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함께 진행하는 창조경제 프로젝트 추진에 오는 2017년까지 약 7560억원이 투입된다.
올해 하반기부터 창의상품을 유통하는 한국판 '도큐핸즈'가 구축되고 ESS, 탄소섬유 복합재료, 비만·건강관리 등 3개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6일 현오석 부총리겸 기재부 장관이 주재하는 '창조경제 민관협의회' 제2차 회의에서 미래성장동력 플래그십 프로젝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KT광화문지사 1층 드림엔터에서 개최됐으며 창조경제 관련 8개 주요 부처의 장과 8개 주요 경제단체장이 참석했다.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이하 추진단) 미래성장동력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ESS(Energy Storage System) 프로젝트 ▲탄소섬유 복합재료 프로젝트 ▲비만·건강관리 서비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추진단은 에너지 수급관리와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해 'ESS(Energy Storage System)' 프로젝트를 선정해 한전 주도하에 오는 2017년까지 6250억원을 투자한다.
ESS란 전력이 남는 시간에 이를 저장해 뒀다가 수요가 많을 때 방출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위해 ▲전력계통 주파수 조정용 ▲수요반응 및 비상발전용 ▲신재생에너지 연계용으로 ESS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효성이 실증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아울러 SK D&D 주도로 민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2016년까지 870억원을 투자해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에 풍력발전소와 ESS를 설치하기로 했다.
탄소섬유 복합재료 프로젝트도 진행된다.
탄소섬유는 철을 대체할 고강도 초경량 소재로 미국, 일본, 독일 등 소수의 글로벌 기업이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오는 2017년까지 총 43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이중 326억원은 민간에서 담당한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철을 대체할 고강도 초경량 소재인 탄소섬유를 활용, 자동차 구조재, 택시, 버스용 천연가스 압력용기, 항고기 구조재 부품을 개발, 제작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탄소섬유 복합재료와 응용제품의 국산화를 앞당기고 자동차·항공우주 등 관련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
비만,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젝트에도 박차를 가하고 총 2억9000만원의 투자가 이뤄진다.
올 하반기에 300여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된 웰니스케어 기기로 신체상태를 측정해 병원진료, 스포츠센터 맞춤형 운동처방 등에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웰니스케어 서비스는 소득증가ㆍ고령화 등에 따라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번 시범사업은 웰니스케어 서비스의 산업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추진단은 창의상품 유통채널 구축키로 하고, 대학생 창업 지원정책 개선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창의상품이란 디자인과 기능을 혁신해 편의성을 높인 상품을 의미한다. 일본의 도큐핸즈는 다양한 창의상품을 선보여 지난 2012년 830억엔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박항식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조정관은 "이번에 선정한 세 분야는 미래 전망이 밝아 과거부터 많은 논의가 있어왔던 산업이었으나 개별기업 차원에서는 추진이 곤란하거나 이해관계자 간 이견이 있던 분야였다"며 "민간이 주도하려면 힘든 부분이 있어 이번 기회를 통해 추진단이 민간과 정부의 합의를 이끌어내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4.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