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2017년까지 콘텐츠 100억 달러 수출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문체부에서는 2200억원의 글로벌 펀드, 미래부에서는 1200억원의 디지털콘텐츠 코리아 펀드 조성 등 글로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활성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부와 문체부는 12일 제137차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콘텐츠 해외진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양 부처는 지역별 맞춤형 마케팅 활성화, 수출 콘텐츠 경쟁력 강화, 해외진출 지원 기반 구축, 호혜적 교류 협력 확대 등 4개 추진 전략 하에 10개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미래부와 문체부는 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서의 콘텐츠 진출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이를 위해 코트라(KOTRA) 등과 협력해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한국콘텐츠 공동홍보관 운영 등을 확대해 나간다.
아시아 지역에서의 한류의 확산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 문체부는 영화, 애니메이션 등 공동제작을 추진하며, FTA 협상시 문화산업 개방과 저작권 확보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미래부는 아시아·태평양 방송연맹(ABU) 등을 활용해 아시아 문화·역사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 공동제작을 추진한다.
미국, EU 등 전략시장에서는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협업을 강화하고, 미국 현지투자를 통한 한국 콘텐츠 지원 유도와 3D, CG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기업 수주를 지원한다.
'수출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산업별 특성에 맞는 해외진출 전략을 수립한다. 특히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방송, 뮤지컬, 융합콘텐츠 등 킬러콘텐츠 중심의 장르별 특화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국내 UHD(울트라HD) 서비스분야별 표준안을 마련하고, UHD 핵심원천 특허와 표준필수 특허 확보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스마트콘텐츠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를 위해 콘텐츠 전송망, 서버, 클라우딩 등 인프라 운영 지원과 스마트콘텐츠 Test-Bed도 제공할 예정이다.
'해외진출 지원 기반 구축'을 위해서는 글로벌 콘텐츠 제작, 유통, 마케팅 융합형 전문인력과 다양한 콘텐츠의 언어별 번역을 위한 번역 전문인력을 양성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글로벌 펀드(2200억원, 문체부), 디지털콘텐츠 코리아 펀드(1200억원, 미래부), 수출영화에 대한 마케팅(P&A) 투자 전담 펀드 조성을 통해 글로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수출입은행은 한류콘텐츠에 대한 금융지원을 2013년 1800억원 규모에서 2017년 2500억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무역보험공사는 콘텐츠에 대한 수출신용보증을 2017년까지 70억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호혜적 교류 협력 확대'를 위해 한중간의 우호협력 프로젝트인 한·중 펑요우(朋友)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한·중 콘텐츠 협력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례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콘텐츠 포럼'을 운영한다. 한중 문화산업 협력 MOU 체결을 통해 '한중 문화산업 포럼' 개최를 정례화하며 한중 문화산업 협력 MOU 체결 등 중국 현지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한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