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동북아 무역, 물류 허브

  • Home
  • Why KOREA
  • 동북아 무역, 물류 허브

동아시아의 중심, 물류허브 코리아

한국은 전 세계 주요 국가 및 도시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최상의 물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중국, 일본과 인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 항공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과 유라시아-미주 대륙을 잇는 물류의 핵심지역에 위치해있다.
향후에는 유라시아 대륙을 육상으로 관통할 수 있는 경로 구축에 대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하단에 내용 참고바랍니다.
2위 해상운송 연결정도 (LSCI)⑴
  • 인천공항
    • 국제선 항공화물 처리량 (2021) 2위
    • 총 항공화물 처리량 (2021) 5위
  • 부산항만
    • 환적화물 처리량 (2021) 2위
    •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2021) 7위
이미지 크게보기
1) (LSCI, Liner Shipping Connectivity Index, 2022.4Q) UNCTAD가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해상 운송망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상 운송 서비스 제공 회사의 수, 월별 출·입항하는 선박의 수, 컨테이너 운반 총량 등 6가지 기준으로 평가
※ 출처 : 국제공항협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ACI), 국제공항협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ACI), 부산항만공사, 해양수산부, UNCTAD

제조업 경쟁력 세계 3위, 제조업 중심의 수출 강국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2020년 7월 발표한 세계 제조업 경쟁력지수(CIP)에서 한국은 세계 152개국 중 독일, 중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내수 확대를 통한 성장 방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이 빠르게 증가했다. 이처럼 한국은 세계 7위 수출 대국으로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수출을 이어가고 있으며, 주요 수출품목은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2022.07. $411.1B 2021 $644.4 B, 2019 $542.2 B, 2008 $422 B, 1996 $129.7 B 2022.07. $411.1B 2021 $644.4 B, 2019 $542.2 B, 2008 $422 B, 1996 $129.7 B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KITA

아시아와 전 세계 진출의 교두보,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거대 경제권인 유럽연합(EU), 미국, 중국을 포함한 세계 59개국과 21건의 FTA가 체결되었으며(’23.2월 기준), 신흥국가와의 FTA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의 지리적 장점을 활용하면서 전 세계 대부분의 선진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국가이다.
유럽자유무역연합 EFTA, 영국, 유럽연합 EU, 튀르키예, 중국, 인도, 싱가포르, 베트남,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중미, 콜롬비아, 페루, 칠레 유럽자유무역연합 EFTA, 영국, 유럽연합 EU, 튀르키예, 중국, 인도, 싱가포르, 베트남,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중미, 콜롬비아, 페루, 칠레 이미지 크게보기
※ 출처 : www.fta.go.kr (2023년 2월 기준)
대한민국 FTA 체결 현황
대한민국의 FTA 체결 현황 표로 구분,국가 정보 제공
구분 국가
발효(21건) 칠레, 싱가포르, EFTA1), ASEAN2), 인도, EU3), 페루, 미국, 튀르키예,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콜롬비아, 중미 5개국4), 영국, RECP5), 이스라엘,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서명 필리핀
협상진행 한-중-일, MERCOSUR6), 러시아, 말레이시아, 에콰도르, 우즈베키스탄, 한-아세안 추가자유화,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한-칠레 FTA 업그레이드, 한-중 FTA 서비스ㆍ투자 후속협상, 과테말라 한-중미 FTA 가입협상, GCC7)
재개, 개시, 여건조성 멕시코, PA8), 영국
1) EFTA(유럽자유무역연합)(4개국) :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2) ASEAN(10개국) :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3) EU(27개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키프로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불가리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4) 중미(5개국) : 파나마,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5)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한국제외 14개국) : 한국, 아세안10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6) MERCOSUR(남미공동시장)(4개국) :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7) GCC (걸프협력회의) (6개국) :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아랍에미리트 8) PA(태평양동맹)(4개국) :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칠레
* 출처 : www.fta.go.kr (2023년 2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