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15∼16일 APEC 통상장관회의가 열릴 예정인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연합뉴스 자료사진]
AI 활용한 무역혁신·다자무역협력 강화·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등 모색
16일 한미 고위급 양자회담 예정…미중·한중 양자회담 성사여부 '주목'
(제주=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가 1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이틀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오는 10∼11월 경주 APEC 정상회의 통상 의제 조율 등을 위해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서는 '트럼프발(發) 관세' 영향으로 보호무역주의 유행 속에 원활한 무역 확대를 위한 공조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회의 마지막 날 한미 고위급 통상 양자회담이 예정된 가운데 미중·한중 등 다양한 양자회담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통상 당국에 따르면 이날 개막한 APEC 통상장관회의에는 미국, 중국, 일본, 호주, 캐나다, 칠레 등 아태 지역 21개 회원국 통상장관을 비롯해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고위급이 대거 참석한다.
한국은 2005년에 이어 20년 만에 의장국 자격으로 이번 APEC 통상장관회의를 주관한다.
대외적으로 '무역 장관' 직함을 가진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의장을 맡아 이번 통상장관회의를 주재한다.
이번 회의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주요국 통상 분야 장관급이 모이는 다자 협력의 장으로, 무역·투자 자유화 및 원활화 등 다양한 통상 이슈와 역내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주최 측은 경주 APEC 정상회의 주제와 연계해 ▲ 무역원활화를 위한 인공지능(AI) 혁신 ▲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 지속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 등을 이번 회의 주제로 정하고 3개 세션을 구성해 논의를 이어간다.
개회식에 이어 열리는 '무역 원활화를 위한 AI 혁신' 세션에서는 통상 분야에서 AI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된다.
AI 관련 국제 통상 규범화 작업에 선도적 역할을 해온 OECD의 사무차장의 발제로 OECD AI 원칙 제정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며, 관세·통관 행정에서의 AI 활용, AI 표준 정보 공유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한다.
'다자 무역 체제를 통한 연결' 세션에서는 WTO 혁신 방안과 다자무역체제 회복을 위한 APEC의 역할을 모색한다.
WTO 사무총장이 발제자로 나서 WTO 개혁 및 다자무역체제의 미래를 위한 협력 방향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간다.
오는 16일 진행되는 '지속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 세션에서는 안정적 공급망 및 기후위기 대응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조 방안을 모색한다.
회의 기간 다양한 양자회담 가능성에도 시선이 쏠린다.
먼저 16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지난달 워싱턴 '2+2' 협의에 이어 한미 양자회담을 통해 고위급 통상 협의를 진행한다.
한미 통상 당국은 '2+2' 협의 이후 실무선에서 현재 관세·비관세, 경제 안보, 투자 협력, 통화정책 등 분야에서 의제를 좁혀가며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이 다양한 국가와 관세 협상을 진행하면서 한미 협의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고위급 접촉을 통해 구체적인 협상에 속도가 날지 주목된다.
미중 양자회담 성사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미중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제네바 합의'를 통해 상호관세를 각각 110%씩 파격적으로 내리기로 합의하는 성과를 냈다.
제주 회담에 '제네바 합의' 주역인 그리어 대표와 리청강(李成鋼)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이 모두 참석하는 만큼 관세 등 문제에서 보다 진전된 합의가 도출될지 주목된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개회사에서 "APEC을 둘러싼 대외 환경이 녹록지 않고 엄중한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 어느 때보다 APEC의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트럼프발 관세전쟁 등 혼란한 무역 환경에서 산업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세계 무역 원활화 등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번 회의 성과가 경주 APEC 정상회의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