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서울=뉴시스]
국토부, MRO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의결
MRO산업 2030년까지 5조원 규모 육성
현재 국내 정비율 44% 수준, 5년내 70%로
일자리 7천명에서 2만3천명 규모로 확대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정부가 2025년까지 항공정비산업(MRO)을 육성해 해외 정비 의존도를 30%로 낮추고 관련 산업을 2030년까지 5조원 규모로 키우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항공정비산업은 항공기 운항부터 기체, 부품, 엔진 등 정비를 말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항공정비산업은 연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며 "해외정비 의존도가 절반을 넘고 경쟁국과의 기술격차도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홍 부총리는 "2025년까지 해외정비 의존도를 30% 이하로 낮추고, 지난해 7000억원 수준이던 국내 MRO 규모를 2030년까지 5조원을 달성 목표로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MRO산업의 국내 정비율은 44% 수준이다. 이를 2025년까지 70% 수준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관련 일자리수도 현재 7000명 수준에서 2025년 2만3000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7000억원 수준인 국내 MRO 산업 규모를 2030년까지 5조원 규모로 확대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정부는 4대 추진방향으로 ▲국내 MRO 물량 확대 지원 ▲가격경쟁력 확보 ▲항공정비 기술역량 강화 ▲MRO산업 성장 기반 조성 등 세부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국내 정비물량 확보지원, 군 정비물량 민수전환, 국산 헬기 정비수요 확보 등을 통해 국내 MRO 수요를 대폭 견인할 계획이다.
운수권 배정 시 국내 MRO산업 기여도 등을 감안하고, 국내정비를 위해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공항사용료를 감면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정부·항공사·업계 합동으로 해외정비 물량의 국내 유턴 지원을 위한 협의회도 상시 운영해 해외 외주정비 물량의 국내 유턴과 외항사 물량 유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민간업체에서 정비가 가능한 군 정비물량은 점진적으로 민간정비로 전환해 지난해 3500억원 규모인 국내 민간 정비 물량을 5100억원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또 MRO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해 항공부품 관세를 면제하고, 정비 비용절감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대부분의 정비용 부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국내 업체의 정비비용 절감을 위해 항공기 정비분야 주요 교역국인 싱가포르에서 수리·개조후 재수입하는 부품에 대해서 일시적인 관세면제를 추진하는 등 항공부품 관세부담 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수한 품질의 국내부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국내업체가 개발한 부품의 상용화 인증을 지원한다.
올해말까지 항공화물용 부품(팔레트, 컨테이너), 객실부품(컵홀더)에 대한 국내인증을 완료하고, 승객좌석 등 대상품목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항공정비 기술수준 향상을 위해 MRO 핵심기술로드맵에 따른 체계적인 기술개발, R&D 상용화, 국제공동개발사업을 통한 기술획득 등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선진국의 90% 수준까지 기술 수준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목표로 MRO 분야 기술로드맵을 내년 상반기에 마련할 계획이다.
항공기 정비시간 단축 등을 위해 육안 확인이 어려운 동체, 날개 점검시 인스펙션 드론을 활용한 첨단 정비 방식을 올해 안으로 도입한다. 장기적으로는 드론 촬영 영상분석 시 AI 딥러닝 기술을 접목해 결함을 자동검출 할 수 있는 시스템도 내년 상반기에 개발할 예정이다.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우리나라 항공정비산업은 제작기술 부재, 정비수요 부족, 높은 인건비 등 어려운 산업여건으로 업체의 자생적 노력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저작권자(c) 뉴시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