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28일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식 열려
3년간 10개 분야 연대 결성...100대 과제 발굴
2025년까지 펀드 조성·R&D 지원 등 3조 투입
'산업 디지털 전환 및 지능화 촉진법' 제정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 가전·전자, 헬스케어, 조선, 유통, 소재부품 등 6개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업종별 연대를 구성하고 자금, 연구개발(R&D), 규제 개선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연대에는 6개 분야의 약 150개 기업·기관이 17개팀을 구성해 참여했다.
이들은 디지털 전환 성공 가능성, 산업 생태계 구성 여부 등을 고려해 20개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업종·분야별 협회와 연구기관은 업계의 산업데이터 공유·협력 방향 등을 바로잡아주는 역할을 맡는다.
산업부는 앞으로 3년간 10개 분야 연대를 결성하고 디지털 전환 과제 100개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4000억원 규모의 산업 지능화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을 통한 보증 지원 1조5000억원과 신한은행의 추가 신용 대출 5200억원 등 금융 지원 업무협약(MOU)도 체결해 중견·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산업 R&D는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환된다. 디지털 전환 분야에 대해서는 내년에만 5200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개선이 필요한 규제는 기존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처리한다. 디지털 전환 분야로 진출하는 사업군(群) 단위로 수요를 발굴해 일괄 승인하는 식이다.
산업지능화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진흥원 등은 정책협의회를 구성해 지원 조직 역할을 맡기로 했다.
앞서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지능화 촉진법'을 발의했다. 여기에는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의 제도적 정착과 혁신 과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 등이 담겼다.
산업부는 법 제정을 기반으로 민간 중심의 '산업 디지털 전환 체계' 구축에 나선다.
이는 디지털 전환 과제 발굴, 과제 고도화, 선도과제 선정, 확산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골자다.
디지털 전환 과제 기반의 '산업 데이터 플랫폼'이 자발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공통 인프라 기술, 데이터 표준화 가이드라인 등을 제공하는 협업 지원 센터도 운영한다.
아울러 민간 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디지털 경영 성공 모델을 보급하고, 민간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인식 전환, 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변화 인재 양성 사업도 추진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출범식에서 "그간 제조업 중심의 우리 산업 부가가치를 한 단계 높이고 선도형 경제를 탈바꿈하기 위한 발판을 제공할 것"이라며 "민간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와 혁신 역량을 활용해 민간 중심으로 산업 디지털 전환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 등을 중심으로 촉발되는 글로벌 산업 디지털 전환 경쟁에서 우리가 보유한 제조·정보통신기술(ICT) 기반과 민간의 성공 DNA를 통해 1957년 미·러 우주 경쟁에서 러시아가 미국을 이기고 인공위성을 먼저 쏘아올린 것처럼 '대한민국의 스푸투니크 모멘트'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뉴시스. 무단전재-배포금지.>
출처: 뉴시스(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