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온라인쇼핑 거래액, 15년간 16배 '쑥'…모바일 매년 2배씩↑
작성일
2016.06.17


온라인 여행·교통티켓·영화 예약 활발…4천% 이상 성장
역직구 판매액, 직구 역전 '눈앞'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온라인쇼핑 규모가 2000년대 들어 16배 이상 '폭풍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및 예약 서비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의 거래액은 4천% 이상 늘어났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쇼핑도 최근 3년간 매년 2배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수출액·역직구) 규모는 직접구매액(수입액·직구)보다 작았지만 증가 속도는 더 가팔랐다.

◇ 온라인쇼핑 거래 성장 속도, 미국·일본보다 빨라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본 온라인쇼핑 20년'을 보면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53조8천883억원으로 2001년(3조3천471억원)의 16.1배에 달했다.

15년간 매년 22.0%씩 성장한 셈이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2015년 기준 24조4천645억원으로 2013년 6조5천596억원의 3.7배에 이르렀다.

3년간 연평균 93.1%씩 큰 폭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온라인쇼핑 대비 모바일 거래 비중은 45.4%로 2013년 17.0%에서 3년 만에 28.4%포인트나 확대됐다.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는 꼬박 20년 전인 1996년 6월 시작됐다.

이후 온라인상에서 상품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오프라인 거래를 빠르게 대체했다.

통계청은 온라인쇼핑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2001년 1월부터 온라인쇼핑 통계를 개발해 제공했고 한 발짝 더 나아가 2014년부터는 모바일 거래 통계도 함께 내놓고 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서비스 업종 제외) 비중은 2010년 7.1%에서 지난해 11.6%로 4.5%포인트 확대됐다.

한국의 온라인쇼핑 거래는 주요국들과 대비해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0∼2015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한국은 16.4%로 중국(49.5%) 보다 작지만 미국(14.5%), 일본(5.5%)보다 크다.

지난해 기준으로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서비스 업종 포함) 비중에선 한국이 14.6%로 중국(11.7%), 일본(9.2%·2014년 자료), 미국(7.3%)보다 더 높았다.

◇ 여행 및 예약 서비스 온라인 거래액, 15년간 9.8조 증가

온라인쇼핑 거래가 활발한 상품군으로 따지면 15년간 성장률은 4천∼5천%대까지 치솟는다.

지난해 기준으로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가장 많은 상품군은 항공권·교통티켓·숙박시설·영화 등 예약 서비스인 여행 및 예약서비스로 10조원에 달했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8조5천억원), 생활·자동차용품(6조7천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5조9천억원), 음·식료품(4조9천억원)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와 2001년을 비교하면 여행 및 예약서비스는 무려 9조8천억원 늘어 증가율이 4천455.1%를 나타냈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은 8조3천억원(증가율 4천714.3%), 음·식료품은 4조8천억원 (5천945.3%) 각각 늘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여행 및 예약서비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은 전체 온라인 거래액 대비 구성비가 15년간 각각 12.1%포인트, 10.4%포인트 확대됐다.

모바일쇼핑으로 눈을 돌리면 지난해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이 4조6천억원으로 거래액이 가장 많았고 여행 및 예약 서비스(3조9천억원), 생활·자동차용품(3조3천억원)이 그 뒤를 따랐다.

전년대비로 보면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 거래액은 1조7천억원 늘어 57.3% 성장했고 생활·자동차용품이 1조4천억원(78.9%), 음·식료품 1조2천억원(92.8%) 증가했다.

◇ 역직구 '큰손'은 중국…전년 대비 173.1% 증가

지난해 역직구 금액은 1조1천933억원으로 1년 전(6천542억원)보다 82.4% 증가했다.

직구 금액은 1조7천14억원으로 규모는 더 컸지만 증가폭은 3.3%에 그쳤다.

역직구의 주요 고객은 중국이었다.

중국에 대한 역직구 금액은 지난해 8천106억원으로 전년보다 173.1% 증가했다.

미국은 1천264억원으로 32.6% 증가했고 일본은 818억원으로 오히려 9.0% 감소했다.

상품군별로 보면 화장품의 역직구 금액이 6천5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보다 180.6% 증가한 액수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은 2천575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는 568억원으로 각각 55.1%, 4.5%씩 늘었다.

해외 직구를 가장 활발히 한 곳은 미국으로 지난해 수입액만 1조2천284억에 달했다. 1년 전보다는 2.5% 증가했다.

중국을 상대로는 1천201억원으로 전년보다 46.8% 줄었고 일본은 728억원으로 57.7% 증가했다.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의 온라인 해외 직구 금액이 6천88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구매액은 1년 전보다는 11.3% 줄었다.

음·식료품은 3천363억원으로 11.9% 증가했고 가전·전자·통신기기는 1천400억원으로 35.8% 늘었다.

porqu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연합뉴스(2016.06.16)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