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조선해양플랜트 혁신"…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식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는 2일 오후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허남식 부산시장과 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을 비롯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식'을 열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부산 강서구 국제 산업물류도시 첨단복합지구·사업화 촉진지구 8.84㎢, 녹산 국가산단 생산거점지구 2.06㎢, 부산 과학산단·미음지구의 R&D 융합지구 3.2㎢ 등 14.1㎢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고시하고 지난 2월1일 부산 테크노파크에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를 설치, 가동해왔다.
'R&D 기반 조선해양플랜트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비전으로 한 부산연구개발특구는 차세대 성장동력인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육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동남권 생산역량과 R&D 기술 사업화의 결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정됐다.
허 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에서부터 출범식이 있기까지 관심과 성원을 보내준 관계자에게 감사드린다"며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을 계기로 중장기적으로 동남권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과 첨단기업을 유치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이 조선해양산업의 전후방 연계사업(철강·기계·금속·전기·전자 등) 동반성장을 통한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한편 지역경제성장에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올해부터 70억원을 투입, ▲조선해양플랜트 육성을 위한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서비스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그린 해양기계 등 3개 특화 분야를 지원한다.
사업별로 특구기술 사업화에 61억5천만원을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우수기술 이전·공급 3억원, 기술사업화 기획 1억5천만원, 기술경영 애로해결 3억원, 특구커뮤니티·교류 1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작성일
2013.05.02
조회수
674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는 2일 오후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허남식 부산시장과 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을 비롯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식'을 열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부산 강서구 국제 산업물류도시 첨단복합지구·사업화 촉진지구 8.84㎢, 녹산 국가산단 생산거점지구 2.06㎢, 부산 과학산단·미음지구의 R&D 융합지구 3.2㎢ 등 14.1㎢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고시하고 지난 2월1일 부산 테크노파크에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를 설치, 가동해왔다.
'R&D 기반 조선해양플랜트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비전으로 한 부산연구개발특구는 차세대 성장동력인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육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동남권 생산역량과 R&D 기술 사업화의 결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정됐다.
허 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에서부터 출범식이 있기까지 관심과 성원을 보내준 관계자에게 감사드린다"며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을 계기로 중장기적으로 동남권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과 첨단기업을 유치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부산연구개발특구 출범이 조선해양산업의 전후방 연계사업(철강·기계·금속·전기·전자 등) 동반성장을 통한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한편 지역경제성장에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올해부터 70억원을 투입, ▲조선해양플랜트 육성을 위한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서비스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그린 해양기계 등 3개 특화 분야를 지원한다.
사업별로 특구기술 사업화에 61억5천만원을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우수기술 이전·공급 3억원, 기술사업화 기획 1억5천만원, 기술경영 애로해결 3억원, 특구커뮤니티·교류 1억원을 각각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