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 Home
- 유망산업·입지
- 제조업
- 반도체
반도체
Semiconductor
-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종합 반도체 세계 2위 기록 내용닫기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종합 반도체 세계 2위 기록2019년 기준 한국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점유율은 18.4%로 2013년 이후 세계 2위를 지속하고 있다.
특별히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58.4%를 차지하였으며, DRAM 71.6%, NAND는 45.9%를 점유하였다.한국 메모리반도체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쟁우위를 지키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한국은 초미세 공정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확대도 함께 추진 중이다.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2019) 전체 반도체- 한국 18.4%(789억 달러)
- 미국 50.6%(2,169억 달러)
- 일본 10.0%
- 유럽 9.5%
- 중국 4.7%
- 기타 6.8%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시장 점유율(2019) 메모리- 한국 58.4%(657억 달러)
- 미국 28.7%
- 일본 8.2%
- 대만 4.0%
- 중국 0.4%
- 기타 0.3%
※ 자료 : OMDIA 2020 -
한국 최대 수출품목으로 국가 경제 주도 내용열기한국 최대 수출품목으로 국가 경제 주도2019년 국내 반도체 총 매출은 789억 달러이며, 이 중 메모리반도체가 657억 달러로서
전체 반도체 매출액의 83.3%를 차지한다. 또한 반도체는 한국 최대 수출품목으로서
2019년 기준 전체 수출의 17.3% 비중을 차지하며 한국 경제와 산업을 선도한다."한국 반도체 수출 추이" -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한국 반도체 시장 진출 확대 내용열기글로벌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한국 반도체 시장 진출 확대한국의 주력산업인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소재, 부품, 장비 분야의 많은 글로벌 기업이 한국으로 진출하고 있다.반도체 식각 및 증착 장비를 주력으로 하는 미국의 램리서치는 램리서치는 2011년 램리서치매뉴팩춰링코리아를
설립한 이후 지속적으로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2019년 국내 생산장비 5,000호기를 출하하였다.
또한, 2019년 9월에는 R&D 시설 ‘한국 테크놀로지센터'를 개소하였다.대만의 실리콘웨이퍼 제조업체 글로벌웨이퍼스는 한국에 MEMC코리아를 설립한 후 2019년 제2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2인치 실리콘웨이퍼를 생산하고 있다.이외에도 헨켈, 듀폰, 온세미컨덕터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반도체시장 진출을 위해 한국에 투자한 바 있다. -
시스템반도체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도모 내용열기시스템반도체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도모한국정부는 “시스템반도체 발전 전략(2019.4)”,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2020.10)” 등을 통해
메모리반도체를 넘어 시스템반도체를 육성하고 종합 반도체 강국이 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2030년까지 한국 팹리스 및 파운드리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각 10%, 35%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용 펀드를 조성하고 금융,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등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정부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또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2019.8)”에 따라 핵심 전략품목에 대한 외국인투자 현금 지원 비율을
최대 40%까지 확대하고, 외투지역 입주 시 최대 50년까지 임대료를 무상 제공하며, 전략 품목에 대하여
신속한 인허가, 도로/전력 등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2030 종합 반도체 강국 비전" -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클러스터 내용열기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클러스터국내 반도체 업체는 경기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외 충북, 충남 등에 일부 분포되어 있다.삼성전자는 경기도 수원, 기흥, 화성에 이어 평택에 공장을 건설함으로써 평택에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벨트를
구축할 예정이며, SK 하이닉스는 경기도 용인시에 448만 ㎡ 규모로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2021년 착공 후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반도체를 양산할 예정이다."한국 내 반도체 클러스터"
Invest KOREA담당자
반도체/디스플레이 PM
조세영
기간산업유치팀
T.+82-2-3460-3239
입지정보 추천
산업단지 정보
[경기도 수원시] 수원델타플렉스(3블럭)[구:수원3]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수원델타플렉스(3블럭)[구:수원3]
-
최초지정일2008.12.26
-
지정면적(km2)847,409
-
관리기관경기도 수원시
-
인근철도역수원역
-
역과 거리(km)4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4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3195(㎥/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수원시
-
인구수(명)1,190,074
산업단지 정보
[경기도 성남시] 판교제2테크노밸리[구:판교창조경제밸리]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판교제2테크노밸리[구:판교창조경제밸리]
-
최초지정일2015.11.30
-
지정면적(km2)430,402
-
관리기관경기도 성남시
-
인근철도역옥수역
-
역과 거리(km)19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45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025(㎥/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성남시
-
인구수(명)940,668
산업단지 정보
[경기도 화성시] 화성송산테크노파크일반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화성송산테크노파크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6.12.26
-
지정면적(km2)528,723
-
관리기관화성도시공사
-
인근철도역수원역
-
역과 거리(km)34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59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2,034(㎥/일)[공업용수/생활용수 구분 없음]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화성시
-
인구수(명)842,864
산업단지 정보
[경기도 군포시] 군포첨단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군포첨단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3.12.27
-
지정면적(km2)287,619
-
관리기관경기도 군포시
-
인근철도역수원역
-
역과 거리(km)10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38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1,376(㎥/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군포시
-
인구수(명)275,508
산업단지 정보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2일반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증평2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09.11.20
-
지정면적(km2)702,807
-
관리기관충청북도 증평군
-
인근철도역증평역
-
역과 거리(km)6
-
인근공항청주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17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3,348(㎥/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충청북도 증평군
-
인구수(명)81,949
산업단지 정보
[경기도 평택시] LG Digital Park 일반산업단지
세부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산업단지공단의 Smart K-Factory 서비스의 해당 정보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단지명LG Digital Park 일반산업단지
-
최초지정일2012.04.26
-
지정면적(km2)125,312
-
관리기관경기도 평택시
-
인근철도역오산역
-
역과 거리(km)22
-
인근공항김포국제공항
-
공항과의 거리(km)72
-
공업용수 공급용량(톤/일)-
-
가정용수 공급용량(톤/일)-
-
소속 기초 지자체경기도 평택시
-
인구수(명)527,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