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설비투자도 세계 1위 탈환 전망…산업부·반도체협회 발표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올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사상 두 번째로 1천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 설비투자도 중국과 대만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다시 올라설 것으로 관측됐다.
코로나19와 화웨이 제재 등에도 2018년(1천267억달러)에 이어 역대 2위 실적을 냈다. 모바일 수요는 부진했지만,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가 늘면서 선방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303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연간 기준으로 철강·석유제품을 넘어 수출 5위 품목으로 도약했다. 파운드리 위탁수요 확대, 5G 통신용 칩·이미지센서 등의 제품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반도체는 올해도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가트너(Gartner),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작년 대비 평균 8.7% 증가하고, 이 중 메모리 시장은 15.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무역협회, 산업은행 등 국내 기관들이 내놓은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 전망은 작년보다 10.2% 증가한 1천75억∼1천110억 달러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1천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됐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도 아세안 10개국 중 6개국 이상과 비 아세안 5개국 중 3개국 이상이 비준 절차를 마치면 발효된다는 조건을 고려할 때 하반기 중 발효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의 FTA 발효국과 무역 비중은 77.1%까지 확대된다.
메모리는 D램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늘어나면서 작년보다 12.0% 증가한 703억∼729억달러, 시스템반도체는 7.0% 늘어난 318억~330억 달러로 예상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5G 시장 확대와 비대면 경제 확신으로 스마트폰, 서버, PC 등 전방산업 수요가 늘면서 시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도체 분야 설비투자에서도 우리나라는 2017∼18년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후 2019년에 중국과 대만에 빼앗겼던 설비투자 1위 자리를 2년 만에 탈환할 것으로 기대됐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반도체 설비투자액 전망치는 189억달러로, 중국(168억달러), 대만(156억달러)보다 많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연합뉴스(2021.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