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한국 스마트 물류산업 현황
한국 스마트 물류시장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비용, 효율적인 물류 및 공급망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고객의 기대치와 물류비용 통제 조치는 물류시장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의 발전은 시장의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및 성장하는 전자 상거래 부문에서 증가하는 데이터양은 스마트 물류시장의 주요 성장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기업들의 스마트 물류시설 투자 추이
최근 10년 동안 국내 물류센터에 적용된 자동화 물류설비 적용 추세를 보면,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증가된 물동량과 다품종 소량 저빈도 상품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고효율 물류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면서, 스마트 자동창고 시스템인 MSC(Multi Stacker Crane)와 MSS (Multi Shuttle System)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자동화 단계 | 단계 | Step 1 | Step 2 | Step 3 | Step 4 | Step 5 |
수준 | System Automation | Semi-Automation (Low Level) |
Semi-Automation (High Level) |
Full-Automation (Advanced Level) |
Unmanned W/H (Intelligent Level) |
|
핵심 적용 설비 | 정보 | ERP, WMS | WMS, WCS¹ | WMS, WCS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 |
WMS(AI), WES² | WMS(AI), RMS⁸ |
피킹 | Manual Picking | DPS³, DAS | DPS, DAS⁴, SPS⁵ | DPS, SPS, RPS⁶, MPS⁷ | SPS, RPS, MPS | |
보관 | Pallet Rack Pallet AS/RS |
Pallet AS/RS Box AS/RS |
Pallet AS/RS Box AS/RS |
Pallet AS/RS Box AS/RS HPSC, MSS Self Rack with AMRⁿ |
Pallet AS/RS Box AS/RS HPSC Self Rack with AMR |
|
분류 | Manual Conveyor | Slide Shoe, Tilt Tray | Slide Shoe, Cross Belt | Cross Belt, AMR | Cross Belt, AMR | |
적용사례 | 동서식품, 대한제분, 중외제약, POSCO, 한국타이어, KT&G, 롯데칠성음료, 웅진 | 아모레퍼시픽, 이마트, SK케미컬, 동화약품, 삼성정밀화학, 풀무원, 신세계인터내셔널, 롯데제과, 녹십자 | 이마트24, 다이소, 롯데마트, 롯데수퍼, SK이노베이션, 아워홈, 신세계푸드, 이마트몰, BGF리테일 | 동원산업, SK네트웍스, 롯데칠성음료, 이렌드, 유니클로, 현대백화점 | 도소매유통,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Intelligent Level의 자동화 시장 성장 예상 | |
산업군 | 식품/제약/철강/타이어 | 화학/제약/식품/유통 | 도소매유통/온라인 | 도소매유통/의류/온라인 | ||
시기 | 2010년 | 2020년 | 2030년 |
* 자료: 물류센터 구축 패러다임 변화, SFA, 박정현, 2022, 내용 일부 수정
이처럼 유통물류센터들은 생산성 향상과 동시에 부족한 작업 인력 해소를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스마트 물류자동화 설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과 스마트 물류산업 육성 정책
이는 고령화와 생산인구의 감소, 도시집중화와 스마트 시티화, 중산층 증가와 삶의 질 중요성 증대를 고려한 계획으로 볼 수 있겠다.
구분 | 내용 |
비전 | 물류산업: 스마트·디지털 혁신성장과 상생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 |
목표 | • 첨단화 및 디지털화 • 사람중심/좋은 일자리 • 공유/연계 융복합 인프라 • 산업 미래 대응력 확보 • 지속 가능한 환경 •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추진 전략 | • 전략 1. 첨단 스마트 기슬기반 물류시스템 구축과 디지털 전환 추진 • 전략 2. 단절없는 물류 서비스 위한 공유·연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전략 3. 사람중심 좋은 일자리 마련과 수요자 관점의 고품질 물류 서비스 창출 • 전략 4. 지속 가능한 물류산업 환경 조성 • 전략 5. 새로운 수요 대응 위한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 및 체질 개선 • 전략 6. 글로벌 경제지도 변화에 따른 전략적 해외 시장 진출 |
향후 한국 스마트 물류시장 전망
첨단·자동화된 시설·장비 및 시스템을 도입하여 효율성, 안전성, 친환경성 등이 우수한 물류시설을 국가가 「스마트물류센터로 인증」하고 행정적·재정적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를 2021년 4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인증을 받으면 물류센터 건축 또는 첨단·자동화 설비 구입에 필요한 비용을 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으며, 정부가 최대 2%p의 이자비용을 지원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 스마트 물류 인프라 투자 확대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e-Commerce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빠른배송을 요구하는 시장변화, 물류현장의 인력부족, 작업환경 및 안전에 대한 요구 증대 등으로 물류현장의 스마트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며, 도소매유통,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Intelligent Level의 자동화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박찬석 (mincho79@empal.com)
미래물류컨설팅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