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보건의료] [바이오] 한국 바이오산업 – 글로벌 첨단바이오 생산기지로 부상하다.
작성일
2023.06.02
한국 바이오산업

바이오의약산업을 중심으로 본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세계 각국은 바이오경제 시대를 맞아 바이오산업을 지속가능 성장동력으로 설정하고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우리나라 역시 정부의 끊임없는 R&D지원과 함께 선도기업의 혁신 활동으로 바이오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코드1)로 살펴본 바이오산업 분야의 생산액은 2021년 기준 약 21조 원으로 조사되었다2). 이는 10조 원을 하회한 2016년에 비해 5년간 연평균 17.8% 상승한 결과이다. 바이오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산업의 생산액과 수출액은 같은 기간 연평균 11.7%, 14.8%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보건의료당국의 신속대응 시스템과 함께 우수한 성능의 진단키트, 세계적인 수준의 백신·치료제 생산역량을 입증하며3)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표 1. 한국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의약산업의 성장
(단위: 조 원, %)
한국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의약산업의 성장
년도 2001 2006 2011 2016 2021 CAGR(%)
'01~11 '11~16 '16~21 '11~21
바이오
산업
생산 1.40 3.16 6.40 9.26 21.00 16.4 7.7 17.8 12.6
수입 0.42 0.94 1.56 1.46 4.77 14.0 △1.3 26.7 11.8
수출 0.64 1.35 2.75 4.63 11.86 15.7 11.0 20.7 15.7
바이오
의약
산업
생산 0.57 1.22 2.46 3.36 5.84 15.7 6.4 11.7 9.0
수입 0.16 0.74 1.23 1.24 4.07 22.6 0.2 26.8 12.7
수출 0.26 0.25 0.95 1.76 3.51 13.8 13.1 14.8 14.0
* 출처: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각년도)
최근 국내 제약사·바이오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해 R&D 및 설비투자를 확대하면서 한국 바이오의약산업의 외연이 확장되었다. 외부요인은 특허 만료를 앞둔 블록버스터급 바이오의약품이 증가하고, 미국, EU 등 주요국이 보험재정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장려4)하는 추세가 나타나 제조경쟁력을 확보한 국내 산업에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1. 특허 만료를 앞둔 블록버스터 첨단 의약품 건수와 매출액 전망
(단위: 십억 달러, 건)
한국 바이오산업
* 출처: McKinsey & Company(2022)를 참고하여 산업연구원 작성
표 2. 주요 바이오 CDMO 설비 현황 및 전망
(단위: kL)
주요 바이오 CDMO 설비 현황 및 전망
사명 2020 2021 2022 2023 2024
론자 318 324 324 340 460
삼성바이오로직스 364 364 424 620 620
베링거인겔하임 305 490 490 490 490
우시바이오로직스 54 151 268 332 456
후지필름 132 132 132 261 261
합계 1,173 1,461 1,638 2,043 2,287
* 출처: 시장자료를 취합 후 산업연구원 작성
정부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지난 2023년 2월, 정부는 환자 중심의 의료·건강·돌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계 패러다임 변화와 디지털·융복합 기술진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신시장 창출’ 및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5대 핵심과제로 구성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발표했다.
표 3.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비전 의료·건강·돌봄 디지털 전환으로 국민건강 향상
디지털·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목표 디지털 신시장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
주요과제 ①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
②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③ 첨단 융·복합기술 연구개발 강화
④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 창업 지원 강화
⑤ 법·제도 및 인프라 구축
* 출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범부처 합동, 2023.2.28
뒤이어 지난 3월에는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 조치로서,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지원 전략과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담은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표 4.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비전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목표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창출 글로벌 수준의 제약바이오 기업 육성
의약품 수출 2배 달성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달성
제약바이오 산업 양질의 일자리 창출
주요과제 ▶ R&D 강화 – 글로벌 신약 창출을 위한 R&D 투자 확대
▶ 수출 지원 –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및 수출지원 강화
▶ 인력 양성 – 제약바이오 융복합 인재양성
▶ 제도/인프라 개선 – 글로벌 수준의 규제 혁신 및 공급망 인프라 확대
* 출처: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23.3.24
외국인직접투자유치(FDI) 사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커지면서 국내 CDMO·CMO기업에 투입되는 바이오 소부장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정부도 글로벌 백신허브로 거듭나기 위해 적극적인 외투 유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유수의 바이오 원부자재 제조기업들은 바이오공정 생산을 위한 공장건축, 클린룸·생산시설 구축, 인력교육기관 설치 등 직접투자를 위한 MOU를 체결·협의 중이다.
표 5. 최근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기업의 국내 투자 사례
최근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기업의 국내 투자 사례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누적 글로벌 연간
최대 매출액
(십억달러)
3.5 0 8.5 51.6 3.4 15.6 7.2 15.6 54.5 35.4 4.9 61.5 14.6
독점 지위를
상실하는
블록버스터급
첨단의약품
(건수)
1 0 3 9 2 4 2 5 6 9 2 10 5
최근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기업의 국내 투자 사례
기업명 美 싸이티바
(’21.9)
獨 싸토리우스
(’21.11)
美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22.5)
獨 머크
(’23.5)
투자 내용 일회용 백 등 백신 원부자재 생산시설 구축 일회용 백 등 백신 원부자재 생산, 위탁개발·연구 서비스 바이오의약 원부자재 생산공장 건립 바이오의약 원부자재 생산공장 건립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및 언론보도를 취합하여 산업연구원 작성

정지은(je.jung@kiet.re.kr)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1) 국가표준 KS J 1009(바이오산업 분류코드)는 바이오의약산업, 바이오화학·에너지산업, 바이오식품산업, 바이오환경산업, 바이오의료기기산업, 바이오장비 및 기기산업, 바이오자원산업, 바이오서비스산업을 포함한다.
2)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각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3) 한국의 백신 위탁생산(CMO) 생산능력은 38.5만리터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고 독일(24.6만리터), 덴마크(14.4만리터) 보다 높은 수준(미국 BDO, 2021)
4) 미국 경쟁 촉진 행정명령(EO 14036, ’21.07.09.), HMA·EMA의 ‘바이오시밀러 상호교체 허용’ 공식 발표(’22.09.19)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