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지식재산권 적자 1.6억달러…분기기준 사상 최소
베트남 상대로 최대 흑자…미국·독일·일본엔 적자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올해 2분기(4∼6월)에도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 4∼6월 특허 및 실용신안권,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1억6천37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2분기 적자 5억8천460만 달러보다 72.0%(4억2천90만 달러)나 급감한 수치다.
한은이 통계에 포함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2분기 분기기준으로 가장 작다.
모든 분기를 따져봐도 작년 3분기(1억6천21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 규모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매년 2분기나 3분기가 좋게 나오는 계절적 특성이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우리나라는 지식재산권 무역에서 만성적인 적자국이지만, 기술 발전 등으로 적자규모는 꾸준히 축소되는 추세다.
2분기 지식재산권 수출액은 23억3천700만 달러이고 수입액은 25억70만 달러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를 유형별로 보면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SW) 저작권 거래에서 2억3천63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문화예술저작권은 3천4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문화예술저작권이 흑자를 내기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최정태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2분기에 해외 공연 수출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올해 그룹 '빅뱅'의 일본 공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등 한류 스타들이 아시아에서 선전을 펼치고 있다.
또 디자인권이 1분기 1천550만 달러 적자에서 2분기 2천73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반면, 특허 및 실용신안권은 3억28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1억4천290만 달러)도 적자를 이어갔다.
2분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를 기업규모별로 보면 국내 대기업과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은 각각 3천540만 달러, 4억2천50만 달러 적자로 파악됐다.
이와 달리 국내 중소·중견기업은 3억620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면서 2010년 3분기 이후 흑자 행진을 펼쳤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2억7천310만 달러 적자를 냈지만, 서비스업은 1억1천16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제조업에서 비중이 큰 전기·전자제품의 적자는 1억7천280만 달러다.
서비스업 중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은 2억9천550만 달러 흑자다.
한국이 지식재산권 거래에서 가장 큰 흑자를 본 대상국은 베트남이다.
2분기에 베트남과 거래에서 4억5천930만 달러 흑자를 냈고 중국과 거래에서 흑자는 3억6천380만 달러로 나타났다.
그동안 중국을 상대로 흑자가 많았지만, 이번에 베트남으로 바뀌었다.
최 팀장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세운 현지 법인들로부터 특허권을 많이 받고 있다"며 "기업들의 현지 공장들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하면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은 2분기에 미국과 지식재산권 거래에서 8억2천43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또 독일과 거래에서 1억1천750만 달러, 일본과 거래에서 7천570만 달러 적자를 각각 냈다.
noja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