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풍부한 전문인력과 첨단 혁신 역량

  • Home
  • Why KOREA
  • 풍부한 전문인력과 첨단 혁신 역량

블룸버그 혁신 지수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2021 블룸버그 혁신 지수" 1위 - "9년내 7번 1위 기록" (미국 11위, 일본 12위, 중국 16위)
  • 특허활동 - 1위
  • 제조업 부가가치 - 2위
  • R&D 집중도 - 2위
  • 첨단기술 집중도 4위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Bloomberg (2021.01)

글로벌 혁신지수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한국은 6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지역에서 2년 연속 혁신역량 1위 국가로 평가됐다. GDP 대비 특허출원, GDP 대비 PCT(국제특허출원), GDP 대비 디자인출원, 인구 대비 연구원, 인구 대비 기업연구원, 정부 온라인 서비스, 전자정부 온라인 참여 등 7개 지표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한국 "2024 글로벌 혁신 지수 세계 6위"
  • 2018 - 12위
  • 2019 - 11위
  • 2020 - 10위
  • 2021 - 5위
  • 2022 - 6위
  • 2024 - 6위
  • 1. 스위스 67.5
  • 2. 스웨덴 64.5
  • 3. 미국 62.4
  • 4. 싱가폴 61.2
  • 5. 영국 61.0
  • 6. 한국 60.9
  • 7. 핀란드 59.4
  • 8. 네덜란드 58.8
  • 9. 독일 58.1
  • 10. 덴마크 57.1
  • 11. 중국 56.3
  • 12. 프랑스 55.4
  • 13. 일본 54.1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활발한 지식재산권 출원

2023년 기준 한국의 특허 출원 건수는 약24만 건으로 중국,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하였고, 특히 GDP 1000억 달러당 내국인 특허 출원 건수는 세계 1위 수준이다. 이는 한국의 활발한 지식재산권 출원 현황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한국은 기술 혁신의 동력이 매우 우수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주요 6개 국가의 GDP 1,000억 달러 당 내국인 특허 출원 수 (2023년)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한국 – 7,309
  • 중국 – 4,875
  • 일본 – 3,974
  • 스위스 – 1,462
  • 핀란드 – 1,247
  • 독일 – 1,214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WIPO(2024) ”World Intellectual Property Indicators 2024”
주요국 특허 출원 현황 (2023년)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중국 - 1.585,663 (5.9%)
  • 미국 - 591,473 (-1.0%)
  • 일본 - 289,200 (0.3%)
  • 한국 - 237,998 (5.0%)
  • 유럽 - 188,778 (4.7%)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WIPO Statistics Database (2024.02)
국내 기술분야별 특허출원 Top 3 (2023년)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컴퓨터 기술 10.8%
  • 전자기기 및 기구, 에너지 10.4%
  • 디지털 통신 6.1%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WIPO Statistics Database (2025.03)

연구개발 투자

2021년 한국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었고,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5.21%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했다. 특히, 2021년 기준 경제활동 인구 1000명 당 연구원은 17.26명으로 세계 1위 수준을 유지하였다.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 (2022년)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1. 한국 17.26
  • 2. 스웨덴 16.546
  • 3. 핀란드 16.160
  • 4. 벨기에 15.280
  • 5. 덴마크 14.748
  • 7. 노르웨이 13.783
  • 8. 아이슬란드 13.100
  • 9. 오스트리아 12.417
  • 10. 프랑스 11.396
  • 11. 포르투칼 11.366
  • 15. 일본 10.329
  • 16. 독일 10.256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OECD (2022)

혁신 DNA를 지닌 고급 인력

한국이 지난 반 세기 동안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룬 배경에는 한국인 특유의 성실함, 책임감, 유연함이 있다. 2023년 기준 OECD 국가별 대학 졸업 비율이 한국은 69.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가장 중요한 자원은 바로 “사람”이며, 이를 통해 한국의 혁신이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OECD 국가별 대학 졸업 비율(2023년)" (25-34세 기준)
  • 1위 한국 69.7%
  • 캐나다 66.9%
  • 일본 65.5%
  • 아일랜드 63.4%
  • 영국60.2%
  • 룩셈부르크 59.8%
  • 리투아니아 57.4%
  • 호주 56.3%
  • 스위스 51.9%
  • 미국 51.8%
  • OECD 평균 47.6%
  • 독일 38.5%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