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한국은 OLED 생태계 전환으로 대외적 위기 극복에 집중
한국은 OLED로의 산업구조 전환에 성공하여 중국과 양강 구도가 이어지고 있다. OLED를 선도하는 한국과 달리 기존의 주요 경쟁국인 대만과 일본은 디스플레이시장에서의 중요성이 점차 옅어지고 있다.
중국의 대규모 투자로 LCD 시장의 치킨 게임이 격화되었고 한국은 산업 생태계를 OLED로 전환하여 대응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LCD의 생산을 중단하였으며, LG 디스플레이도 광저우 LCD 공장을 매각하는 등 생산규모 축소를 빠르게 추진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수출 품목 구조 변화로 명확히 나타난다. 2020년까지도 50%대에 머물렀던 OLED 수출 비중은 현재 74.7%로 상승하였다.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수요 비중이 매우 낮은 산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수출 비중은 한국의 디스플레이 생태계가 OLED로의 전환에 성공하였음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산업 전체를 기준으로는 생산액, 기업 수, 종사자 수 등 규모의 축소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OLED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제품 고도화를 통한 산업의 성장은 지속 이루어지고 있다.
시장 전망 및 정부의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 정책
패널의 대형화로 인한 OLED 시장의 성장
글로벌 디스플레이시장은 2024년 이후 코로나 시기 구매한 제품의 교체주기 진입으로 인하여 시장 성장으로 전환되었으며 1,348억 규모로 나타났다. 향후 OLED를 중심으로 시장 성장이 꾸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테블릿과 노트북의 사용자 층 확대는 제품의 고부가화로 이어지졌으며 OLED 침투율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2024년 애플은 OLED를 채택한 IPad를 출시하였으며, 맥북에도 OLED 적용을 준비하고 있으며, 경쟁기업의 OLED 채택 유도를 통해 시장의 활성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정부도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디스플레이 혁신전략을 통해 산업 발전의 로드맵을 제시하였으며, 국가첨단산업지정을 통해 세제 혜택, 특화 클러스터 지정등 인센티브 구조를 구축하였다. R&D에서도 디스플레이혁신공정 플렛폼 구축 사업을 통해 공공 테스트베드를 구축 및 운용 중에 있으며,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마이크로 LED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외투기업의 한국진출 사례
남상욱 부연구위원 (sanguknam@kiet.re.k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산업연구원 디지털·AI전환생태계연구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