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한눈에 보는 한국경제

  • Home
  • 정보센터
  • 한눈에 보는 한국경제
[경제전망] '22.9월 경제전망
작성일
2022.10.06
조회수
26341
Economic Trends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은 대한민국 경제전망에 대해 분기별(1월, 4월, 7월, 10월)로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 내용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GDP* 4.1 2.6 2.1
취업자수 증감(만명)* 37 74 14
실업률 3.7 3.1 3.5
고용률 60.5 61.9 62.0
소비자물가 2.5 5.2 3.7
경상수지(억달러) 883 370 340

* 전년동기대비

요약

  • 최근 국내외 여건변화 등을 감안할 때, 경제성장률은 금년과 내년 중 각각 2.6%, 2.1% 수준을 나타낼 전망입니다.
  • 취업자 수는 금년과 내년 중 각각 74만명, 14만명 증가할 전망입니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과 내년 중 각각 5.2%, 3.7%를 나타낼 전망입니다.
  •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금년과 내년 중 각각 370억달러, 340억 달러를 나타낼 전망입니다.

거시경제 전망

경제성장

민간소비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3.7 4.0 2.6
민간소비는 금년 중 4.0% 증가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2.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민간소비는 소득 여건 개선과 일상 회복 지속 등으로 완만하게 회복되나,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 및 경기 불확실성 증대가 소비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설비투자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9.0 -3.8 0.9
설비투자는 금년 중 3.8% 감소할 전망이나 2023년에는 0.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4분기 중 설비투자는 글로벌 공급 차질 및 경기 불확실성 증대로 감소하였고, 향후 글로벌 경기 둔화, 자본조달비용 상승 등으로 회복이 지연될 전망입니다. 비IT부문 투자는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나, IT부문 투자는 하반기중 일시 개선되었다가 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4.4 4.0 3.5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금년 중 4.0% 증가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R&D투자는 신성장부분을 중심으로 정부의 정책 지원도 늘어나면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며, 기타지식생산물투자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관련 소프트웨어 투자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건설투자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1.6 -1.5 2.2
건설투자는 금년 중 1.5% 감소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2.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4분기 중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이 늘어나면서 부진이 다소 완화되며, 건성자재가격 상승세 둔화, 분양물량 증가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상품수출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10.5 3.2 1.6

* GDP중 실질 재화수출

상품수출은 금년 중 3.2% 증가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상품수출은 중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입수요가 약화되면서 증가세가 둔화하였고, 향후 주요국 경기둔화의 부정적 영향이 확대되면서 증가세가 보다 약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성장 전망

(전년동기대비,%)
거시경제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1 2022(e) 2023(e)
4.1 2.6 2.1
경제성장률은 금년 중 2.6%, 2023년 중 2.1% 수준을 나타낼 전망입니다. 국내경제는 소비가 빠르게 개선되면서 회복세를 지속하였으나, 하반기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주요국의 금리인상 등 하방리스크로 향후 성장경로 상에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고용

2/4분기 이후 취업자 수(전년동기대비)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향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수출증가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줄어들며, 건설업 취업자 수는 공사물량 확대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난해에 비해 둔화될 예정입니다.

물가

금년중 소비자 물가는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압력 지속, 농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5월 전망 수준을 상당폭 상회할 전망입니다. 다만, 단기 물가흐름은 최근 변동성이 커진 국제유가와 농산물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에너지 제외)은 금년과 내년중 각각 3.6%, 3.1%로 예상됩니다.

경상 수지

금년 중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및 서비스수지를 중심으로 지난해에 비해 흑자규모가 축소될 전망입니다. 글로벌 경기둔화 및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축소에 따라 투자수익의 감소로 흑자폭이 축소될 전망이며, 운송서비스 호조에도 불구하고 방역조치 완화로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적자폭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 출처 : 한국은행(bok.or.kr)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