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한국, 2013년 기준 GDP 대비 R&D 투자비중 OECD 2위 수준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지난 20년간 2배 가량 증가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위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9일 세계과학정상회의 부대행사인 세계과학기술포럼 OECD 특별세션에서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이 발표한 'OECD 과학기술산업(STI) 스코어보드'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이날 'OECD 과학기술산업 스코어보드 2015', 'OECD 혁신전략 2015', 'OECD 프라스카티(Frascati) 매뉴얼 제7판' 등 최신 발간물 3종을 공식 발표했다.
STI 2015에 따르면 한국은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1995년 2.20%에서 2013년 4.15%로 20년 만에 2배 가량 증가했다. OECD 평균인 2.4%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이스라엘(4.21%)에 이어 OECD 2위다.
또 사물인터넷(IoT)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전송 휴먼인터페이스' 등 20개 와해성 기술 중 11개 분야에서 선도 주자인 것으로 평가됐다. 와해성 기술이란 기존 산업을 와해시킬 정도 파괴력을 지닌 급진적 기술혁신이다.
한국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양자컴퓨팅, 통신 등 ICT 관련 기술 분야에 있어 2010~2012년 세계 특허의 14.1%를 차지했다. 2005~2007년 4.8%에서 대폭 상승한 것이다.
앤드류 와이코프 OECD 과학기술혁신국(DSTI) 국장은 "연구개발-집약적 제조분야, 기술력을 보유한 인적 기반, 글로벌 기술의 선도적 역할을 이끄는 기업을 갖춘 한국은 차세대 생산혁명에 대한 준비가 됐다"고 평가했다.
OECD는 'OECD 혁신전략 2015' 보고서에서 2013년 기준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4.15%로 최고 수준인 한국을 가장 역동적으로 혁신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평가했다.
특히 혁신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의 성공사례로 한국 창조경제 정책을 독일의 '첨단기술전략', 핀란드의 'R&D 혁신 전략'과 함께 소개하기도 했다.
이밖에 OECD 프라스카티 매뉴얼 제7판은 R&D 조세지원에 대한 최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R&D에 관한 기본 정의 및 범위, 분류체계를 명확히 하고 R&D와 국민계정체계의 연계강화도 주문했다.
미래부는 개정사항을 반영해 연구개발 활동조사표를 설계하고 시범조사를 하기로 했다.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15.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