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서울=뉴시스]신약유형별 파이프라인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개발 중인 신약 후보가 최근 1500개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299곳을 대상으로 신약 파이프라인과 라이선스 이전 사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193개사에서 1477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이는 협회가 지난 2018년 실시했던 조사결과(100개사 573개) 보다 157.8%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로 보면 합성신약이 599개(40.6%)로 가장 많다. 이어 바이오신약 540개(36.6%), 기타 338개(22.9%) 순이다.
임상 단계별로는 ▲선도·후보물질(403건·27.3%) ▲비임상 397건(26.9%) ▲임상 1상 266건(18.0%) ▲임상 2상 169건(11.4%) ▲임상 3상 116건(7.9%) 순으로 조사됐다. 모두 2018년 조사 보다 2배 이상 확대되며 급증세를 보였다. 특히 가장 많은 비용·시간이 투입되는 임상 3상이 2018년(31건) 보다 3배 이상(274.2%) 늘어 고무적인 상황을 연출했다.
질환별로는 항암제(21.5%) 개발이 가장 활발하다. 대사질환(11.7%), 신경계통(9.9%), 감염성질환(7.6%), 소화계통(5.3%) 순이다.
◇기술 교류 가파른 증가세
제약기업과 벤처, 외자기업 간 오픈 이노베이션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이전은 2019년 36건에서 2020년 105건, 2021년 1분기 85건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물질별로는 바이오신약이 58건(45.7%)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어 합성신약(34건·26.8%), 기타 신약(21건·16.5%) 순이다.
비공개된 기타(140건)를 제외하면 비임상 단계가 50건으로 가장 많다. 질환별로는 항암제(57건·25.2%)의 라이선스 이전이 가장 활발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벤처사의 라이선스 이전 건수가 250건으로, 대·중견기업(81건) 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기술 이전의 파트너를 분석한 결과 대·중견기업은 외자 기업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17건) 비중이 높았다. 중소·벤처사는 ▲국내 중소벤처(64건) ▲외자기업(50건) ▲대·중견기업(35건) 등 고른 분포를 보여 바이오벤처와 제약기업, 외자기업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활기를 띄는 것으로 풀이된다.
협회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가 선진국형 연구개발 모델로 변모하는 중이라고 진단했다. 1500개에 육박하는 신약 파이프라인과 기업 간 개방형 혁신의 활성화 등 이번 조사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2016년 1조7982억원에서 2020년 2조1592억원으로 5년간 연평균 4.7% 늘어났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중은 2016년 8.9%에서 2020년 10.7%로 상승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기업의 신약 개발 의지와 과감한 투자가 산업 체질을 바꿔놓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국산 신약 개발과 글로벌 진출을 촉진하고 글로벌 임상 3상까지 완주해 블록버스터 신약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저작권자(c) 뉴시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