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평가 결과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작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세계 8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연구개발(R&D) 투자 등 양적인 측면에서 개선됐지만, 지식재산권보호 등 질적 측면은 약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3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8위를 차지해 전년보다 한 단계 높아졌다고 27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2006년부터 매년 시행하는 이 평가는 과학기술혁신역량을 자원, 환경, 네트워크, 활동, 성과 등 5개 부문, 13개 항목으로 나누어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COSTII)를 산출하고서 OECD 30개국을 비교·분석한다.
미래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2위에서 1위로 오르는 등 양적 지표의 순위 상승이 종합순위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GDP 대비 정부 연구개발예산은 5위에서 2위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5위에서 4위로 상승했다.
지식재산권 보호가 24위에서 25위로 낮아지는 등 질적 측면은 계속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새로운 문화에 대한 태도(26위→25위), 연구원 1인당 논문 피인용도(29위→29위) 등도 저조했다. 분석대상에 2009년 지표가 포함된 창업활동 항목도 15위에서 22위로 떨어졌다.
부문별로는 연구개발 투자 등으로 대표되는 활동부문이 4위로 강점을 보였지만 R&D 지원제도, 문화 등으로 구성되는 환경 부문은 20위로 낮았다.
국가별로는 미국(1위), 스위스(2위), 일본(3위)이 지속적으로 상위 그룹을 형성했다.
스웨덴(5위→4위), 네덜란드(7위→5위)는 전년보다 순위가 상승했지만 독일(4위→6위), 핀란드(6위→7위)는 하락했다. 아이슬란드는 8위에서 9위로 떨어져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밀렸다.
미래부 이동형 과학기술정책국장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공계 전문인력 양성, 해외우수인력의 유치, 출연연구소 육성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연구자와 연구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이어 "지속적인 제도 개선으로 과학기술혁신활동을 촉진하고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문화적 태도나 혁신환경 등 취약 지표에 대한 개선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arriso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