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ICT] 국내외 로봇산업 동향 및 전망새로운 글
작성일
2025.05.09

글로벌 제조용 로봇산업 동향과 한국 로봇산업의 경쟁력

우리나라 제조용 로봇산업은 시장규모 세계 4위, 로봇밀도에서 세계 1위 위상을 확보

국제로봇연맹(IFR)의 「World Robotics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제조용 로봇 신규 판매 대수는 54만 1,302대로 집계되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연간 판매 실적을 기록하였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 지연이라는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연간 50만 대 이상의 판매 실적을 달성하며 지속적인 성장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2024년부터 2027년까지는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7년에는 약 60만 1천 대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들이 제조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해 로봇 도입을 확대하고 있으며, 저출산 및 고령화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 인건비 및 물류비 상승, 디지털 전환 가속화의 메가트렌드 역시 제조용 로봇 수요를 견인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림 1. 세계 제조용 로봇 판매 현황 및 전망

세계 제조용 로봇 판매 현황 및 전망

* 출처 : IFR(2024), World Robotics 2024 – Industrial Robots
글로벌 제조용 로봇 시장은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상위 5개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체 시장의 77.6%를 점유하고 있다. 한국은 전체 제조용 로봇 시장의 5.8%를 차지하며 세계 4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의 로봇밀도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로봇밀도(근로자 1만 명당 제조용 로봇 운용대수)는 전년과 동일한 1,012대로 세계 평균(162대)의 6배가 넘는 수준을 기록하였다. 한국은 제조용 로봇 주요 수요산업인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에서의 높은 산업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힘입어 2021년 세계 최초로 로봇밀도 1,000대를 돌파한 이래, 현재까지 세계 1위 제조용 로봇 활용국가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림 2. 주요국 제조용 로봇 판매대수 및 로봇밀도 추이

주요국 제조용 로봇 판매대수(2023년), 주요국 로봇밀도 현황(2023년)

* 출처 : IFR(2024), World Robotics 2024 – Industrial Robots

국내 로봇산업의 동향과 정책 추진 현황

2023년 한국 로봇산업의 총 매출액은 5조 9,805억 원으로 2022년 대비 0.5% 증가하며 최근 3년간 연평균 1.4%의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제조용 로봇(+0.5%)과 부품 및 소프트웨어 시장(+0.4%)은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전년 대비 6.4% 성장하여 최근 한국 로봇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품목별로 살펴보면, 제조용 로봇이 2조 9,90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로봇산업 매출 비중의 50.0%로, 한국 로봇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서비스용 로봇 매출은 1조 456억 원으로 제조용 로봇 매출의 약 35%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최근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전년 대비 13.4%의 가파른 성장률을 기록하며 산업내 비중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표 1. 한국 로봇산업 매출 현황
(단위: 억 원, %)
한국 로봇산업 매출 현황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전년대비 연평균
(’20~’23)
제조용 34,202 29,443 28,658 28,740 29,747 29,903 0.5 1.4
서비스용 6,650 6,358 8,577 9,077 9,823 10,456 6.4 6.8
전문 2,953 3,199 4,611 5,091 5,417 6,143 13.4 10.0
개인 3,697 3,159 3,966 3,985 4,406 4,313 -2.1 2.8
부품 및 소프트웨어 17,167 17,550 17,501 18,266 19,363 19,446 0.4 3.6
합 계 58,019 53,351 54,736 56,083 58,933 59,805 1.5 3.0
* 자료 :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19~2024), 각 연도.
우리나라는 로봇산업의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2008년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제정하였으며, 동 법령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5년 주기(’09년 1차, ’14년 2차, ’19년 3차, ’24년 4차)의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 오고 있다. 제1차(2009~2013) 및 제2차(2014~2018) 기본계획은 정부 주도하에 초기시장 창출에 방점을 두고, 제조·교육·청소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시범 보급 및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동 기간 동안 국내 공공기관 중심의 보급사업과 함께 총 6,288억 원 규모의 로봇기술 R&D 투자를 통해 기술개발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어 제3차 기본계획에서는 정부-민간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정부는 표준모델 개발 및 사용자 교육을 중심으로 시장 기반을 확장하고, 민간은 렌탈・리스 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로봇 확산을 유도하는 민관 협력형 정책을 추진하였다.
표 2.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1~3차 비교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1~3차 비교
1ㆍ2차 기본계획 3차 기본계획
지원체계 ㆍ정부 주도의 정책 수립ㆍ추진을 통한 초기시장 창출
- 국내ㆍ공공기관 중심 보급사업 추진
- 10년간 로봇 기술 R&D에 6,288억 원 투입
ㆍ정부-민간 역할 분담을 통한 지원 효과성 제고
- (정부)표준모델 개발→선도 보급→사용자 교육
- (민간)렌털ㆍ리스 서비스 지원
지원분야 ㆍ다양한 분야에 Seed형 R&D 지원
- 기 시장형성 분야(제조, 교육, 청소로봇 등) 지원
- 공급자 및 공공기관 중심 보급
- 1,365개 수요처 6,063대 투입
ㆍ선택과 집중을 통한 유망 분야 지원
-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 3대 핵심부품, 4대 SW 기술 자립화
성장기반 ㆍ제도 및 지원기관 구축에 초점
- 지능형 로봇법 제정 및 연장
- 로봇산업진흥원 설립, 품질인증을 통한 시장 확대
ㆍ규제 등의 발굴ㆍ개선에 초점
- 규제혁신센터 구축을 통한 제도 발굴ㆍ개선 지원
- 협동로봇 작업장 안전인증을 통한 보급지원
정부는 2024년 1월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로봇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로봇시장을 선도하는 K-로봇경제 실현’이라는 비전하에 ▲로봇 3대 핵심경쟁력 강화, ▲K-Robot 시장의 글로벌 진출 확대, ▲로봇산업 친화적 인프라 기반 구축의 3대 주요 추진 전략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총 3조 원 이상을 투자하고, 첨단로봇 100만대 보급의 목표 달성을 통해 로봇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산업·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박상수 연구위원 (spark@kiet.re.kr)
산업연구원 디지털·AI전환생태계연구실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