

철강

‘생산 회복세, 글로벌 철강 가격 약세에 따른 수출 감소 지속’
→ 2월 철강 생산은 조업일수 감소 및 수출 부진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1% 감소했습니다. 2월 수입은 물량기준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년도의 높은 수입단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비 0.4% 감소했습니다. 3월 수출은 미국, EU, 아세안 등 주요 수출대상국으로의 수출 감소와 전년도의 높은 수출 단가에 의한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10.7% 감소했습니다.

정유

‘수출은 단가 하락으로 25개월 만에 감소 추세로 전환’
→ 2월 생산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며 전년동월비 0.5% 감소했습니다. 3월 수출액은 46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월비 16.6% 감소했습니다. 수출액은 항공유 중심의 수출물량 확대 및 정제마진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의 기저효과에 따른 상대적 수출단가 하락으로 전년동월비 감소했습니다. 수출물량은 전년동월비 3.4% 증가했지만 수출단가는 19.4% 하락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회복세 지연, 3월 수출은 42.3% 큰 폭 감소’
→ 2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43.9% 큰 폭 증가하고, 출하도 20.6% 증가하면서 가동률 또한 32.3% 상승했습니다. 2월 수입은 휴대폰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4% 감소했습니다. 2022년 11개월 연속 감소했던 수출은 2023년 1월 17.7% 증가로 전환했지만 재차 감소했습니다. 중국향 수출이 전년동월비 43.2% 감소, 대미국 수출이 40.8% 대폭 감소하고, 아세안(ASEAN) 지역 수출 역시 17.2%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반도체 경기 부진 현상 완화 조짐’
→ 2월 반도체 생산과 출하는 전년동월비 각각 41.8%, 41.6% 감소했습니다. 전월비 생산도 -17.1%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반도체 수요 감소 지속으로 전년동월비 재고 증가율도 33.5%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3월 수출액은 85억 9,8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34.5% 감소하였고 장기간의 증가세가 꺾 인 이후 8개월 연속 감소.

디스플레이

‘경기불황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수출 대폭 감소’
→ 2월 생산은 스마트폰, TV 등 주요 수요제품의 판매 부진으로 인한 패널 수요 둔화로 감소했습니다. 올해 3월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제품 판매 감소로 41.6% 감소했으며, 10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 수출은 직전 달, 생산은 전전 달 자료가 통계청 최신 자료임을 참고부탁드립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