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 Home
  • Why KOREA
  •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글로벌 ICT 리더 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등에 따르면 한국은 매우 우수한 ICT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인터넷 접속 가능 가구 비율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역시 최고 수준으로 한국은 글로벌 ICT 리더이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인터넷 접속 가능 가구 비율(2023)
    • 1위 한국 100%
    • 2위 바레인 100%
    • 3위 쿠웨이트 100%
    • 4위 사우디아라비아 100%
    • 5위 UAE 100%
    • 6위 부탄 99.6%
    • 7위 노르웨이 99%
    • 8위 룩셈부르크 98.9%
    • 9위 카타르 98.7%
  •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2023.12) *광케이블 기준
    • 1위 한국 89.6%
    • 2위 아이슬란드 88.7%
    • 3위 스페인 85.8%
    • 4위 리투아니아 79.9%
    • 11위 일본 79.1%
    • OECD 평균 42.5%
    • 32위 미국 23.1%
    • 34위 영국 20.1%
  • ICT 인프라(2024)
    • 1위 에스토니아
    • 2위 핀란드
    • 3위 싱가포르
    • 6위 한국
    • 7위 덴마크
    • 8위 일본
    • 9위 미국
    • 11위 영국
    • 13위 UAE
    • 19위 중국
  • ICT 수출(2023)
    • 중국 721.2
    • 홍콩 343.3
    • 미국 157.6
    • 싱가포르 150.9
    • 한국 $144.2 B
    • 말레이시아 108.0
    • 독일 821.2
    • 멕시코 68.4
    • 네덜란드 59.9
    • 일본 54.9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OECD,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국제연합무역개발의회 (UNCTAD)

우수한 모바일 환경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모바일 환경을 갖추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접속 가능 가구 비율이 99.98%로 1위이며, 5G 가용성, 소셜미디어 사용률 역시 각각 2위, 3위로 한국에서는 모바일을 통한 편리한 비즈니스 및 생활이 가능하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모바일 인터넷 접속가능 가구비율
    • 1위 한국 99.98%
    • 2위 핀란드 92.82%
    • 3위 슬로베니아 92.29%
    • 6위 스위스 77.72%
    • 11위 미국 71.99%
    • 14위 독일 67.26%
    • 30위 프랑스 36.61%
  • 5G 가용성
    • 1위 중국 87.1%
    • 2. 한국 75.2%
    • 3. 미국 68.8%
    • 4. 호주 61.7%
    • 5. 캐나다 58.1%
    • 11. 일본 29.4%
    • 13. UAE 19.3%
  • 소셜 미디어 사용률
    • 1. UAE 100.3%
    • 2. 사우디아라비아 99.6%
    • 3. 한국 94.7%
    • 4. 싱가포르 88.2%
    • 8. 네덜란드 80.9%
    • 12. 영국 79.0%
    • 13. 일본 78.3%
  • 모바일 인터넷 스피드
    • 1. UAE 543.91
    • 2. 카타르 522.48
    • 3. 쿠웨이트 309.07
    • 7. 한국 205.27
    • 13. 미국 167.85
    • 14. 노르웨이 162.37
    • 22. 프랑스 133.66
    • 36. 캐나다 106.93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OECD, Ookla (1Q 2024), WeAreSocial Digital 2025: Global Overview Report (2025.02), Speedtest.net (2025.02)

해외로 수출되는 한국 전자정부

2024년 기준, 한국은 유엔의 전자정부 평가 중 전자정부 발전지수에서 4위를 차지했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우수함을 높이 평가받아 한국 전자정부 시스템을 수출하고 있다.
한국의 전자정부 우수성은 한국 정부의 디지털화(Digitalization)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디지털 인프라의 강점을 드러낸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 전자정부 발전 지수(2024)
    • 1위 덴마크
    • 2위 에스토니아
    • 4위 한국
    • 6위 사우디아라비아
    • 7위 영국
    • 8위 호주
    • 11위 UAE
    • 12위 독일
    • 13위 일본
    • 19위 미국
    • 35위 중국
  • 온라인 참여 지수 (2024)
    • 1위 우크라이나
    • 2위 일본
    • 2위 덴마크
    • 4위 한국
    • 4위 독일
    • 4위 영국
    • 7위 사우디 아라비아
    • 7위 싱가포르
    • 11위 미국
    • 12위 중국
    • 15위 캐나다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UN (2024)

세계은행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 수준 평가 1위

한국은 세계은행이 발표한 2022 거브테크 성숙도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평가는 거브테크 발전 수준과 공공서비스, 국민 참여 수준 등 4가지 항목으로 이뤄졌으며, 한국은 2개 항목에서 1위, 나머지 2개 항목에서 2위를 기록해 종합 1위를 달성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한국은 디지털정부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할 계획이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1위 한국 2022 세계은행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 수준 평가

"거브테그(Gov Tech) 성숙도 세부지표" - 세계은행이 정의한 차세대 디지털정부의 모습인 '거브테그(Gov Tech)'의 국가별 성숙도 평가

  • 핵심정부시스템 발전수준 1위
  • 제반 지원정책 수준 1위
  •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수준 2위
  • 국민 참여 수준 2위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World B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