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경북도 "5년내 노벨상 수상자 배출"
작성일
2011.09.20
제목 없음

연합뉴스에 따르면,

   과학기술 비전ㆍ10대 프로젝트 발표

   경북도는 2020년까지 대구-울산-포항을 연계한 '경북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모델을 마련하고 세계 유일의 3대 가속기를 활용한 가속기융합클러스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도가 오는 19일 대구의 한 호텔에서 '경북과학기술 대토론회'를 열어 21세기 세계시장을 선도할 경북의 과학기술 비전과 10대 브랜드 프로젝트를 발표한다.

   토론회에는 '글로벌 리딩을 위한 과학 경북의 새로운 도전과 전략'을 주제로 국가과학기술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와 지역전문가 등 150여명이 참여해 경북의 중장기 과학발전 청사진을 제시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국가과학기술위 김화동 상임위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이준승 원장,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송종국 원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조연설에서 이준승 원장은 한국이 세계시장을 선도할 창조적 혁신과 융합의 중요성을, 김용민 포스텍 총장은 원천기술개발 역량 확보를 위한 대학의 역할과 산학연계 지역발전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아태이론물리센터 피터 풀데 소장은 막스플랑크연구소 유치를 통한 경북형 과학벨트 성공 가능성에 관해 발표한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5년 이내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및 창의적 과학풍토 조성 등 과학발전 모델을 제시한다.

   도는 최근 지역의 과학기술 전문가와 워킹그룹을 구성해 과학경북 2020 비전 및 10대 핵심전략 프로젝트를 수립했다.

   과학경북 2020비전 달성을 위한 4대 전략은 기초과학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 역량 강화, 대형연구시설 확보로 첨단인프라 구축, 문화예술과 접목한 창의적 혁신풍토 조성, 글로벌 과학커뮤니티 조성 등이다.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프로젝트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모델 마련, 가속기융합클러스터 구축, 첨단신소재 연구개발벨트 구축, 나노융합 글로벌 허브 구축 등이다.

   이외에 전략프로젝트로 로봇기술을 활용한 동해안 안전성 확보, 과학기술핵심인재 확보, 차세대 워터 사이언스 육성, 그린 IT 융복합산업육성 등이 제시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과학기술정책은 중앙정부의 전유물이 아니며 지방과 중앙의 협력을 필요로 하는 사안이 됐다"며 "기초원천기술을 비즈니스로 연결하기 위해 정부, 산학연이 함께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1.09.16)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