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로봇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로봇
  • 대한민국 로봇산업의 개념 및 특징 내용닫기
    대한민국 로봇산업의 개념 및 특징
    지능형 로봇은 외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장치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촉진법」 제2조)로 적용 및 응용 분야에 따라 제조로봇, 서비스로봇으로 구분되며 후방산업인 로봇부품‧SW로 구성된다.
    "로봇의 분류"
    제조로봇 -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공정 사용 / 서비스 로봇 - 수술, 서빙, 안내, 배송 등 사용 / 로봇 부품 SW - 로봇 지각, 인지, 동작 구현에 사용 이미지 크게보기
    로봇산업의 특징은 연결성, 지능화,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하고 새로운 비즈니스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첨단산업이며, 제조로봇은 AI, 클라우드 등과 융합하여 지능화되고 제조 현장의 유연 생산과 생산성 증대를 견인하고 있다.
    한편 서비스로봇의 경우 최근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복지, 안전, 물류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등
    로봇의 활용성 증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의 로봇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로봇산업은 타 산업과 연계가 용이한 융합산업으로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고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과점시장으로
    중국, 일본, 미국, 독일, 한국 등 Big5 국가가 전체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 로봇 분야별 국내외 시장 규모 및 현황 내용닫기
    로봇 분야별 국내외 시장 규모 및 현황
    세계 로봇시장은 '20년 기준 약 243억불 규모(제조로봇 132억불 및 서비스로봇 111억불)로
    제조 로봇은 8.5%, 서비스로봇은 10.2%의 성장세('15~'20)를 보이고 있다.
    세계 제조로봇 시장은 '24년까지 179억불, 서비스로봇 시장은 162억불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World Robotics 2021, IFR)
    ‘21년 로봇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로봇산업 매출 규모는 '20년 기준 5.5조원으로 연평균 5.4%('15~'20) 성장을 통해
    ’24년 6.7조원 규모로 전망되며, 제조로봇의 경우 2.1%, 서비스로봇 6.4%, 로봇부품 11.7%가 성장할 것으로 각각 전망되고 있다.
    제조로봇의 경우 팬데믹 이후 연평균 8% 성장을 통해 ‘20년 132억불에서 ‘24년 179억불로 성장이 예상되며 세계 주요 제조로봇 기업으로는
    ①FANUC(日, 10%) ②ABB(스, 10%) ③YASKAWA(日, 8%) ④KUKA(中, 7%) ⑤MITSUBISHI ELECTRIC(日, 5%)가 있으며
    이들 Top5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제조로봇 기업 Top5"
    FANUC, ABB, YASKAWA, KUKA, MITSUBISHI 이미지 크게보기
    국내 제조로봇의 매출 규모는 ‘20년 2.86조원으로 연평균 2.1% 성장, ‘24년 3.1조원으로 전망되며,
    주요 기업별로는 현대로보틱스(‘20년 매출 1,909억원), 고영테크놀러지(1,795억원), 로보스타(1,068억원), 티로보틱스(606억원) 및
    신성이엔지(478억원) 등이 있다.
    "국내 주요 제조 로봇 기업 매출규모"
    현대로보틱스 - 1,909억원 / 고영테크놀러지 - 1,759억원 / 로보스타 - 1,068억원 / 티로보틱스 - 606억원 / 신성이엔지 - 478억원 이미지 크게보기
    서비스로봇의 경우 비대면 서비스 시장 확대로 의료, 청소, 물류로봇 수요가 증가, 연평균 10% 성장을 통해
    ‘20년 시장 규모는 111억불에서 ‘24년 162억불로 성장이 예상된다.
    주요 글로벌 기업으로 ①INTUITIVE SURGICAL 수술로봇(美, 13%) ②DJI 드론(中, 13%), ③Daifuku 물류로봇(日, 5%)
    ④IROBOT 청소로봇(美, 3%), ⑤DELAVAL 농업로봇(스웨덴, 1%) 등이 있다.
    "주요 서비스 로봇 글로벌 기업"
    INTUITIVE SURGICAL, DJI, Daifuku, IROBOT, DELAVAL 이미지 크게보기
    한편 국내 서비스로봇 매출 규모는 ‘20년 0.8조원으로 고성능·고가격의 수술로봇 상품화 등으로
    연평균 6.4% 성장해 ‘24년 1.1조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 주요기업으로는 LG전자(‘20년 매출 856억원, 로봇부문), 삼성전자(779억원. 로봇 부문), 유진로봇(577억원), 에브리봇(491억원) 및
    휴니드테크놀로지(341억원) 등이 있다.
    "국내 주요 서비스 로봇 기업 매출규모"
    LG전자 856억원, 삼성전자 779억원, 유진로봇 577억원, 애브리봇 491억원, 휴니드테크놀로지 341억원 이미지 크게보기
    로봇부품의 경우 다품종 유연생산과 연계된 부품(그리퍼, 컨트롤러 등) 시장의 고성장이 예측되며,
    일본이 하드웨어에서, 미국·유럽은 소프트웨어에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로봇부품 시장은 '20년 1.7조원으로, 구동용 부품(30.4%)과 제어용 부품(25.8%)이 국내 부품 시장의 5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기업으로는 삼익THK(’20년 매출 726억), 원에스티(481억), 오토닉스(470억), 세메스(329억), 알에스오토메이션(327억) 등이 있다.
    "국내 주요 로봇 부품 기업 매출규모"
    삼익THK 726억원, 원에스티 481억원, 오토닉스 470억원, 세메스 329억원, 알에스오토메이션 327억원 이미지 크게보기
  • 최근 산업 트렌드 내용열기
    최근 산업 트렌드
    제조로봇 분야에 있어서 한국은 일본‧유럽기업에 비해 후발주자이나, 협동로봇 분야에 집중투자하여 경쟁 중이며
    AI 및 자율주행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응용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현대로보틱스 - 국내 1위로 최근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협동로봇 사업 진출
    • 두산로보틱스 - 자체 R&D를 통해 협동로봇 분야 상용화 및 세계시장 진출
    • 한화 - 자체 R&D를 통해 협동로봇 분야 상용화 및 세계시장 진출
    • 레인보우로보틱스 - 협동로봇의 핵심부품(구동기, 제어기, 브레이크, 엔코더) 자체 생산
    • 현대위아 - 지능장비, 협동로봇, 물류이동로봇, 주차로봇 등 통합공정솔루션 개발 가속화
    이미지 크게보기
    "국내 기업 협동로봇 사업 진출 사례"
    현대 : 협동로봇 YL012, 한화 : 모바일 협동로봇, 두산 : 협동로봇 M시리즈, 레인보우 : RB시리즈 이미지 크게보기
    서비스로봇의 경우 최근 들어 국내 대기업의 로봇기업 인수합병‧지분참여 및 기존 사업모델에 로봇기술 접목 등을 통해
    로봇 분야로의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최근 국내 대기업 서비스로봇 진출 사례"
    최근 국내 대기업 서비스로봇 진출 사례 표로 기업, 세부내용 정보제공
    기업 세부내용
    HYUNDAI
    현대자동차
    보스톤다이나믹스 인수(’21.6) 및 웨어러블 로봇(벡스, 첵스, 맥스 등), 서비스 로봇(DAL-e), 마이크로 모빌리티(모베드, PnD) 3대 로봇 분야 개발 중
    LG전자
    LG전자
    국내외 로봇 기업에 지분투자* 및 ‘클로이’ 시리즈를 출시하여 호텔, 병원, 레스토랑 등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
    • 로보스타(800억, 33.4%), 보사노바로보틱스(300만불), 엔젤로보틱스(30억원), 아크릴(10억원), 로보티즈(90억원) 등 로봇 제조 관련 업체 인수에 약 960억 투자
    SAMSUNG
    삼성전자
    봇과 AI 등에 향후 3년간 240조원 규모 신규 투자를 발표하고 AI 로봇, 웨어러블 보행보조로봇(GEMS-H) 개발하여 출시
    "기존 로봇 사업 확장 사례"
    기존 로봇 사업 확장 사례 표로 기업, 세부내용 정보제공
    기업 세부내용
    네이버랩스 로봇친화형 빌딩(네이버1784) 건립하여 생활 속 테스트베드 실현 및 AI·로봇·클라우드(ARC) 기반 新 비즈니스* 추진
    통신 3사 로봇의 설치부터 원격관제, AS, 네트워크 구축까지 로봇 활용 디지털플랫폼* 사업에 투자
    • 방역로봇 구독서비스(KT, SKT), 네트워크 기반 약제 배송로봇 서비스(LG유플러스)
    자율주행기업 제품 중심에서 로봇배송 플랫폼(뉴빌리티), 자율주행로봇 플랫폼(트위니) 등 로봇을 활용한 서비스플랫폼 사업으로 확대
    현대차 : 마이크로 모빌리티, 네이버랩스 : 엠비덱스/브레인리스봇, KT : 로봇플랫폼 이미지 크게보기
  • 투자 성공 사례 내용닫기
    투자 성공 사례
    미국의 서비스로봇 개발, 제조업체인 B社는 미국 대형 체인망과의 대규모 로봇 공급계약 체결 후 안정적인 생산거점을 물색하던 중
    ①한국의 풍부한 인적자원, ②전후방 연관산업 생태계 발달, ③정부의 투자 지원정책 등을 고려하여
    ‘23년 상반기 국내 진출 결정 및 하반기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B社 서빙로봇"
    B社 서빙로봇 이미지 이미지 크게보기
    B社는 ‘23년 3월 1차 투자신고를 진행하였으며, 향후 5년간 총 40백만불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 내 R&D센터 설립을 통해 보안 및 감시 로봇 분야로의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
    동사는 애초 한국뿐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생산거점을 물색하였으나 연관산업 인프라 구축 및 미・중간 마찰 등에 따라 한국을 선택하게 되었다.
  • 정책 및 인센티브 내용열기
    정책 및 인센티브
    산업부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촉진법’ 정책심의회를 통해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19∼'23)을 수립하여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하는 로봇산업 육성정책을 수립하였고 이를 통해 ‘23년까지 국내 로봇시장 규모 15조원 달성,
    제조로봇 보급대수 70만대 달성 및 연매출 1천억 이상 로봇전문기업 20개 육성이라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국내 로봇 시장 규모 : 18년 5.7조원, 23년 15조원 / 제조로봇 보급 대수(누적) : 18년 32만대, 23년 70만대 / 매출 1천억원 이상 로봇전문기업 수 18년 6개, 23년 20개 이미지 크게보기
    세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표로 분야, 18년, 23년 정보제공
    분야 18년 23년
    국내 로봇시장 규모 5.7조원 15조원
    제조로봇 보급 대수(누적) 32만대 70만대
    매출 1천억원 이상 로봇전문기업 수 6개 20개
    또한 주요 추진과제로는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1)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2) 분야 집중 육성 및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가 있다.
    1) 3대 핵심부품 : 제어기, 센서, 그리퍼
    2) 4대 서비스로봇 : 로봇SW 플랫폼, 잡는 기술, 영상정보처리, HRI(Human Robor Interface)
  • 한국의 투자 장점 5가지 내용닫기
    한국의 투자 장점 5가지
    1.전후방 연관산업 생태계 발달

    2020년 기준 GDP 대비 제조업 비중 25.4%세계 2위로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

    2.유수한 인적자원 보유

    2020년 기준 한국 경제활동인구 1천명 당 연구원 수 16.6명으로 1위 (2위 스웨덴 15.82명)

    3.다양한 투자유치 인센티브 제공

    조세감면, 현금지원, 입지 지원 등 인센티브 지원

    4.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11개 지자체 로봇 사업 전담기관 지정 및 사업 추진

    5. 광활한 FTA 영토 보유

    ‘22년 기준 전 세계 59개국과 FTA 체결 및 발효 중이며, 10+개국과 계약 진행 중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전후방 연관산업 생태계 발달 (2020) - GDP 대비 제조업 비중 25.4% 세계 2위
    • 유수한 인적자원 (2020) - 경제활동인구 1천명 당 연구원 수 16.6명으로 1위
    • 다양한 투자유치 인센티브 제공 - 조세감면, 현금지원, 입지 지원등 인센티브 지원
    •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 11개 지자체 로봇 사업 전담기관 지정 및 사업 추진
    • 광활한 FTA 영토 (2022) - 세계 59개국과 FTA 체결 및 발효 중 10+ 개국과 계약 진행중
    이미지 크게보기
  • 국내 로봇산업 클러스터 내용열기
    국내 로봇산업 클러스터
    정부는 지역별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지자체별 로봇산업 대표기관을 선정하여 로봇 특화 분야를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역 로봇산업 대표기관"
    지자체 출연기관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이 지역로봇 사업 담당
    지역 로봇산업 대표기관 표로 지역, 기관명, 로봇조직, 주요기능 및 역할 정보제공
    지역 기관명 로봇조직 주요기능 및 역할
    부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양로봇센터
    • 해양로봇 연구개발 및 시험 지원을 통해 지역의 로봇산업 육성 및 로봇 기업 성장 지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 URI_Lab, 부산
    • 로봇융합·핵심기술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통한 로봇 기업 육성지원
    대구 대구기계부품연구원 기계로봇연구본부
    • 대구시 로봇산업육성 정책개발, 로봇산업 인프라구축, 기술개발, 부품/모듈/제품 성능평가, 기업지원사업 등
    인천 인천TP 로봇산업센터
    • 기업지원, 인프라 구축 및 운영등 인천 로봇산업 육성전달
    광주 광주TP 산업기술총괄센터
    • 광주지역 로봇산업 육성지원
    대전 대전TP 지능형로봇센터
    • 로봇·지능형기계산업, 드론, 국방분야 사업기획·사업수행, 관련 기술 및 마케팅지원을 통한 산업생태계 활성화 등
    경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4차산업본부 미래기술팀
    • 경기도 로봇 실증 및 마케팅 지원을 통한 로봇산업 진흥
    경기 부천 부천산업진흥원 산업성장실 로봇융합팀
    • 부천시 및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R&D, 연구장비, 교육, 마케팅, 네트워크 지원사업 운영
    강원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경영기획본부 박문관경영팀
    • 로봇체험 및 전시, 토이로봇관 관리 등
    경북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미래전략사업실
    • 로봇 기술 사업화 및 표준화/시험 지원
    경남 경남TP 지능형기계본부
    • 첨단제조기술 선도 로봇산업 생태계조성
    "지역 로봇산업 기본방향"
    지역발전계획과의 연계성을 토대로 지역 로봇 특화분야를 선정, 관련 특화분야를 지속 확충할 계획
    지역 로봇산업 대표기관 표로 지역, 지역발전계획 연계성, 주요기능 및 역할 정보제공
    지역 지역발전계획 연계성 주요기능 및 역할
    부산 부산로봇육성조례 제정(‘20)
    • 산업용 로봇, 라이프케어 로봇, 해양 및 물류로봇
    대구 인선8기 공약
    “로봇산업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
    • 5대 서비스로봇 특화(방범, 충전, 돌봄, 물류, 배송)
    인천 지역 주요 전략산업으로 선정
    • 물류로봇, 엔터테이먼트 로봇 등
    광주 전자산업 육성지원 조례(‘22) 의료, 가전산업 융합 헬스케어 육성
    • 라이프케어 분야 특화(이동, 재활, 생활보조)
    대전 민선8기 4대전략산업과 연계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
    • 물류·국방 서비스로봇 산업
    경기 경기도로봇산업육성 종합계획(‘16)
    • 디지털 신기술(AI, 5G 등) 분야
    경기 부천 지역 5대 특화산업에 포함
    • 로봇부품산업 활성화
    강원 문화/교육 발전전략과 연계
    • 체험형, 교육용 로봇 특화
    경북 경북 로봇산업 발전전략 연계
    • 농업로봇, 안전 및 수중로봇, 건설로봇 등
    경남 경남 전략산업 육성계획 10대 전략 산업에 포함
    • 산업용 로봇 보급 확산 및 성능·신뢰성 제고
Invest KOREA담당자
기계/로봇/기타제조 PM
이철순 기간산업유치팀
T.+82-2-3460-7724
E.chulsoon_lee@kotr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