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제주=뉴시스] 임재영 기자 =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목장에 조성한 태양광 패널과 풍력발전시설. (사진=뉴시스 DB) ijy788@newsis.com
제주, 재생e 간헐성 문제 해결할 '그린수소' 집중
"2035년까지 그린수소 연간 6만t 생산이 목표"
수소車·그린에너지시티 등 보급·활용 확대 정책도
지난 4월 '4시간' RE100 달성…"RE100 실현 이정표"
오영훈 "수소 단가 낮추는 방향의 정책 설계 희망"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70%까지 높이려고 합니다. 나머지 30%의 경우 제주의 화력발전소 3곳으로 전소 발전으로 전환하면 그 시점부터 RE100이 시작됩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 26일 산업통상자원부 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제주도는 현재 20% 수준인 재생에너지 비율을 10년 뒤인 2035년 70%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다. 풍력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되 재생에너지 특유의 간헐성 문제는 그린수소를 통해 극복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력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발전량과 수요량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발전량이 시간대별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시기에는 설비가 정상 가동이 가능한 상황이어도 발전량을 줄이거나 발전을 멈추는 '출력제어' 문제에 시달리게 된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꼽힌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한 수소인데, 수요를 넘어선 재생에너지를 수소 형태로 전환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지난 2020년부터 3.3메가와트(㎿)를 생산할 수 있는 행원 그린수소 생산시설에 대한 실증에 나섰고, 지난 2023년 8월 성공했다.
행원 그린수소 생산시설 성공을 바탕으로 오는 2026년까지 북촌에 12.5㎿급 생산시설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오 지사는 "장기적으로 2035년까지 그린수소를 연간 6만t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도는 그린수소 생산뿐 아니라 보급 및 활용 방안도 적극 모색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수소차량 보급이다.
제주도는 오는 2030년까지 버스 300대, 승용차 950대, 청소차 50대, 트램 7대까지 수소차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도시가스 배관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수소 혼합이 가능한 배관망을 확보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제주 화북2지구 5500세대를 '그린에너지시티'로 지정해 에너지원을 그린수소로 공급하려는 계획도 있다.
오 지사는 "지난 2022년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비전 발표 이후 3년 동안 그린수소 생산·보급·활용이라는 전주기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성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신용한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제주도의 그린수소 정책을 두고 "정부도 'K-탄소중립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여러 케이스를 발굴하고 있다"며 "그린수소가 다른 지역에 모두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탄소중립 측면에서 제주도는 최고의 시범케이스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와 수소를 합쳐 RE100을 달성하려는 제주도의 비전이 머나먼 이야기는 아니다.
제주도는 이미 지난 4월 14일 4시간 동안 RE100 상태를 달성한 바 있다.
당시 전력수요량은 553~569㎿h였는데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572~580㎿h를 기록했다. 제주 전역의 전력수요를 감당하고도 초과한 잉여 전력을 육지부로 송전할 정도였다.
제주도 관계자는 "에너지대전환을 추진하는 제주의 방향이 옳다는 것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제주가 RE100 실현을 위한 실증 무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상징적인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높이기 위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오 지사는 "현재 킬로그램(㎏)당 1500원 단가로 수소를 상용화해 거래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면 더 낮은 가격에 수소를 공급할 여건이 되고, 수소차 보급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며 "수소 단가를 낮추는 것이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높이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되므로 그런 방향으로 중앙정부가 정책을 설계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정부에서는 수소에 대한 지원 정책이 관심 밖에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 정책과 수소 관련 내용이 국정과제에 대폭 반영되며 관련 지원정책이 가능해지지 않을까 싶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공감언론 뉴시스 yeodj@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5.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