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글로벌 제조용 로봇산업 동향과 한국 로봇산업의 경쟁력
우리나라 제조용 로봇산업은 시장규모 세계 4위, 로봇밀도에서 세계 1위 위상을 확보
국내 로봇산업의 동향과 정책 추진 현황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증감률 | ||
---|---|---|---|---|---|---|---|---|---|
전년대비 | 연평균 (’20~’23) |
||||||||
제조용 | 34,202 | 29,443 | 28,658 | 28,740 | 29,747 | 29,903 | 0.5 | 1.4 | |
서비스용 | 6,650 | 6,358 | 8,577 | 9,077 | 9,823 | 10,456 | 6.4 | 6.8 | |
전문 | 2,953 | 3,199 | 4,611 | 5,091 | 5,417 | 6,143 | 13.4 | 10.0 | |
개인 | 3,697 | 3,159 | 3,966 | 3,985 | 4,406 | 4,313 | -2.1 | 2.8 | |
부품 및 소프트웨어 | 17,167 | 17,550 | 17,501 | 18,266 | 19,363 | 19,446 | 0.4 | 3.6 | |
합 계 | 58,019 | 53,351 | 54,736 | 56,083 | 58,933 | 59,805 | 1.5 | 3.0 |
1ㆍ2차 기본계획 | 3차 기본계획 | |
---|---|---|
지원체계 | ㆍ정부 주도의 정책 수립ㆍ추진을 통한 초기시장 창출 - 국내ㆍ공공기관 중심 보급사업 추진 - 10년간 로봇 기술 R&D에 6,288억 원 투입 |
ㆍ정부-민간 역할 분담을 통한 지원 효과성 제고 - (정부)표준모델 개발→선도 보급→사용자 교육 - (민간)렌털ㆍ리스 서비스 지원 |
지원분야 | ㆍ다양한 분야에 Seed형 R&D 지원 - 기 시장형성 분야(제조, 교육, 청소로봇 등) 지원 - 공급자 및 공공기관 중심 보급 - 1,365개 수요처 6,063대 투입 |
ㆍ선택과 집중을 통한 유망 분야 지원 -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 3대 핵심부품, 4대 SW 기술 자립화 |
성장기반 | ㆍ제도 및 지원기관 구축에 초점 - 지능형 로봇법 제정 및 연장 - 로봇산업진흥원 설립, 품질인증을 통한 시장 확대 |
ㆍ규제 등의 발굴ㆍ개선에 초점 - 규제혁신센터 구축을 통한 제도 발굴ㆍ개선 지원 - 협동로봇 작업장 안전인증을 통한 보급지원 |
박상수 연구위원 (spark@kiet.re.kr)
산업연구원 디지털·AI전환생태계연구실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