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부산시, 동북아 신해양 경제허브 프로젝트 제안
작성일
2012.09.05
조회수
624
제목 없음

연합뉴스에 따르면,

부산시는 3일 격화되고 있는 국가 간 해양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동북아 신해양 경제허브 구축 프로젝트'를 제안해 주목을 받았다.

   시는 이 프로젝트를 오는 12월 대선 후보와 각 정당의 공약에 반영시킬 '부산시 10대 과제'의 하나로 선정하는 한편 차기 정부의 국가사업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부산 신항 중심의 물류 허브 구축, 부산 북항 중심의 해양경제 특별구역 추진, 부산 남항 중심의 수산 식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3대 사업이 핵심 내용이다.

   ◇신항 중심의 물류허브 구축 = 21세기 신해양 경제시대에 우리나라가 해양경제 중심지로 발전하려면 세계적인 수준의 해양물류 허브 구축이 필요하다는 게 부산시의 주장이다.

   동아시아 경제통합체제 확산에 따라 중국과 일본 간 경쟁이 가열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해양경제 불균형의 기회(틈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신항 중심의 물류허브 구축 사업'의 명분으로 제시했다.

   부산시는 이를 위해 ▲친환경 LNG 선박 연료공급기지 건설, 조선·해양플랜트 수리기지 조성, 한·일 해협권 원스톱 공동물류기지 조성 등 세계 제2의 환적항만 지원 시설 조성 ▲글로벌 트리 포트 물류기지 구축 ▲국제 산업물류도시 내 공공물류서비스 시범 도입 등을 세부 추진사업으로 선정했다.

   글로벌 트리 포트 물류기지 구축 사업은 부산국제공항 건설(김해공항 가덕 이전), 한반도 종단철도 물류기지 건설, 부산신항 배후 고속도로 건설을 포함하는 사업이다.

   신항 중심의 물류허브 구축에는 모두 4조2천13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됐다.

   이 사업을 통해 국가경제발전은 물론 부산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게 부산시의 의중이다.

   ◇북항 중심의 해양경제특별구역 추진 = '해양경제특별구역'이란 새로운 고부가가치 유망산업인 해양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일련의 활동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국가적 지원 특례가 시행되는 지역을 말한다.

   부산시는 부산항 북항 일원을 중심으로 해양경제특별구역으로 지정, 국가 차원에서 해양을 새로운 성장의 도약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항 일원을 해양경제특별구역으로 지정해 글로벌 선사의 지역 총괄본부 등을 유치하고 해양과학 R&D 육성의 중심지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또 북항 일원의 기능 재배치를 통해 북항 재개발 사업의 민자 유치를 활성화하고 해양플랜트·조선기자재·선박관리업 등 해양 관련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게 이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이다.

   ◇남항 중심의 수산 식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 21세기 신해양 시대에 부산이 경제발전의 중심지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수준의 명품 수산거점도시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국내 제일의 수산 식품산업의 거점 역할을 하는 남항 일원의 현대화, 고도화,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우리나라 수산산업의 미래상을 제시하자는 게 남항 중심의 수산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핵심이다.

   이 프로젝트는 ▲자갈치 시장 일원을 대상으로 한 수산관광명소 재창조 ▲부산공동어시장 시설 현대화 ▲국립 수산 식품산업진흥원 설립 등을 세부 실천사항으로 삼았다.

   정경진 부산시 정책기획실장은 "글로벌 경쟁의 혼돈이 지속되고 육상자원 고갈이 심화하면서 바다는 미래의 무한한 보고이자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중국을 위시한 세계 각국의 해양경제 전략에 대응해 우리나라의 강점인 해양특성을 살린 국가 차원의 제도적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신해양 경제시대, 세계 해양경제 선점을 위해 대한민국 해양영토를 활용한 신해양 경제기반과 신해양 경제허브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부산시는 신해양 경제허브 구축 프로젝트 제안에서 부산은 해양수도라는 경쟁력을 바탕으로 물류, 수산자원, 해양금융 등의 신해양 경제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제주도는 국제해양관광으로, 울산·포항권은 해양에너지 허브로, 동해·삼척은 환동해 교류전진기지·해양자원탐사 등으로 각각 특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새만금·군산권은 대중국 교류·해양환경·해양식량자원 등으로 특화하고, 인천·경기권은 환황해권 물류비즈니스, 해양레저 등으로 특화하는 안을 제안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