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
- Home
- 유망산업·입지
- 제조업
-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
Automotive Parts
-
연간 400만대 이상 자동차 생산으로 강력한 자동차부품 기반 보유 내용닫기연간 400만대 이상 자동차 생산으로 강력한 자동차부품 기반 보유연간 400만대 이상의 자동차 생산 경험을 배경으로 구축된 한국 자동차산업 생태계는 부품산업의 지속 발전을 위한 기반으로 작용한다.
또한 IT 강국으로서 자동차의 스마트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에 향후에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세계 100대 자동차부품업체 순위(매출액 기준)에 따르면, 한국 부품업체는 8개사가 100대 부품업체에 선정되었고,
8개사의 매출액은 570억 달러로 100대 부품업체 매출의 6.8%를 차지한다."세계 100대 자동차부품 업체 중 한국업체 순위(매출액)"(단위 : 백만 달러)세계 100대 자동차부품 업체 중 한국업체 순위(매출액)표로 년도별(2010,2015,2019) 업체명, 납품액 정보제공 2010 2015 2019 업체명 납품액 업체명 납품액 업체명 납품액 현대모비스(9위) 14,433 현대모비스(6위) 26,262 현대모비스(7위) 26,155 현대위아(45위) 4,115 현대위아(29위) 7,480 현대트랜시스(36위) 7,374 만도(53위) 3,827 만도(45위) 5,560 현대위아(37위) 6,979 현대다이모스(92위) 1,338 현대파워텍(50위) 4,554 한온시스템(42위) 6,137 현대다이모스(71) 3,200 만도(50위) 4,893 현대케피코(88위) 1,898 SL(89위) 1,883 서연이화(94위) 1,695 ※ 자료 : Automotive News -
수출위주 성장세 지속 내용열기수출위주 성장세 지속한국 자동차부품산업의 2019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6.5% 증가한 약 654억 달러(한화 76.1조원)이며,
자동차부품산업의 매출액 규모는 전방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꾸준하게 성장하여 2010년 약 518억 달러(한화 58.8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2.9%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 중 OEM 매출이 66.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이 28.8%, AS부품이 4.7%를 차지한다.2019년 기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자동차부품의 비중은 4.2%로 높은 편이며 무역수지 흑자도 171억 달러에 달한다.
주요 수출 품목은 기타 자동차 부품, 변속기, 차체 기타 부분품, 제동장치와 부분품 등이다.※ 출처 : 통계청, 무역협회자동차부품산업 통계로 구분, 년도 정보제공 ※ 출처 : 자동차산업협회 「자동차통계월보」 무엽협회 통계
※ 주석 : 생산 및 내수 : 완성차
※ 주석 : 수출입 금액 : MTI, MTI742 합산기준 -
글로벌 자동차부품 기업 대거 한국 진출 내용열기
-
미래자동차로의 전환 가속 내용열기미래자동차로의 전환 가속한국 정부는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을 통해 2030년 세계 친환경차 시장점유율 10% 달성과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기술확보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2030년까지 민간부문에서 516억 달러(한화 60조원) 규모의 투자금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 인텔, 엔비디아, 바이두 등과 협력하여 관련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등
2022년까지 운전자가 수동운전으로 복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스스로 안전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출시할 계획이다.전기 동력차 관련 부품에 대한 정부의 기술/연구개발 지원(전기차) 주행거리 향상(400km → 600km), 충전시간 저감(200kW → 400kW)과 함께 핵심부품 기술 고도화 추진(4.5억 달러 규모 예비타당성조사 진행 중)핵심부품 : 배터리셀, 배터리 모듈,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차량탑재 충전모듈(OBC: On Board Charger)IT 기술에 기반을 둔 자율주행차 및 관련 부품 국산화 계획전자ㆍ통신ㆍIT 등과 자동차부품업체 간 융복합 기술 개발(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융복합 센싱 및 AI 기반 주행제어 기술 등) 및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지원 등을 추진(약 9억 달러,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핵심부품 : 전방 및 측방 영상센서 모듈, 77/79㎓ 듀얼밴드 레이더,저가형 라이더 센서, 사고 데이터 저장장치(ADR), V2X 통신기술, 디지털맵, 보급형 복합측위, 운전자-차량인터페이스(HVI모듈), 통합 DCU(Domain Control Unit) -
전국적으로 분포한 자동차산업 입지 내용열기전국적으로 분포한 자동차산업 입지한국 자동차산업은 비교적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으며,수도권을 비롯한 서해안 지역 클러스터,
울산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 클러스터, 광주·군산 등 호남권 클러스터로 구분된다.
수도권에는 기아차, 한국GM의 완성차 공장이 있으며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를 비롯한 연구소 및 공장,
자율주행차 전용 실험도시(K-City)가 있다. 충청권은 124개의 1차 협력업체가 천안, 아산, 당진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분포 하였으며 동남권은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차, 한국 GM등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와
337개 1차 부품업체가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다.국내 완성차 공장 및 1차 부품업체 분포도국내 완성차 공장 및 1차 부품업체 분포도- 서울:부품업체 37개
- 강원:부품업체 4개
- 인천:부품업체 50개
- 인천:GM대우 44만대
-
경기:부품업체 117개
- 소하리:기아 32만대
- 화성:기아 56.3만대
- 평택:쌍용 15.3만대
-
충남:부품업체 78개
- 서산:동희오토(기아) 15만대
- 아산:현대 30만대
- 대전:부품업체 8개
- 충북:부품업체 21개
-
전북:부품업체 72개
- 군산:타타대우 2만대
- 전주:현대 10.3만대
- 경북:부품업체 68개
- 대구:부품업체 47개
- 전남:부품업체 8개
-
광주:부품업체 28개
- 광주:기아 60만대
-
울산:부품업체 33개
- 울산:대우버스 0.5만대
- 울산:현대 141만대
-
경남:부품업체 118개
- 창원: GM대우 : 21만대
-
부산:부품업체 67개
- 부산:르노삼성 30만대
※ 자료 : KAICA 완성차 각사
※ 자료협조 : 산업연구원
※ 주 : 2019년 생산능력 기준
Invest KOREA담당자
자동차부품 PM
이철순
기간산업유치팀
T.+82-2-3460-7724
입지정보 추천
산업단지 정보
[충청남도 서산시] 명천자동차전문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명천자동차전문단지
-
최초지정일2003.07.21
-
지정면적(km2)142,673
-
관리기관충청남도 서산시
-
인근철도역홍성역
-
역과 거리(km)50
-
인근공항군산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24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54(㎥/일)[공업용수/생활용수 구분 없음]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남도 서산시
-
인구수(명)175,272
산업단지 정보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월전중소협력외국인)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평동(월전중소협력외국인)
-
최초지정일2013.05.15
-
지정면적(km2)99,060
-
관리기관한국산업단지공단
-
인근철도역광주역
-
역과 거리(km)21
-
인근공항광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7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광주광역시 광산구
-
인구수(명)1,454,154
산업단지 정보
[충청남도 서산시] 서산오토밸리일반산업단지[구:서산]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서산오토밸리일반산업단지[구:서산]
-
최초지정일1997.01.24
-
지정면적(km2)3,989,547
-
관리기관충청남도 서산시
-
인근철도역삽교역
-
역과 거리(km)49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23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7,432(㎥/일)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남도 서산시
-
인구수(명)175,272
산업단지 정보
[울산광역시 북구] 달천농공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달천농공단지
-
최초지정일1997.03.11
-
지정면적(km2)259,634
-
관리기관울산광역시 북구
-
인근철도역호계역
-
역과 거리(km)4
-
인근공항울산공항
-
공항과의 거리(km)8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울산광역시 북구
-
인구수(명)1,140,310
산업단지 정보
[강원도 원주시] 원주자동차부품일반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원주자동차부품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8.07.10
-
지정면적(km2)92,917
-
관리기관강원도 원주시
-
인근철도역동화역
-
역과 거리(km)5
-
인근공항원주공항
-
공항과의 거리(km)2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강원도 원주시
-
인구수(명)352,964
산업단지 정보
[전라북도 완주군] 완주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완주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0.12.31
-
지정면적(km2)1,311,399
-
관리기관전라북도 완주군
-
인근철도역삼례역
-
역과 거리(km)11
-
인근공항군산공항
-
공항과의 거리(km)62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4,792(㎥/일)
-
소속 기초 지자체전라북도 완주군
-
인구수(명)9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