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APEC 에너지장관회의
(서울=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장)이 28일 부산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APEC 에너지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8.28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에너지 슈퍼위크' 4개 국제행사 성공적 마무리…"韓 리더십 빛났다"
김정관 산업장관 "에너지 핵심의제 끌어내고 공감대 형성 주도"
(부산=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부산에서 이틀간 열린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 장관회의가 28일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앞서 올해 열렸던 주요 20개국(G20)·주요 7개국(G7)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불발했던 공동선언문 채택이 이번 회의에서는 이뤄지면서 의장국을 맡은 한국의 에너지 리더십이 빛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APEC 에너지 장관회의가 참가국 및 경제체의 만장일치로 공동선언문 채택에 성공한 뒤 폐회했다고 밝혔다.
공동선언문에는 한국이 제안한 핵심 의제인 전력망 및 에너지 안보,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확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혁신 등에 대한 각국의 공감대를 기반으로 에너지 분야 투자·협력을 강화하기로 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번 회의에서는 핵심 의제를 바탕으로 에너지 고속도로, 차세대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등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APEC 역내에 널리 알리는 성과도 거뒀다고 산업부는 소개했다.
에너지 장관들은 특히 AI 시대 도래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투자와 기술 혁신, AI 활용 등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25∼29일 '에너지 슈퍼위크' 기간 APEC 에너지 장관회의와 함께 열린 청정에너지 장관회의, 미션이노베이션(MI) 장관회의,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등 4개 국제행사가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자평했다.
한국은 3개 장관회의의 의장국으로서 글로벌 에너지 의제 논의를 주도하며 리더십을 발휘했다.
25일 시작된 청정에너지 장관회의와 MI 에너지 장관회의에는 41개 정부 대표단, 111개 국제단체, 105개 글로벌 기업 등 1천여명이 참석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청정전력으로의 전환, 산업 탈탄소화, 미래 연료, 에너지와 AI 등 의제를 놓고 해법을 모색했다.
이 같은 논의는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G20 에너지 장관회의 및 11월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도 핵심 의제로 다뤄지는 만큼 한국이 글로벌 기후 에너지 의제를 심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번에 에너지 장관회의와 기후박람회를 연계하는 새로운 모델을 국제사회에 제시했다. 이를 통해 각국 에너지 정책 관련 고위 인사, 전문가, 기업인 등이 한자리에 모여 에너지 미래를 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올해 3회를 맞은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는 개막 당일 1만6천587명이 찾아 작년보다 방문객이 15% 증가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행사장에는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부스를 차렸고, 에너지 고속도로관, 청정전력관, 탄소중립관 등이 마련돼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과 미래를 시각적으로 보여줬다.
12개 국제콘퍼런스와 60여개 부대행사가 열려 각국이 처한 에너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험 기회를 제공했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에어컨과 전기차, AI 데이터 센터의 보급 확대 등으로 전 세계적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급증하는 전력 공급을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 건설은 이
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한국의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 추진을 매우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 슈퍼위크는 한국이 리더십을 발휘해 국제사회에서 에너지 분야 핵심 의제를 끌어내고 공감대 형성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며 "새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을 더욱 발전시켜 국제사회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