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뉴스
- Home
- Invest KOREA 소개
- 뉴스룸
- 투자뉴스
신안 해상풍력. (사진=전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산업부, 신안 신재생 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공고
3.2GW·세계 2위·3만 일자리…광주·전남 1년 전력량 상회
"한국 해상풍력 획기적 전기…에너지 기본소득 큰 걸음"
[세종무안=뉴시스] 송창헌 손차민 기자 =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가 신재생에너지의 보고(寶庫)인 전남 신안에 조성된다.
민자 20조원이 투입돼 대형 원전 3기와 맞먹는 규모로, 에너지 기본소득의 큰 걸음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최종 지정·공고했다.
전남도는 2033년까지 자은도와 암태도 등 신안 해역에 해상풍력 10개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설비 용량 기준으로 예상 발전량은 대형 원전 3기와 맞먹는 3.2GW(기가와트)에 달할 전망이다.
3.2GW는 광주와 전남 모든 가정과 전북 일부 가정에 1년 간, 서울과 인천지역 전체 가정에 5개월 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용량과 맞먹는다.
아시아·태평양권역에서는 최대 규모고, 세계적으로도 3.6GW 규모인 영국 북해 도거 뱅크(Dogger Bank)에 이어 두 번째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지자체(실시기관) 주도로 입지를 발굴하고 지역주민, 어업인,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해 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이다.
정부는 한국전력에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요청할 수 있고, 발전단지 준공 후 최대 0.1의 재생에너지인증서(REC) 가중치를 지자체에 부여할 수 있다.
집적화단지 사업으로 해상풍력 30GW 보급,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 기자재 연관산업 및 RE100 수요기업 유치까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다는 게 전남도의 계획이다.
도는 해상풍력 보급은 획기적으로 늘리고 발전비용은 낮춰 경제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단지 조성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송전선로 경과지 주민·어민을 포함하는 '민관 전력계통협의체'를 구성해 송·변전설비 구축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REC를 연간 2450억 원 가량 확보해 주민 이익공유와 에너지 기본소득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 공급망 우대 방안 등을 통해 하부구조물, 타워, 케이블 등 해상풍력 연관기업 유치에 힘쓰고, 목포신항을 포함한 인근 지역에 해상풍력 기자재 클러스터를 만들어 조선업과 함께 전남 대표산업으로 육성해 3만 여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비전이다.
김영록 지사는 "대한민국 해상풍력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이자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여는 쾌거"라며 "3만 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관산업을 육성해 전남이 명실상부 해상풍력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풍력 업계와 전남 대불산단 등 산업현장도 환영 분위기다. 지난 3월 해상풍력 특별법과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에 이어 집적화단지 지정으로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국내 해상풍력 산업에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재생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남의 풍력발전량은 644GWh(19.0%)로 강원(961GWh), 경북(934GWh)에 이어 국내 3위다. 전남·경북·강원 등 3곳이 대한민국 전체 풍력 발전량의 73.5%를 차지했다. 2023년 전남의 풍력 발전량 1위는 영광(283GWh)이었고, 화순(104GWh), 신안(100GWh)이 뒤를 이었다.
이번 지정으로 국내, 전남 풍력발전 지형에도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charmi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본기사 보기
출처: 뉴시스(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