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6월 경상수지 142.7억달러…반도체 등 수출호조에 역대최대 흑자새로운 글
작성일
2025.08.11


6월 경상수지 142.7억달러…수출호조 등에 역대 최대 흑자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2025.7.31 xanadu@yna.co.kr



상품수지 131.6억달러, 역대 3위…'美관세 영향' 車·철강은 뒷걸음
배당소득수지 34.4억달러 흑자…여행 등 서비스수지 25.3억달러 적자
한은 "美관세 영향에도 반도체·배당 등에 하반기 경상수지 양호할듯"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기자 =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 배당 수입 증가에 힘입어 지난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역대 가장 많은 약 143억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철강·자동차 등의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뒷걸음치는 등 점차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도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경상수지는 142억7천만달러(약 19조7천7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직전 5월(101억4천만달러)이나 작년 6월(131억달러)보다 많은 역대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2000년대 들어 세 번째로 긴 26개월 연속 흑자다.

올해 들어 6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493억7천만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401억6천만달러)보다 약 92억달러 많다. 상반기 기준으로 3위 흑자 기록이다.

항목별로는 6월 상품수지 흑자(131억6천만달러)가 전월(106억6천만달러)과 비교해 25억달러 불었다. 2017년 9월(145억2천만달러), 2016년 3월(133억2천만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수출(603억7천만달러)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의 호조가 이어진 데다 의약품 등 비(非) IT 품목 수출도 늘면서 작년 같은 달보다 2.3% 증가했다.

특히 통관 기준으로 컴퓨터주변기기(13.6%)·반도체(11.3%)·의약품(51.8%)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반대로 승용차(-0.3%)·석유제품(-0.9%)·철강제품(-2.8%)은 줄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반도체 수출 호조의 배경과 관련해 "미국 관세 부과에 앞서 선(先)수요 효과도 있었고, DDR5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사양 반도체의 수요도 견조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EU(14.7%)·동남아(6.0%)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0.5%)·중국(-2.7%)에서 고전했다.

수입(472억1천만달러)도 3개월 만에 늘었지만, 작년 같은 달 대비 증가율은 0.7%에 그쳤다.

반도체제조장비(38.8%)·반도체(22.7%) 등 자본재가 14.8%, 직접소비재(10.9%)·승용차(7.3%) 등 소비재가 7.6% 각각 불었다. 하지만 에너지 가격 하락 등으로 석유제품(-33.1%)·석탄(-25.9%)·원유(-15.2%) 등 원자재 수입은 6.4%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5억3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2억8천만달러)이나 작년 같은 달(-16억4천만달러)과 비교해 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10억1천만달러)는 입국자 수가 줄면서 적자가 5월(-9억5천만달러)보다 늘었다.

본원소득수지(41억6천만달러)는 5월(21억5천만달러)의 약 2배로 불었다.

배당수입 증가로 배당소득수지가 15억9천만달러에서 34억4천만달러로 늘어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월 중 172억9천만달러 불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9억2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7억4천만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98억4천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채권 위주로 54억1천만달러 늘었다.

신 국장은 경상수지 전망 관련 질문에 "7월 통관 무역수지가 7월 기준으로 최대 흑자였기 때문에 7월 경상수지도 6월보다는 줄더라도 계속 상당 폭 흑자를 이어갈 것 같다"며 "하반기 미국 관세 정책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주겠지만, 반도체 수출과 배당소득 호조가 이어지면서 하반기에도 경상수지는 양호한 흐름을 유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앞으로 반도체·의약품에 대한 미국의 품목관세가 결정되더라도, 일단 한·미 무역합의를 통해 반도체·의약품 최혜국 대우를 받는만큼 우리나라만 경쟁력이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인공지능(AI) 관련 제품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예전보다 반도체 경기 확장기도 더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자동차는 하반기부터 미국 관세의 영향이 더 나타날 수 있지만, 현지 생산과 수출 다변화 등 업체들의 대응을 더 지켜봐야한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shk999@yna.co.kr, ssu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5.08.07.)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