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제주 탐라 해상풍력발전단지
[촬영 차대운]
고정입찰 선정사 간담회…"앞선 낙찰사업 성공적 정착 중요"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회의실에서 고정가격 계약 경쟁 입찰을 통해 해상풍력 사업을 벌이는 사업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 주재로 열린 간담회는 풍력발전 사업자들의 어려움을 듣고,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민간 중심 풍력발전 개발 사업 활성화 흐름에 따라 지난 2022년 풍력발전 고정가격 계약 경쟁 입찰 제도를 도입했다.
고정가격 경쟁 입찰에서 선정된 사업자는 생산한 전기를 20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권리를 보장받아 장기적으로 안정적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2022년 이후 15개 프로젝트가 고정가격 경쟁 입찰에서 선정됐다. 총 설비용량은 4.1GW(기가와트)에 달한다.
이 가운데 1개 프로젝트가 준공되고, 2개 프로젝트는 착공 후 건설이 진행 중이다. 나머지는 군 작전성 협의,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등 복잡한 인허가, 해상풍력 설치선 전용 부두 같은 인프라 부족,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비용 증가 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산업부는 진단했다.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핵심 국정 과제로 내건 이재명 정부는 계획적 대규모 개발이 가능한 해상풍력을 재생에너지 확충의 핵심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전 확정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2024∼2038년 적용)에는 2030년까지 우선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를 도입한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여기에만 약 100조원 규모의 민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정부는 향후 확정할 12차 전기본(2026∼2040년)을 통해 이보다 보급 목표를 더욱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호현 차관은 "국내 해상풍력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낙찰 사업 4.1GW의 성공적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선행 프로젝트들이 책임 있게 완주하며, 후속 프로젝트들의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국내 해상풍력 보급 확산 기반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h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2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