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트럼프 당선 후 첫 한미재계회의…"한미FTA는 양국 번영 플랫폼"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자유무역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장점 알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미국상공회의소 주최로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28차 한미재계회의에 참석해 "한미FTA가 체결된 2011년 이후 세계 교역규모는 10% 감소했지만, 양국 간 교역은 15%가 늘었다"면서 "한미FTA는 양국 경제협력과 번영의 플랫폼으로 잘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한미FTA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가 지난 한해만 157억달러가 감소했다"며 "FTA는 앞으로도 상호번영의 틀로서 지속해서 양국 경제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미FTA 이후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가 늘면서 미국 내 고급일자리를 2011년 3만5천명에서 2015년 4만5천명으로 늘렸고, 앞으로도 교역확대와 고급일자리 창출하려면 양국 간 상호투자가 더욱 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주 장관의 발언은 트럼프 당선인이 선거 기간 한미FTA를 '일자리를 빼앗는 조약'(Job Killing Deal)이라고 공격하며 한미FTA 재협상을 시사한 것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당선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힘을 받으면서 양국 간 통상·교역이 위축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주 장관은 한국을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역량, 세계 50여개국과 체결한 FTA 네트워크, 지속적인 규제 완화 노력을 겸비한 투자처라고 소개하며 "중국 등 제3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관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양국 간 협력도 강조했다.
주 장관은 "첨단 기술과 우수한 인적자원을 갖춘 미국과 정보통신기술(ICT), 제조업을 보유한 한국 기업이 협력한다면 전기차,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 등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양국은 오랜 기간 돈독한 우방으로서 경제협력도 굳건한 한미동맹처럼 상호호혜적 관계가 지속하길 기대한다"며 "많은 미국 기업이 한국 기업과의 주력산업, 신산업,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eu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