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한상의 보고서…對中 교역량 35배 확대
지난 20년간 한국과 중국의 교역이 없었다면 매년 16억달러의 무역적자를 봤을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한·중수교 20주년을 맞아 '통계로 본 한·중 수교 20주년'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양국간 수교 이후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는 2천726억달러로 같은 기간 전체 흑자 규모인 2천397억달러를 넘었다.
이는 그간 대중국 흑자를 제외하면 매년 16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봤다는 의미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1992년 우리 경제의 교역량은 미국(23.0%), 일본(19.6%)이 전체의 40%를 넘고 중국은 4.0%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중국(20.4%), 일본(10.0%), 미국(9.3%)순으로 바뀌었다.
중국과의 교역량은 35배로 확대됐다.
대중국 직접투자도 1992년 1억4천만달러 수준이었으나 작년 35억8천만달러로 25.3배 늘었다.
수교 원년 12억달러였던 중국 농산물 수입은 45억달러로 급증했다.
국내 수입김치와 수입마늘은 전량이 중국산이고, 팥(99.5%), 당근(98.3%), 양파(94.4%), 고추(93.2%)는 90%를 넘는다.
쌀은 중국산이 52.8%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 생활용품은 수교 당시 9천만달러였지만 작년 33억5천만달러로 37배가 늘었다.
수입 생활용품 시장에서 중국산은 53.7%를 차지했다.
양국간 관광교류도 크게 증가해 수교 원년 9만명이었던 방한 중국인 수는 작년 222만명으로 24.7배 늘었고 중국 관광을 떠나는 한국인도
같은 기간 4만명에서 418만5천명으로 105배 급증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