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정보통신ICT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정보통신ICT
정보통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 세계 최초, 그리고 세계 최고의 IT 강국 내용닫기
    세계 최초, 그리고 세계 최고의 IT 강국
    한국은 ICT 산업의 글로벌 리더이다.
    한국은 세계최초로 CDMA(1996년), LTE-A(2013년), 5G(2019년) 모바일통신기술을 상용화했으며,
    높은 ICT 기술 수준과 보급률을 바탕으로 ICT부문 글로벌 리더로 평가받고 있다.
    "ICT 보급 (ICT Adoption,2020)"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1위 한국
    • 2위 UAE
    • 3위 홍콩
    • 4위 스웨덴
    • 5위 일본
    • 6위 싱가포르
    • 7위 아이슬란드
    • 8위 노르웨이
    • 9위 카타르
    • 10위 리투아니아
    이미지 크게보기
    ※ ICT보급 : 초고속인터넷 현황과 신기술 도입 적극성 등에 대해 평가
    ※ 자료: WEF(The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20
    "한국 디지털 산업의 글로벌 위상"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ICT Infrastructure
    ICT Infrastructure 표로 국가, 순위 정보제공
    국가 순위
    Korea 1st
    UK 2nd
    Denmark 3rd
    Finland 5th
    Singapore 6th
    US 7th
    UAE 13th
    Japan 14th
    France 18th
    China 20th

    ※ WIPO, Global Innovation Index 2022

    ICT Export
    ICT Export 표로 국가, 수출액 정보제공
    국가 수출액
    China 701.6
    Hong Kong 319.6
    Taiwan 182.9
    Korea $148.1B
    US 138.4
    Singapore 125.9
    Vietnam 109.1
    Malaysia 81.2
    Germany 71.6
    Mexico 66.6

    ※ UNCTAD 2020

    e-Commerce Ratio
    e-Commerce Ratio 표로 국가, 순위 정보제공
    국가 순위
    UK 1st
    Korea 2nd
    China 3rd
    Indonesia 4th
    US 5th
    Australia 6th
    Canada 7th

    ※ WIPO, Global Innovation Index 2021

    Cyber Security Index
    Cyber Security Index 표로 국가, 순위 정보제공
    국가 순위
    US 1st
    UK 2nd
    Korea 3rd
    Japan 7th
    US 8th
    Australia 9th
    Canada 13th
    Canada 22th
    Canada 33th
    Canada 34th

    ※ ITU 2020

    Govt AI Readiness
    Govt AI Readiness 표로 국가, 순위 정보제공
    국가 순위
    US 1st
    Singapore 2nd
    UK 3rd
    Canada 7th
    Germany 8th
    Korea 10th
    France 11th
    Japan 12th
    Norway 13th
    Australia 14th

    ※ Oxford Insights 2021

    Mobile Internet Connectivity
    Mobile Internet Connectivity 표로 국가, 순위, 연결률 정보제공
    국가 순위 연결률
    Korea 1st 99.98%
    Finland 2nd 92.8%
    Slovenia 3rd 92.3%
    Spain 5th 83.9%
    Switzerland 6th 77.7%
    Estonia 7th 75.2%
    US 8th 72.0%

    ※ OECD 2021

    이미지 크게보기
  •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주력 산업 내용열기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주력 산업
    2022년 기준, ICT산업의 GDP비중은 13.0%로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
    2022년 국내 정보통신산업 총생산액은 560조 원으로 전년 대비 5.1% 상승하였다.
    이중, 정보통신기기가 총생산의 70.3%인 388.4조 원으로 전년 대비 5.9% 상승했고, 정보통신서비스가 총생산의 15.8%인 87.4조 원으로 3.2% 상승했고, 소프트웨어가 총생산의 13.9%인 76.9조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4% 성장했다.
    특히, 소프트웨어부문은 2017~2023년기간 동안, 연평균 7.0%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ICT산업 생산(매출)액 실적과 전망"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CAGR(2017~2023) : 2.9% (Unit : KRE Tr)
    ICT산업 생산(매출)액 실적과 전망 표로 년도, Softwares, ICT Services, ICT Device, Total, Growth Rate 정보 제공
    Year Softwares ICT Services ICT Device Total Growth Rate
    2017(A) 72.6 84.7 368.4 525.7 9.70%
    2018(A) 76.9 87.4 388.4 552.7 5.10%
    2019(A) 81 89.9 389.5 560.4 1.40%
    2020(A) 85.7 92.8 405.8 584.2 4.30%
    2021(A) 89.9 95.2 413.2 598.4 2.40%
    2022(A) 94.3 97.6 419.7 611.6 2.20%
    2023(A) 98.6 99.9 428.6 627.3 2.50%
    이미지 크게보기
    ※ 한국은행 국민계정 경제활동별 GDP에서 ICT산업의 범위 : ICT제조업/기기은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ICT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통신업,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로 분류
    ※ KISDI 2023
    2022년 정보통신 수출은 역대최고인 2,333.2억 달러, 수입 1,524.7억 달러, 무역수지 808.5억 달러
    정보통신산업은 전산업 수출의 30~40%를 차지하며, 우리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및 증감률"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CAGR(2017~2023) : 2.9% (Unit : USD Bn)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및 증감률 표로 년도, ICT Device, Growth Rate 정보 제공
    Year ICT Device Growth Rate
    2016 163 -6.0%
    2017 198 21.6%
    2018 220 11.5%
    2019 177 -19.7%
    2020 184 3.7%
    2021 228 24.0%
    2022 233 2.5%
    이미지 크게보기
    ※ 전체산업 대비 정보통신산업 수출 비중 : (’20) 35.8% → (’21) 35.3% → (’22) 34.1%
    ※ 정보통신 산업 수출 추이(억 달러) : (’19) 1,768.6 → (’20) 1,835.1 → (’21) 2,276.1 → (’22) 2,333.2
    ※ 자료 : 과학기수렁보통신부 2023
    정보통신기술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2021년 데이터 산업의 전체 시장규모는 23.9조원으로 전년대비 15.5% 큰 폭으로 성장했고,
    디지털뉴딜 정책을 통해 확대되기 시작한 공공데이터의 개방 건수는 69,057건으로 전년대비 24.3% 증가하였다.
    또한, 2019년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5G서비스 가입자 수는 2023년3월 기준으로 29.6백만명에 도달하여, 2020년 대비 136.8% 성장했고, OTT서비스 이용율도 69.5%에 달하여 디지털화가 가속화되었다
    "데이터 시장 규모 및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
    데이터 시장규모 -  2020 : 20조 24억원, 2021(e) : 23조 972억원 (15.5% 증가) /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 - 2021.03: 55,561건, 2022.03: 69,057건 (24.3% 증가) 이미지 크게보기
    "5G 가입자 규모 및 OTT서비스 이용율"
    5G 가입자 수 - 2020:11.8백만명, 2022:28백만명 (136.8% 증가) / OTT서비스 이용율 - 2020:56.3%, 2022:69.5% (3.2%p 증가)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 ITSTAT 2022
    AI분야 매출액은 2021년 2.1조로 전년대비 28.5%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AI 기술 개발 및 서비스 혁신에 필요한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 활용 횟수가 2022.6월 누적치 18.3만회로 전년대비 40%이상 고속 성장하였다. 한편,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클라우드 산업의 2020년 매출액은 4.2조원으로 전년대비 19.4% 크게 성장하였고, 개인의 클라우드 이용율은 2020년 35.3%에서 2021년 37.8%로 2.5% 증가하였다.
    "인공지능 매출액 및 AI학습용 데이터 활용 횟수"
    인공지능 매출액 - 2020:1조7,11억원, 2021(e):2조2,065억원 (28.5%증가) / AI 학습용 데이터 활용 횟수(누적) - 2021:130,901회, 2022.06:183,623회 (40.3% 증가) 이미지 크게보기
    "국내 클라우드 산업규모 및 서비스 유형"
    클라우드 산업 매출액 - 2019:3조3,714억원, 2020:4조263억원 (19.4%증가)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율(개인) - 2020:35.3%, 2021:37.8% (2.5%p 증가)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 ITSTAT 2022
    국내 SW기업의 2021년 수출액은 180.5억 달러로 연평균 9.9% 증가했고,
    SW산업 전문인력도 연평균 7.7% 증가하여 2021년 35.2만명로 증가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국내 SW 수출액GDP(’17-’21) (단위 : 억 달러) 연 평균 9.9% 증가
    • ’17 : 123.8
    • ’18 : 136
    • ’19 : 148.1
    • ’20 : 158.2
    • ’21 : 180.5
    국내 SW산업 내 SW전문인력 (단위 : 만 명러) 연 평균 7.7% 증가
    • ’19 : 30.3
    • ’21 : 35.2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 과기정통부 SW수출통계조사 2022
  • Where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내용열기
    Where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유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침투율 포화, 5G서비스 보편화 및 이음5G서비스 도입, 팬데믹 상황의 데이터수요를 촉발시킨
    재택근무 및 OTT서비스 확대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클라우드 확대의 최대의 걸림돌인 정보보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예상되며, 안정적인 네트워크와 보안은 국내 제조업 디지털전환 수요를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통신기술분야 디지털전환 수요 높은 분야 및 기업 예시"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정보통신기술분야 디지털전환 수요 높은 분야 및 기업 예시 표로 세부산업, 기업, 사업영역 정보 제공
    세부산업 기업 사업영역
    Cloud Computing AWS
    • 서울리젼 개설 후 2022년 현재 4개 가용영역 1개 리젼 운영. IaaS선도 기업
    Microsoft
    • 서울 및 부산에 2개의 리젼을 두고,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Iaas, PaaS, SaaS통합 서비스 제공
    LG CNS
    • AWS, MS, Google향 콜로케이션 서비스
    • 노코드 플랫폼 및 NFT 서비스
    DOUZONE
    • 기존 ERP에 AI, 블록체인 등 新SW기술 융합솔루션 제시
    • AI, 클라우드를 활용한 의료 빅데이터 영역으로 사업 확장
    Hancomm
    • 한컴오피스 SaaS기반 구독형 서비스, SDK, API 등으로 서비스 확장
    DeepNoid
    • 로우코드 플랫폼 ‘딥파이’로 AI교육에 활용
    • 산업·의료 AI, 범용 AI플랫폼 제공
    DT & SW 융합 Posco
    • 데이터 결합 AI용광로 운영으로 제조 자동화 실현 중
    • 최근 AI, 로보틱스 등 신사업 범위를 SW로 확대
    삼성서울병원
    • 낙상 고위험 환자를 정보 관리 AI 모델 상용화
    • 욕창 이미지로 진단 및 예측, 치료법을 추천하는 AI 솔루션 ‘스키넥스’ 개발
    현대중공업
    • 무인/원격 디지털 솔루션 기반 자율주행 선박 추진
    • AI, 빅데이터 등 新SW 적용 스마트 조선소 구축 추진
    Cybersecurity Ahnlab
    • 온라인 및 모바일 보안솔루션, 게임보안, 산업용 보안, 네트워크 보안 장비 등 각종 보안 솔루션 개발 공급
    • 클라우드 보안, 운영기술 보안 등으로 서비스 확장
    SK 쉴더스
    • ‘21년 SK인포섹(정보보안)과 ADT캡스(물리보안)의 합병으로 출범
    • 국내 정보보안 1위(국제 정보보안기구 CTA의 Global Top5), 물리보안 2위 사업자
    이글루시큐리티
    • 국내보안관제솔루션 및 보안 서비스 공공 분야 M/S 70%
    • 자율주행 보안관제관련 특허 취득
    이미지 크게보기
  •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and Diffusion Strategy 내용열기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and Diffusion Strategy
    2022년6월 발표된 『디지털 혁신 및 확산전략』에 따르면, 한국정부는 국내·외 시장안착과 확산을 위해,
    AI, AI반도체, 5G·6G, 양자,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6대 혁신기술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이러한 분야의 초기시장 조성을 지원하고, 우수성과창출을 위해 창업·기술이전·성장·해외진출을 연계하여 지원한다.
    탑티어급의 초격차 선도 고급 연구인재 및 실전형 현장 수요 맟춤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ITRC·특성화 대학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이러한 전략의 주요 성과목표는 6대 혁신기술분야 기술력 축적, 디지털 혁신 기술이전·기술창업 3,000건 이상,
    탑티어급 인재 30,000명 양성 등이 있다.
    "디지털 혁신 글로벌 패권국가 도약"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목표 - ~’27년, 5년내
    • 6대 혁신기술 분야 최고 기술력 축적 (최고국 대비 90% 이상)
    • 디지털 혁신 기술이전 ·기술 창업 3000 건 이상 (현재 500건/연 수준)
    • 경제안보의 핵심자산인 탑티어급 고급인재 30,000명 양성
    기술 개발
    투자분야 - 한정된 자원을 고려, 6대 혁신기술에 집중투자
    • 인공지능
    • AI반도체
    • 5G · 6G
    • 양자
    • 메타버스
    • 사이버보안
    기획 · 관리체계 - 임무지향형, 기술축적형으로 전환
    • 임무지향 : AS-IS (연구수요 중심 기획, 세부기술방식 계시), TO-BE(시장수요 중심 기획, 도전과제(임무) 계시)
    • 기술축적 : AS-IS (성과와 관계없이 단발성 지원 (5년 내외)), TO-BE(우수연구자 후속 지원 (3년 + 3년 + 5년))
    시장 확산 - 초기시장 조성, 사업화, 성장지원 등 연계로 글로벌 진출
    • 초기시장 조성 - 기술을 국내시장에 선도적용하여 글로벌 확산 촉진
      • 민간 네트워크 구축·투자시 적용
      • 정부 공공기관 시스템·사업에 적용
      • 민간 수요기반 실종사업 지원
    • 사업화 촉진 - 기술을 확보한 연구자의 창업과 공동개발을 통한 기술이전
      • 기술창업 : 연구자가 창업시 창업팀 구성 및 사업화 r&d 추가지원
      • 공동개발 : 기업이 기술성과 통한 제품개발 희망 시 성과 보유 연구자와 공동 개발 지원
    • 기업성장 가속화 - 6대분야 혁신기업 성장을 위한 정부지원 강화
      • 벤처자금
      • 디지털 인프라
      • 창업보육
      • 해외진출
    인재양성 - 초격차 선도 고급인재 및 실전형 맞춤인재 양성 (ITRC·특성화대를 6대분야로 집중지원 및 지원규모 확대 + 기업·지역의 현장 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위한 연계프로그램 확대)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 기술 혁신 및 확산전략」, 2022.6.28
  • ICT 클러스터 내용열기
    ICT 클러스터
    ICT 제조업
    한국에는 지역별로 ICT 산업과 관련된 클러스터가 분포되어 있으며, 분야별로 살펴보면 스마트폰은 수도권, 대구·경북권 중심으로,
    네크워크 장비는 수도권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국 ICT 클러스터 현황"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서울(구로, 테헤란, 상암 등): 디지털 콘텐츠, 정보통신, SW남동 : 정보융합부품
    • 반월/시화: 전기전자
    • 경기(화성, 평택, 파주, 기흥, 이천, 판교, 수원,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장비 등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 인천: 바이오, 디지털사이니지, 로봇(콘텐츠)
    • 충남(천안/아산): 디스플레이 산업(삼성디스플레이, 코닝정밀소재 등)
    • 전남광주: 광산업(광통신, 광정보기기), 가전 등(LG이노텍, 금호HT, 오이솔루션, 삼성전자, 위니아전자, 캐리어 등)
    • 제주: 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
    • 강원: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춘천), 의료전자(원주) 등
    • 충북: ICT 반도체, 2차 전지 등 (SK하이닉스, 동부하이텍, LG화학, W-SCOPE 등)
    • 세종: 세종 첨단산업단지(세종테크노벨리)
    • 대전: 대덕 연구개발특구, 지능형로봇 등
    • 경북: 모바일·스마트 디바이스(구미, 경산), 전자부품, 디스플레이 등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 대구(성서): 모바일, IT전기전자
    • 울산: 자동차, 조선, 전기·에너지(삼성SDI 등)
    • 부산: 지식형 서비스산업 인프라(문화콘텐츠), 클라우드/IOT, 해양ICT 등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협조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SW융합클러스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역별 특화 산업을 기반으로 디지털 산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국에 10개의 클러스터를 지원하여,
    지역 디지털 신산업육성과 디지털 전환의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다.
    "한국 ICT 클러스터 현황"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2단계) 인천송도 - 바이오 정보 서비스
      • 주요특징 : 라이프로그 중심 공공/사업 데이터를 활용한 신서비스 창출, 신서비스 기반 글로벌 기업 육성
      • 클러스트 구역 : 제물포지구 (약 12000만 ㎡), 송도지구(약 5335만㎥), 입주기업 수 : 597개사, 종사자 수 : 5만8434명
    • (1단계) 강원 춘천 - 관광 테크
      • 주요특징 : ICT융합 기반 지능형 관광생태계 및 클러스터 조성
      • 클러스트 구역 : 강원도 춘천시 박사로 854 일원(6만6000㎡), 입주기업 수 : 52개사, 종사자 수 : 77명
    • (1단계) 충남 천안 - 융복합 디스플레이
      • 주요특징 : ‘소재-부품-모듈-완제품-서비스’로 이어지는 완성형 생태계 구축을 통한 지역 특화 산업강화
      • 클러스트 구역 : 충남 아산시, 천안시 일원(2억5400만 ㎡), 입주기업 수 : 1009개사, 종사자 수 : 1만9201명
    • (2단계) 경북 포항 - 모빌리티
      • 주요특징 : D.N.A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상용화 플랫폼 구축, 모빌리티 중심 지역 주력산업 간 융합 생태계 조성
      • 클러스트 구역 : 경상북도(포항,경산,구미,경주,영천,김천,칠곡), 일원(244억4800만㎡), 입주기업 수 :1185개사, 종사자 수 : 2만6500명
    • (1단계) 충북 청주 - 지능형 반도체
      • 주요특징 : 지능형 반도체 기반 SW융합 제품 및 제조혁신 서비스 발굴, 반도체 SW융합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 클러스트 구역 : 충북 청주, 진천, 음성 일원(27억8900만 ㎡), 입주기업 수 : 557개사, 종사자 수 : 3만7221명
    • (1단계) 울산 남구 - 친환경 자율운항 선박
      • 주요특징 : 친환경/자율운항선박 글로벌 생태계 조성, 친환경/ 자율운항 선박 분야 미래시장 선정 Hub 역할의 클러스터 조성
      • 클러스트 구역 : 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128만6977㎡), 입주기업 수 : 907개사, 종사자 수 : 6406명
    • (2단계) 전북 전주 - 스마트 농생명
      • 주요특징 : 스마트 농생명 + D.N.A를 통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플랫폼 구현, 비즈니스 서비스 플랫폼 기반 사업화 촉진을 통한 농생명 SW융합 신 서비스 창출 지원
      • 클러스트 구역 : 전주첨단복합산단지구 등 4개 지구(4만3490㎡) 익산식품클러스터단지 등 4개 지구(17만1190㎡), 입주기업 수 :577개사, 종사자 수 : 7228명
    • (2단계) 부산 센텀 - 스마트 물류
      • 주요특징 : 스마트 물류산업 육성을 통한 물류 서비스 선도 도시 구현, 선순환 스마트 물류 산업 생태계 조성 및 비즈 플랫폼 구축
      • 클러스트 구역 : 센텀시티 일반산업단지(117만8000㎡) 석대 첨단산업단지(12만3000㎡), 입주기업 수 : 2312개사, 종사자 수 : 1만7974명
    • (1단계) 대구·제주 - 스마트 시티
      • 주요특징 :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시티로,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IOT 등의 SW핵심 기술이 기반이 된 SW융합 서비스 산업 성장
      • 클러스트 구역 : 대구 수성알파시티(11만6958㎡) 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업단지(91만㎡), 입주기업 수 :305개사, 종사자 수 : 7472명
    • (1단계) 경남 창원 - 지식진화형 기계설비산업
      • 주요특징 : ‘기업+기술+산업’ 동시 지원, 지식 친화형 SW융합클러스터 구축, 기계설비 SW융합 서비스 및 사업화 지원
      • 클러스트 구역 : 경남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본부(3만3058㎡), 창원국가산업단지(2만5729㎡), 마산자유무역지역(95만7093㎡), 입주기업 수 : 3080개사, 종사자 수 : 12만8488명
    이미지 크게보기
Invest KOREA담당자
ICT PM
강형곤 신산업유치팀
T.+82-2-3460-7866
E.hkkang@kotra.or.kr
입지정보 추천
BEST1
[경기도 안양시]
안양평촌스마트스퀘어도시첨단산업단지
  • 지정면적(m2) : 255,065
  • 관리기관 : 경기도 안양시
  • 인근철도역 : 광명역 (9km)
  • 인근공항 : 김포국제공항 (27km)
BEST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회동·석대도시첨단산업단지
  • 지정면적(m2) : 228,604
  • 관리기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인근철도역 : 부전역 (12km)
  • 인근공항 : 김해국제공항 (33km)
BEST3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개발(제2지구)[구:대덕테크노밸리]
  • 지정면적(m2) : 4,270,056
  • 관리기관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 : 대전역 (13km)
  • 인근공항 : 청주국제공항 (44km)
BEST4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첨단과학(RFT)일반산업단지
  • 지정면적(m2) : 896,321
  • 관리기관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 : 천원역 (6km)
  • 인근공항 : 광주공항 (51km)
BEST5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구테크노폴리스일반산업단지(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 지정면적(m2) : 7,259,403
  • 관리기관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인근철도역 : 동대구역 (4km)
  • 인근공항 : 대구국제공항 (5km)
BEST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 지정면적(m2) : 1,098,878
  • 관리기관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인근철도역 : - (-)
  • 인근공항 : 제주공항 (14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