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 기업의 국내 투자가 크게 늘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4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상반기 FDI(신고기준)는 71억1천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2.5% 증가했다.
도착금액(잠정)은 53.7% 늘어난 44억5천만 달러였다.
지경부는 "엔고 현상 등으로 일본기업의 해외 투자가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투자도 3배로 급증했고 자유무역협정(FTA)에 힘입어 미국, 유럽연합(EU) 등 거대 경제권에 진출하려는 다른 외국 기업의 국내 투자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의 투자가 26억3천700만 달러로 196% 늘었다.
제조업(253.2%)과 서비스업(162.1%) 모두 대폭 늘었는데 특히 금속(860.9%), 화공(364.7%), 비금속광물(340.0%) 등 국내 대기업과 협력 관계에 있는 일본 부품소재 기업의 투자 증가폭이 컸다.
일본무역진흥회 통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일본의 해외 투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5.2% 늘어난 263억 달러를 기록했고 이 중 한국에 대한 투자 비중은 작년 2.1%에서 올 1분기 3.5%로 높아졌다.
일본과 함께 미국의 투자도 13.1% 늘어난 12억5천700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재정 위기에 빠진 EU의 투자는 14억100만 달러로 31.6% 줄었다.
이밖에 중국의 투자는 17.8% 감소한 1억8천700만 달러, 홍콩·대만·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중화권의 투자는 136% 증가한 10억5천900만 달러, 중동의 투자는 91.5% 줄어든 6천700만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가 34억7천900만 달러로 55.9% 늘었고 서비스업 투자는 34.8% 증가한 35억7천400만 달러였다.
형태별로는 신규 공장, 사업장 설립 등 고용 창출과 관련한 그린필드형 투자가 13.8% 증가한 51억2천400만 달러, 기존 기업 지분 취득, 인수합병 등으로 이뤄지는 M&A형 투자가 130.0% 늘어난 19억8천200만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유럽 재정위기와 중국 등 신흥국 성장 둔화로 대외 여건이 나빠지고 있어 하반기 FDI 확대 지속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일본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와 미국의 완만한 회복 가능성 등은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지경부는 전망했다.
지경부는 "유치 기회가 상대적으로 큰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투자유치활동을 펼 계획"이라며 "부품 소재 분야 일본 기업 투자 유치 활동을 강화하고 일본 주요 거점 도시에서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여는 한편 중국 투자가의 관심이 높은 관광, 레저 분야에 대한 투자 유치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