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항공기 지상이동유도 시스템 국산화 개발 사업이 본격 착수된다.
국토교통부는 국제 경쟁력강화 및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항공기 지상이동안내 및 통제시스템'(A-SMGCS) 국산화 개발 사업을 올 2월부터 본격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A-SMGCS는 공항주변 항공기에 대한 운항정보, 기상정보 및 지상감시레이다와 연계한 위치정보 등을 기반으로 공항 내 모든 이동물체를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필요시 최적경로를 자동으로 지정(Routing)해 주며, 항공등화를 자동으로 점·소등해 조종사나 운전자에게 경로를 안내한다.
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경보(Alert)를 보내 지상이동을 통제(Control)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공항운영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에 해당한다.
국산화 개발 사업에는 인천·한국공항공사를 비롯해 항공대·한서대·한국산업기술시험원·LS산전·인성정보 등 13개 기관 및 업체가 참여한다. 2018년 7월까지 4년6개월간 약 196억원의 개발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A-SMGCS 개발이 완료되면 향후 국내 수요로만 10년간 약 600억원의 수입 대체효과와 국산화에 따른 150억원의 원가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가차원에서 '첨단 항공기 지상이동유도 및 통제시스템'을 개발하고 국내외 공항개발사업에 적용함으로써 해외 선진국에 의한 기술적 종속을 탈피하게 될 것"이라며 "기술개발을 통한 항공 산업 발전뿐 아니라 국내기술력도 지속적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