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바이오의약산업을 중심으로 본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국가기술표준원이 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코드1)로 살펴본 바이오산업 분야의 생산액은 2021년 기준 약 21조 원으로 조사되었다2). 이는 10조 원을 하회한 2016년에 비해 5년간 연평균 17.8% 상승한 결과이다. 바이오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산업의 생산액과 수출액은 같은 기간 연평균 11.7%, 14.8%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보건의료당국의 신속대응 시스템과 함께 우수한 성능의 진단키트, 세계적인 수준의 백신·치료제 생산역량을 입증하며3)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년도 | 2001 | 2006 | 2011 | 2016 | 2021 | CAGR(%) | ||||
---|---|---|---|---|---|---|---|---|---|---|
'01~11 | '11~16 | '16~21 | '11~21 | |||||||
바이오 산업 |
생산 | 1.40 | 3.16 | 6.40 | 9.26 | 21.00 | 16.4 | 7.7 | 17.8 | 12.6 |
수입 | 0.42 | 0.94 | 1.56 | 1.46 | 4.77 | 14.0 | △1.3 | 26.7 | 11.8 | |
수출 | 0.64 | 1.35 | 2.75 | 4.63 | 11.86 | 15.7 | 11.0 | 20.7 | 15.7 | |
바이오 의약 산업 |
생산 | 0.57 | 1.22 | 2.46 | 3.36 | 5.84 | 15.7 | 6.4 | 11.7 | 9.0 |
수입 | 0.16 | 0.74 | 1.23 | 1.24 | 4.07 | 22.6 | 0.2 | 26.8 | 12.7 | |
수출 | 0.26 | 0.25 | 0.95 | 1.76 | 3.51 | 13.8 | 13.1 | 14.8 | 14.0 |

사명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론자 | 318 | 324 | 324 | 340 | 460 |
삼성바이오로직스 | 364 | 364 | 424 | 620 | 620 |
베링거인겔하임 | 305 | 490 | 490 | 490 | 490 |
우시바이오로직스 | 54 | 151 | 268 | 332 | 456 |
후지필름 | 132 | 132 | 132 | 261 | 261 |
합계 | 1,173 | 1,461 | 1,638 | 2,043 | 2,287 |
정부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비전 | 의료·건강·돌봄 디지털 전환으로 국민건강 향상 디지털·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
---|---|
목표 | 디지털 신시장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 |
주요과제 | ①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 ②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③ 첨단 융·복합기술 연구개발 강화 ④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 창업 지원 강화 ⑤ 법·제도 및 인프라 구축 |
비전 |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 |
---|---|---|
목표 |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창출 | 글로벌 수준의 제약바이오 기업 육성 |
의약품 수출 2배 달성 |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달성 | |
제약바이오 산업 양질의 일자리 창출 | ||
주요과제 | ▶ R&D 강화 – 글로벌 신약 창출을 위한 R&D 투자 확대 ▶ 수출 지원 –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및 수출지원 강화 ▶ 인력 양성 – 제약바이오 융복합 인재양성 ▶ 제도/인프라 개선 – 글로벌 수준의 규제 혁신 및 공급망 인프라 확대 |
외국인직접투자유치(FDI) 사례
연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
누적 글로벌 연간 최대 매출액 (십억달러) |
3.5 | 0 | 8.5 | 51.6 | 3.4 | 15.6 | 7.2 | 15.6 | 54.5 | 35.4 | 4.9 | 61.5 | 14.6 |
독점 지위를 상실하는 블록버스터급 첨단의약품 (건수) |
1 | 0 | 3 | 9 | 2 | 4 | 2 | 5 | 6 | 9 | 2 | 10 | 5 |
기업명 | 美 싸이티바 (’21.9) |
獨 싸토리우스 (’21.11) |
美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22.5) |
獨 머크 (’23.5) |
---|---|---|---|---|
투자 내용 | 일회용 백 등 백신 원부자재 생산시설 구축 | 일회용 백 등 백신 원부자재 생산, 위탁개발·연구 서비스 | 바이오의약 원부자재 생산공장 건립 | 바이오의약 원부자재 생산공장 건립 |
정지은(je.jung@kiet.re.kr)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2)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각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3) 한국의 백신 위탁생산(CMO) 생산능력은 38.5만리터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고 독일(24.6만리터), 덴마크(14.4만리터) 보다 높은 수준(미국 BDO, 2021)
4) 미국 경쟁 촉진 행정명령(EO 14036, ’21.07.09.), HMA·EMA의 ‘바이오시밀러 상호교체 허용’ 공식 발표(’22.09.19)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