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 Home
- Why KOREA
-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글로벌 ICT 리더 한국

-
인터넷 접속 가능 가구 비율(2023)
- 1위 한국 100%
- 2위 바레인 100%
- 3위 쿠웨이트 100%
- 4위 사우디아라비아 100%
- 5위 UAE 100%
- 6위 부탄 99.6%
- 7위 노르웨이 99%
- 8위 룩셈부르크 98.9%
- 9위 카타르 98.7%
-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2023.12) *광케이블 기준
- 1위 한국 89.6%
- 2위 아이슬란드 88.7%
- 3위 스페인 85.8%
- 4위 리투아니아 79.9%
- 11위 일본 79.1%
- OECD 평균 42.5%
- 32위 미국 23.1%
- 34위 영국 20.1%
-
ICT 인프라(2024)
- 1위 에스토니아
- 2위 핀란드
- 3위 싱가포르
- 6위 한국
- 7위 덴마크
- 8위 일본
- 9위 미국
- 11위 영국
- 13위 UAE
- 19위 중국
-
ICT 수출(2023)
- 중국 721.2
- 홍콩 343.3
- 미국 157.6
- 싱가포르 150.9
- 한국 $144.2 B
- 말레이시아 108.0
- 독일 821.2
- 멕시코 68.4
- 네덜란드 59.9
- 일본 54.9

우수한 모바일 환경

-
모바일 인터넷 접속가능 가구비율
- 1위 한국 99.98%
- 2위 핀란드 92.82%
- 3위 슬로베니아 92.29%
- 6위 스위스 77.72%
- 11위 미국 71.99%
- 14위 독일 67.26%
- 30위 프랑스 36.61%
-
5G 가용성
- 1위 중국 87.1%
- 2. 한국 75.2%
- 3. 미국 68.8%
- 4. 호주 61.7%
- 5. 캐나다 58.1%
- 11. 일본 29.4%
- 13. UAE 19.3%
-
소셜 미디어 사용률
- 1. UAE 100.3%
- 2. 사우디아라비아 99.6%
- 3. 한국 94.7%
- 4. 싱가포르 88.2%
- 8. 네덜란드 80.9%
- 12. 영국 79.0%
- 13. 일본 78.3%
-
모바일 인터넷 스피드
- 1. UAE 543.91
- 2. 카타르 522.48
- 3. 쿠웨이트 309.07
- 7. 한국 205.27
- 13. 미국 167.85
- 14. 노르웨이 162.37
- 22. 프랑스 133.66
- 36. 캐나다 106.93

해외로 수출되는 한국 전자정부
한국의 전자정부 우수성은 한국 정부의 디지털화(Digitalization)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디지털 인프라의 강점을 드러낸다.


- 전자정부 발전 지수(2024)
- 1위 덴마크
- 2위 에스토니아
- 4위 한국
- 6위 사우디아라비아
- 7위 영국
- 8위 호주
- 11위 UAE
- 12위 독일
- 13위 일본
- 19위 미국
- 35위 중국
- 온라인 참여 지수 (2024)
- 1위 우크라이나
- 2위 일본
- 2위 덴마크
- 4위 한국
- 4위 독일
- 4위 영국
- 7위 사우디 아라비아
- 7위 싱가포르
- 11위 미국
- 12위 중국
- 15위 캐나다

세계은행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 수준 평가 1위
이번 평가를 통해 한국은 디지털정부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할 계획이다.


"거브테그(Gov Tech) 성숙도 세부지표" - 세계은행이 정의한 차세대 디지털정부의 모습인 '거브테그(Gov Tech)'의 국가별 성숙도 평가
- 핵심정부시스템 발전수준 1위
- 제반 지원정책 수준 1위
-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수준 2위
- 국민 참여 수준 2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