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전경련 조사…"미국, 중국 수입액 회복됐기 때문"
1∼3분기 누적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7.1% 감소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9년 기준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연결기준 3분기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181조9000억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2분기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전 세계 경기가 후퇴하며 1년 전과 비교해 19.5% 감소한 바 있다.
전경련은 이 같은 결과는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의 약 60%를 차지하는 중국과 미국의 수입액이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조치 완화, 경기부양정책 등으로 3분기부터 회복되고, 3분기 중국과 미국의 산업생산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8%, 1.3%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1∼3분기 누적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고, 특히 해외 매출은 7.1%나 줄어 감소폭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전 세계 경제 위기가 100대 기업 실적 악화의 직접적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가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 중심의 수요 확대 및 온라인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85조4000억원을 기록해 전체 해외 매출 회복을 이끌었다.
지난 2분기 해외 매출이 전년 대비 36.5% 감소했던 자동차·자동차 부품은 북미․유럽 완성차 업체의 본격적 생산 재개 및 이에 따른 자동차 부품 수요가 회복되며 3분기에는 4.0% 감소에 그쳤다. 에너지·화학, 철강·금속은 3분기에 부진세가 이어졌다.
지역별로는 3분기부터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조치가 완화되고 경기부양정책이 시행되며, 미주 13.7%, 중국․아시아 4.7%, 유럽 3.4% 등 주요 지역 해외 매출이 각각 증가했다.
2분기에는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전 지역 모두 두 자릿수 해외 매출 감소를 기록한 바 있다. 이 결과는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지역·국가별 해외 매출' 실적 공개 상위 20대 기업의 실적을 집계한 것이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김봉만 실장은 "3분기에는 주요 해외 시장의 경제활동 제한조치 완화, 경기부양정책 등에 힘입어 해외 매출의 회복이 있었지만, 4분기 이후 주요 시장의 코로나 재확산으로 일시적 회복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다자 글로벌 무역질서를 중시하는 미국의 바이든 신행정부의 TPP 프레임워크 복귀 가능성이 높은 만큼, 코로나19 경제 위기의 타개를 위해서는 통상당국이 한국의 TPP 가입 여건을 조성하고 2018년 3월 이후 약 2.5년간 진행 중인 한·중 FTA 투자·서비스 협상의 조속한 타결에 힘쓰는 등 공세적 통상정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c)뉴시스. 무단전재-배포금지.>
출처: 뉴시스(202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