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반도체] 한국 반도체산업 및 투자현황
작성일
2025.10.01

세계 반도체시장 및 한국 반도체수출

반도체는 1980년대 이후 PC, 스마트폰 등에 핵심부품으로 투입되며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2024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규모는 6,77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최근에는 AI가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6.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총 수출은 1,419억 달러를 기록, 한국 최대 수출품목으로서 한국 전체 수출의 20.8% 비중을 차지하며, 한국 경제와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그림 1> 세계 반도체 시장 전망 및 한국 수출
* 출처 : OMDIA 2025, 무역협회

한국 반도체시장의 매력

한국은 세계 반도체 생산Capa의 약 20%를 차지하며, 중국, 대만과 함께 글로벌 반도체공급망에서 핵심적인 반도체 제조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지리적인 이점도 있기 때문에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에게 최적의 투자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규모 있는 반도체 제조시설을 통해 한국은 세계에서 반도체 설비투자가 가장 활발한 나라로 거대한 반도체 장비/소재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세계시장의 17.4% 점유율의 반도체 장비 시장을 형성하였고, 반도체 소재 또한 16.6%의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중 중국의 장비/재료 시장에는 중국에 위치하고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설비투자가 합쳐진 금액이라서 한국의 반도체 장비/소재 시장은 이보다 더 큰 수치라고 볼 수 있다. 반도체 장비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에게 한국과 한국기업은 큰 기회가 될 수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림 2>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 시장 한국의 비중
* 출처 : Gartner 2025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한국시장 진출 확대

한국의 주력산업인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소재, 부품, 장비 분야의 많은 글로벌 기업이 한국으로 진출하고 있다. 반도체 식각 및 증착 장비를 주력으로 하는 미국의 램리서치는 2011년 램리서치 매뉴팩춰링코리아를 설립한 이후 지속적으로 국내 생산량이 증가해왔으며, 2021년 경기도 화성에 5170㎡ 규모의 신규 공장을 가동하고 있고, 2024년 용인 캠퍼스를 개소하며, 램리서치 한국 최대 R&D센터로 연구, 기술교육, 고객 협력의 전초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첨단 EUV 노광장비를 독점 공급하는 ASML은 화성에 첨단 EUV 클러스터를 조성 중에 있으며, 도쿄오카, 듀폰, 머크, 알박 등 반도체 소재기업들이 국내 생산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각 반도체 공정별로 한국에도 많은 소부장 기업들이 R&D 비즈니스를 하고 있어, 국내 진출한 글로벌기업들과 여러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 지원 정책

한국 정부는 [K Chips법⦌,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등을 통해 메모리반도체를 넘어 시스템반도체를 육성하고 종합 반도체 강국을 실현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

세계 최고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반도체 설비(20~30%) 투자 및 R&D(30~50%) 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하였고, 반도체 투자 활성화를 위한 노동·환경 규제 개선도 적극 시행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반도체 공장 신증설이 진행 중인 평택·용인 반도 체단지에 용수, 전력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반도체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 또한 규제개혁과 재정지원을 통해 2030년까지 15만명을 양성하여 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며, 반도체 기술 분야별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기업 간 R&D 협력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 정부는 관련법 재정 및 개정을 통해 반도체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림 3> 한국 정부의 반도체 지원
* 출처 : KSIA

고종완 실장 (jwko@ksia.or.kr)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