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항공우주

  • Home
  • 유망산업·입지
  • 산업
  • 항공우주
항공우주 Aerospace
  • 지속적인 R&D 투자로 기술력 확보 내용닫기
    지속적인 R&D 투자로 기술력 확보
    ’21년 기준 한국의 무역규모는 32억 달러 수준으로(수입 $2.2B, 수출 $1.1B),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년 대비 14% 수준 하락했다.
    "항공우주 산업 주요 국가 무역규모"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USA
    • France
    • Germany
    • United Kingdom
    • Canada
    • China
    • Spain
    • Japan
    • Italy
    • Repulic of Korea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UN Comtrade
    하지만, ’20년 기준 주요 국가의 핵심기술 분야별* 기술수준 비교 결과, 기술수준이 가장 높은 미국(100%)과 비교하여 대한민국의 기술수준은 평균 64.2% 수준으로 ’18년 대비 3.3%p 상승했다.
    • 우주발사체 개발 및 운용기술 : 60%
    • 우주 탐사 및 활용 기술 : 56%
    • 유·무인 자율 비행체 통합 관제시스템 기술 : 70%
    • 우주환경 관측·감시·분석 기술 : 55%
    • 유·무인 통합 자율 비행체 기술 : 80%
    "항공우주 산업 주요 국가의 분야별 기술수준 비교"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항공우주 산업 주요 국가의 분야별 기술 수준 비교

    • 우주발사체 개발 및 운용기술
    • 유/무인 자율 비행체 통합 관제시스템 기술
    • 유/무인 통합 자율 비행체 기술
    • 우주환경 관측 감시, 분석기술
    • 우주탐사 및 활용기술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KISTEP 2020년도 기술수준 평가
    한국은 주요 국가들에 비하여 무역규모가 작지만 기술력 확보에 중점적으로 투자하여 기술격차(미국의 62% 수준)가 무역규모 격차(미국의 2.5% 수준)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기술력에 강점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민간 분야 투자 현황
    항공우주 분야 민간기업의 투자예산은 ’20년도까지 상승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의 상황으로 인하여 ’21년도의 경우 ’20년도에 비해 17% 수준 하락했다. 하지만 ’19년도와 ’20년도에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40% 수준이었으나, ’21년도에 61% 수준으로 상승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침체 상황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에 집중하여 투자하고 있다.
    ’21년도 기준 항공산업 민간기업은 전체 투자예산 중 연구개발 분야에 56% 수준의 투자와 시설/장비 분야에 27% 수준의 투자를 통하여 기술개발과 시설/장비 구축에 집중하고 있으며, ’21년도 기준 우주산업 민간기업은 전체 투자예산 중 73% 수준을 연구개발에 투자하여 독자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민간기업의 항공 및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백만 원)
    한국 자동차산업 위상 통계로 구분, 연도별 정보제공
    구분 2019 2020 2021
    항공 연구개발 184,875 270,865 276,868
    시설/장비 179,876 178,809 135,078
    토지/건물 137,750 142,045 57,855
    기타 28,698 27,317 21,746
    소계 531,017 619,036 491,547
    우주 연구개발 151,576 134,784 150,522
    시설/장비 27,422 80,219 54,634
    교육훈련 1,046 2,486 670
    기타 - - -
    소계 180,065 217,489 205,826
    총계 711,082 836,525 697,373
    ※ 자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우주산업실태조사(2022)
  •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연구개발 내용열기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연구개발
    항공산업은 ’17년도부터 ’19년도까지 성장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년도 매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13%) 하락하였고 그 하락세가 ’21년도에도 이어지고 있다. 우주산업의 경우 ’17년도 이후 매출액의 약소한 정체를 보였으나, 마찬가지로 코로나-19로 인해 ’20년도부터 크게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20년도에 비해 ’21년도에는 하락세 절반 수준으로 낮아져 일부 회복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민간분야 매출액 현황 (’17~’21)"
    (단위: 백만 원)
    이미지 크게보기
    (단위: 백만 원)
    민간분야 매출액 현황 (’17~’21) 정보제공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항공 매출액 5,107,742 5,785,406 6,187,382 5,379,777 5,128,895
    성장률 - 13% 7% -13% -5%
    우주 매출액 3,393,100 3,290,795 3,260,974 2,781,758 2,569,713
    성장률 - -3% -1% -15% -8%
    ※ 자료: 산업통계시스템, 우주산업실태조사(2022)
    항공산업은 ’17년부터 ’19년도까지 꾸준히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년도부터 하락세를 보였고, 수출 대비 수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무역수지에서는 적자를 보이고 있다. 우주산업의 경우 ’17년도부터 수출이 소폭 감소하고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년도부터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다만, 무역수지의 경우 지속하여 흑자 보이고 있다.
    "수출입 현황 (’17~’21)"
    (단위: 백만 원)
    수출입 현황 (’17~’21) 정보제공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항공 수출 3,590,220 3,545,060 3,794,763 3,203,851 2,175,031
    수입 4,168,268 5,418,071 7,030,270 5,268,086 5,079,469
    무역수지 -578,048 -1,873,011 -3,235,507 -2,064,235 -2,904,438
    우주 수출 1,818,397 1,778,020 1,274,357 688,025 607,452
    수입 647,174 589,323 383,175 264,587 229,959
    무역수지 1,171,223 1,188,697 891,182 423,438 377,493
    ※ 자료: 산업통계시스템, 우주산업실태조사(2022), 2023.5.25. 환율기준(1319원)
    항공산업의 인력은 ’21년 기준 17,638명으로 ’17년도부터 소폭의 변화를 보이며 유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주산업의 경우 ’21년 기준 7,317명으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년도에 일시적으로 하락하였으나 최근 우주분야의 관심 확대에 따라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민간분야 고용 현황 (’17~’21)"
    (단위: 명)
    이미지 크게보기
    (단위: 명)
    민간분야 고용 현황 (’17~’21) 정보제공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항공 인력 16,892 17,504 17,029 16,837 17,638
    성장률 - 4% -3% -1% 5%
    우주 인력 6,708 6,610 6,643 6,305 7,317
    성장률 - -1% 0% -5% 16%
    ※ 자료: 산업통계시스템, 우주산업실태조사(2022)
    주요 연구개발 현황
    • 다누리 개발 및 임무궤도 진입 성공(’22.12)에 따른 독자적 우주탐사 기반 확보
      • 향후 달 착륙선 및 우주탐사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으며, 6개의 탑재체를 통한 다양한 과학 데이터 확보로 과학임무 기반을 마련했다.
    • 누리호 개발 및 발사 성공에 따른 독자적인 우주수송 능력 확보
      • 우주발사체 엔진 기술 및 체계, 시험설비 등 우주발사체 제작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우주산업 활성화 기반을 마련했으며, 누리호 산업체 기술 이전에 따른 우주산업 생태계 성장 기반 또한 마련되었다.
    •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 및 발사 성공(’21.3)
      • 500kg급 위성의 국내 독자 기술을 확보하였고, 광학 탑재체 핵심 구성품을 국산화하였다. 국토·자원관리, 재해재난 등 국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위성정보 제공이 가능해졌고, 위성 개발 기술의 국내 산업체 이전 및 우주 산업체 역량 강화를 통한 위성 산업 활성화 기반이 마련되었다.
    • UAM 시장 진출
      • UAM 시장의 폭발적인 확대 전망에 따라 국내 자동차 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이 해당 시장에 진출하면서 항공산업의 산업체 참여 확대와 그에 따른 파급효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 글로벌 기업의 한국 연구개발 및 생산거점 확보 내용열기
    글로벌 기업의 한국 연구개발 및 생산거점 확보
    미국 보잉社는 서울에 세계 최대 규모의 ‘보잉한국기술연구센터’ 설립(’19년) 이후 국내 통신, 반도체, 제조기술과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첨단 항공우주 분야 연구를 위하여 자율비행, 인공지능, 항공전자, 모빌리티플랫폼, 스마트캐빈,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인력을 채용하여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보잉, 서울 Boeing Research & Technology Center 이미지 크게보기
    "차세대 첨단 항공 우주 연구 진행 분야"
    자율비행, 인공지능, 항공전자, 모빌리티 플랫폼, 스마트 캐빈, 스마트 팩토리 이미지 크게보기
  • 우주항공 글로벌 강국을 향해서 내용열기
    우주항공 글로벌 강국을 향해서
    정부는 우주항공 분야를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여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래성장과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우주항공·해양’ 분야 내 대형 다단연소사이클엔진, 우주관측·센싱, 달착륙·표면탐사, 첨단 항공가스터빈엔진·부품이 포함되어 있으며, ‘첨단 모빌리티’ 분야에 도심항공교통(UAM)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을 준비하여 입법예고를 하고 있다. 또한 한국 정부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22.11)’을 통하여 우주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우주개발 중장기 목표와 방향 설정을 위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2.12)’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
    아울러, 정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통하여 2025년에 차세대 모빌리티 도심항공교통인 UAM의 상용화 서비스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이다. 민간주도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 기존 안전·운송제도 틀이 아닌 새로운 제도틀 구축,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으로 선진업계 진출 및 성장 유도를 골자로 하여 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고려 미래핵심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항공엔진 기술 자립화, 항전 3대기술(센서, 비행제어, 항법) 및 ICT 융합기술 집중 개발을 중점 사항으로 하며, 국제공동개발 참여 역량 강화 및 무인기, 스마트 캐빈 등 ICT 융합형 틈새시장 공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비전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

    성과목표

    우주탐사 영역 확장
    핵심 우주탐사 임무 완수
    (‘22 現수준) 달 궤도선 임무
    (‘32) 달 착륙 및 표면임무
    (‘45) 화성 착륙
    우주개발 투자 확대
    정부 우주개발 투자
    (‘21, 現수준) 0.73조원
    (‘27) 1.5조원(2배수준)
    민간 우주산업 창출
    우주 산업 세계시장 비중 (매출액 기준)
    (’21, 現수준) 약 1%
    (‘45) 10%(주력산업 수준)

    장기 전략목표로서의 5대임무, 이행수단으로서의 2대 실천전략 설정

    5대 장기 우주개발 미션(Mission) 설정

    우주개발 투자 확대
    1. 01. 우주탐사 확대 : 독자적 우주 탐사계획 추진
    2. 02. 우주수송 완성 : 우주수송 서비스 능력·인프라 완성
    3. 03. 우주산업 창출 :우주 新산업을 주력산업化
    4. 04. 우주안보 확립 : 우주·지상 안보 지원체계 확립
    5. 05. 우주과학 확장 : 국내역량 주도의 선도형 연구 추진

    추진전략

    전략 1 – 우주 경제 기반 구축
    1. 산업 생태계
    2. 국가 거버넌스
    3. 전문인력 확보
    4. 글로벌 리더십
    5. 우주안보 체계
    전략 2 – 첨단 우주기술 확보
    1. 발사체·인프라
    2. 위성·서비스
    3. 우주탐사·과학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이행을 위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22)
  •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 체제 내용열기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 체제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전남(발사체), 경남(위성), 대전(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을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했다. 우주산업 근간인 우주 발사체와 위성 산업 특화지구를 각 지정, 미래 신산업 창출 지원하기 위해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지정한 것이다.
    "우주산업 클러스터 기본방향"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해미: 시험평가센터(86정비창, 비행시험)
    • 대전: 대덕연구단지(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주요업체 R&D센터, 항공전자 특화지역)
    • 고흥: 나로우주센터(항발사체 조립, 로켓발사시설, 무인기 비행시험)
    • 창원: 기계산업단지(기계 및 메카트로닉스 특화산업단지 20개 이상의 항공업체)
    • 부산: 김해산업단지(대한항공(항공우주사업본부) 30개 이상의 항공업체)
    • 사천: 항공산업특화단지(항공기 최종 조립장 위치, 항공기체 특화지역 40개 이상의 항공업체, 외국인투자지역)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안)(2022)
    항공산업은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업체와 시험·평가 시설 구축되어 있다. 사천에 항공산업특화단지가 형성되어 KAI 등 주요 항공업체가 거점을 두고 있으며, 영천에 항공전자 MRO 클러스터가 있다.
    "항공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수도권 227개(50.6%)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수도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 기기 제작 기업체 (주)엘아이지넥스원
      에이피 위성(주)
      연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대학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위성 활용 기업체 (주)휴맥스
      (주)케이티스카이라이프
      케이티샛
      대학 아주대학교 우주전자정보공학과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우주과학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강원권 6개(1.3%)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강원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위성활용 기업체 지트
      우주활용 대학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충청권 114개(25.4%)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충청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기기 제작 기업체 (주)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기관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소
      대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우주활용 기업체 넴코어스
      (주)케이앤에스 아이앤씨
      연구기관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한국천문연구원
      대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 영남권 85개(18.9%)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영남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우주기기 제작 기업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한공우주산업(주)
      연구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성활용 기업체 (주)디젠
      대학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환경과학공학전공
    • 호남권 14개(3.1%)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호남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기기제작 기업체 데크항공(주)
      캠틱종합기술원
      우주활용 연구기관 국립농업과학원
      대학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제주권 2개(0.6%)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제주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위성활용 기업체 아라세이프
      우주활용 연구기관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우주산업의 기업들은 주로 수도권과 충청권에 분포(375개, 73.6%)하고 있다. 수도권에는 위성체, 발사체 제작 등 다양한 우주 관련 기업(264개)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충청권에는 ㈜쎄트렉아이 등 위성 관련 주요 업체들이 거점을 형성하고 있다.
    "항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수도권 227개(50.6%)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수도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 기기 제작 기업체 (주)엘아이지넥스원
      에이피 위성(주)
      연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대학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위성 활용 기업체 (주)휴맥스
      (주)케이티스카이라이프
      케이티샛
      대학 아주대학교 우주전자정보공학과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우주과학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강원권 6개(1.3%)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강원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위성활용 기업체 지트
      우주활용 대학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충청권 114개(25.4%)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충청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기기 제작 기업체 (주)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기관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소
      대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우주활용 기업체 넴코어스
      (주)케이앤에스 아이앤씨
      연구기관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한국천문연구원
      대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 영남권 85개(18.9%)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영남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우주기기 제작 기업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한공우주산업(주)
      연구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성활용 기업체 (주)디젠
      대학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환경과학공학전공
    • 호남권 14개(3.1%)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호남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우주기기제작 기업체 데크항공(주)
      캠틱종합기술원
      우주활용 연구기관 국립농업과학원
      대학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제주권 2개(0.6%)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제주권) 표로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정보제공
      분야 구분 주요 기업
      위성활용 기업체 아라세이프
      우주활용 연구기관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이미지 크게보기
    ※ 자료: 우주산업실태조사(2022)
    제주도청은 제주를 뉴스페이스 시대의 전초기지로 거듭나기 위하여 국가위성운영센터 개소, 우주발사체 해상 발사장 조성, 민간 우주 기업들과의 업무협약 등의 노력을 기하고 있다. 컨택, 아이옵스, SIIS,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가 제주도청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제주에서 거점을 확보하고 있다.
    "우주산업 지역별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이미지 크게보기
    ※ 제주도에 무슨일이...‘전파 청정지’에 몰리는 우주 스타트업, 머니투데이(2023.5.18.)
Invest KOREA담당자
항공우주 PM
임현정 기간산업유치팀
T.+82-2-3460-7888
E.hjlim1023@kotr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