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뉴시스통신사에 따르면,
2013년 국토교통부 국정과제 실천계획의 미래창조기업 산업입지 중점지원 4건 중 하나인 '밀양 나노융합산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8일 밀양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지난 4일 오전 10시 정부 세종 청사에서 가진 '2013년도 국토교통부 업무보고회'에서 국민이 행복한 국토 창조 건설을 위한 6대 국정과제 실천방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은 업무보고를 통해 국토부가 앞으로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고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국민의 행복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의 핵심 조건을 '좋은 일자리'로 보고 첨단산업과 전통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많은 비중을 두고, 우선 산업단지를 창조기업의 인큐베이터(성장 모태)로 조성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제조업 고용의 48%를 차지하는 일자리의 보고인 산업단지(산업단지 제조업 고용 비중은 2000년도 29.2%, 2004년도 33.8%, 2008년도 42.8%, 2009년도 45.1%, 2011년도 47.8%)조성을 지역 창조기업의 성장 모태로 조성한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밀양(나노), 거제(해양플랜트), 사천(항공), 원주(의료) 등에 미래 창조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산업 입지 확충을 중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9월까지 입지수요를 조사·분석하고, 10월까지 지원 대책 수립, 상반기 중 도시 첨단 산단을 미래 융복합 산업 입지가 가능한 (가칭)미래창조산업단지로 개편한다는 제도개선을 추진(산입법 개정안 마련)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가운데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 정부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밀양에서 개발하는 나노융합기술이 2012년 11월에 지경부 국책사업 '전략적 핵심소재 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고, 12월에는 산업부에서 '나노 플러스 2020계획'을 발표해 나노융합산업단지 조성추진과 지역별 특화된 나노 인프라 기관 구축 등 앞으로 추진 계획을 밝혔다. 지난 2월 정부 140대 국정과제에도 반영되기도 했다.
지금까지 산업정책 입안과 실행 등 산업단지 조성 계획 부처인 산업자원 통상부는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산업단지 승인 부처인 국토부는 소극적 입장이었다.
그러나 새 정부가 5대 국정 목표 중 첫 번째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를 제시하고, 신성장 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추구한다는 창조경제론을 내 세우는 상황에서 지난 4일 국토교통부는 2013년 업무보고를 통해 미래 창조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산업입지를 중점 지원한다는 내용을 밝혔다.
밀양 나노가 이에 포함돼 국토부의 한층 더 진일보된 긍정적인 자세가 돋보이며,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 정부의 창조경제론과 나노융합산업 정책의 주무부처의 적극적인 의지와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경남도 핵심정책으로 선정하고,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행정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에 시는 부북면 일원 12만 4000㎡에 2016년까지 나노융합연구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며, 센터 일원 343만㎡에 별도의 연구·개발(R&D) 시설과 상용화할 기업들이 입주할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또 나노융합 클러스터 구축용역을 마쳤고, 이를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중 예비 타당성 심사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며, 정부의 입지수요 조사·분석에 앞서 발 빠르게 부지조성 등 기반구축을 할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지역주민 이모(부북면 오례리)씨는 "새 정부에서 이렇게 신경을 써 준다니 이제 지역 경기가 살아나고 더 살기 좋아질 것 같아 너무 기쁘다" 며 "이 시점에서 시가 지금이라도 나노융합연구센터 부지 보상을 빨리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가 부지 조성을 미루는 동안 다른 시에서 빨리 움직이면 지정도 못 받는 일이 앞에도 있었다"며 "빨리 부지를 조성해야 정부에서 국가산단을 지정할 때 유리하지 않겠느냐"며 나노산단 유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엄용수 시장은 "나노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약된 부산대 나노과학기술대학과 밀양 나노센터의 협력 강화로 지역 특성에 맞는 연구 과제를 제시해 밀양 발전 방안과 새 정부에서 주장하는 창조경제와 서로 일맥상통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