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행사
- Home
- 소식
- 뉴스·행사
[울산=뉴시스] 유재형 기자 = 울산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민생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2025년 친기업·투자유치 정책’을 수립해 적극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기업의 혁신 성장 지원 ▲민생경제 회복 ▲국제 도시로의 도약 ▲지·산·학 상생협력 등 4대 목표를 제시했다.
시는 전년 대비 512억원이 증액된 1507억원으로 4대 목표 달성을 위해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경제 주체의 혁신 성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우선 기업의 혁신성장 지원과 기업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화한다.
울산은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받았다. 특히 기회발전특구에는 11개 선도기업이 22조 원의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올해는 기회발전특구에 투자하는 기업에 세제·재정 지원 등의 특전을 통해 후속 투자를 본격적으로 끌어낼 계획이다.
종하이노베이션센터(4~6층)에 지역 창업거점(허브)을 개소하고, 창업벤처펀드 조성 규모를 확대해 혁신 새싹 기업(스타트업)의 성장 동력을 확충하는 등 지역 창업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자금 유동성 애로 중소기업의 신속한 경영 안정화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육성자금 총 3280억원 중 90.9%인 2980억원을 상반기에 공급한다.
특히 건설업 부분 지원 업종을 10종에서 16종으로 확대하고, 경기불황에 따른 이용객 감소로 재정적으로 취약한 법인 택시업계 운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택시 운송업도 신규로 지원한다.
기업 현장 지원 전담반(TF), 권역별 책임관 확대 등 투자기업에 대한 현장 밀착형 지원도 강화한다.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총 1730억원 중 1215억원(70.2%)을 상반기에 조기집행한다. 또 울산페이 발행,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 전통시장 특화상권 육성, 시설현대화 및 주차환경 개선 사업 등을 추진한다.
낮은 생산성과 시장 변화 대응에 취약한 전통적 소상공인의 한계 극복을 위해 단계별로 기업가형 소상공인 전환을 지원한다. 이밖에 사회적경제기업과 마을기업의 자생력 제고를 위해 홍보 및 판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국제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투자협약 기업에 대한 투자 전주기 관리 등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기술강소기업에 대해 연구개발(R&D) 및 이전·창업기업 특별보조금을 지원한다.
국내외 투자기업에 대한 전담 매니저를 지정해 투자 동향 파악과 인허가 등 투자 전반에 대한 상담·지원을 추진한다. 신규사업으로 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잠재 투자기업 파악과 다양한 기업 지원 시책 발굴에 나선다.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과 국제 무역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해 기업별 전담 관리인을 지정·운영해 기업애로 사항을 청취하고, 수출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추진한다.
해외 자매·우호협력도시와의 신뢰와 우호관계를 바탕으로 문화·스포츠·경제 등 다방면으로 교류 활동의 외연을 확장하고, 국제개발협력(ODA) 사업 추진과 국제회의 등을 통해 지방정부의 외교력을 강화한다.
지·산·학 상생협력과 지역 주도 대학 혁신 및 우수 인재 양성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본격 추진한다. ‘지역혁신 선도 맞춤형 융합인재 양성', '지역산단 고위험 복합재난 대응 안전교육 체계 기반 구축'을 대표 과제로 선정해 인재양성-취업-정주에 이르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역과 대학, 산업체 간 협업 강화에도 나선다.
또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 대학생·대학원생의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인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사회와 대학생 간의 연계를 강화해 지역발전의 기반을 마련한다.
울산청년지원센터를 신규로 개소해 청년들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청년정책 종합지원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00@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