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구분 | Tele-헬스 | e-헬스 | u-헬스 | smart-헬스 |
---|---|---|---|---|
시기 | 1990년 중반 | 2000년 | 2006년 | 2010년 이후 |
서비스 내용 | 원내치료 | 치료 및 정보제공 | 치료/예방 관리 | 치료/예방/복지/안전 |
주 Player | 병원 | 병원 | 병원, ICT기업 | 병원, ICT기업, 보험사, 서비스 기업 등 |
주 이용자 | 의료인 | 의료인, 환자 | 의료인, 환자, 일반인 | 의료인, 환자, 일반인 |
주요 시스템 | 병원운영(HIS, PACS) | 의무기록(EMR)웹사이트 | 건강기록(EHR)모니터링 | 개인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서비스 |
코로나 상황에서의 원격진료 경험 축적
실제 원격진료를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의 주요 목표가 환자 상태에 대한 상시적인 모니터링, 이상징후 감시와 적절한 치료로, 한국은 코로나 상황에서 이를 실제 환자치료에 적용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현재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장비 보급,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화, 처방 및 예방 관련 사례확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세계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동향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의 핵심이 되는 정밀의료 및 개인별 맞춤의료에 있어 유전체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유전체 분석 분야에 있어서 미국의 Cancer Moonshot과 같은 정부주도의 산업지원 정책과 활성화 방안이 큰 차별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이니셔티브(2016):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향후 25년 동안 50% 이상 줄이고 암과 함께 생활하고 생존하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을 개선하고자 추진중인 미국정부의 보건의료 정책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동향
특히 기술력을 인정받은 국내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가 확대되고 있는데 Noom이 5.4억달러, 휴이노가 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하였다. 아울러, 국내 보험, 통신, 플랫폼 기업 등 대기업들도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는데 2021년 12월에 카카오그룹이 헬스케어 CIC를 설립하였고, KB손해보험은 2021.10월에 KB헬스케어를 설립하였다.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정부 지원 정책
디지털 뉴딜은 그린 뉴딜과 함께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디지털 뉴딜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신제품·서비스 창출 및 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해 전 D.N.A(Data-Network-AI) 생태계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그 중 하나가 스마트 헬스케어로, 감염병 위험으로부터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의료편의를 높이기 위한 디지털 기반 스마트 의료 인프라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 목표는 첫 번째로 입원환자의 실시간 모니터링, 의료기관 간 협진이 가능한 디지털 기반 스마트병원을 18개 구축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1,000개소 설치하는 것으로, 호흡기와 발열증상을 사전확인ㆍ조치하고 내원 시 안전 진료가 가능한 클리닉으로 화상 진료기기, 음압장비 등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 세 번째로는 AI 정밀의료로서 간질환, 폐암, 당뇨병 등 12개 질환별 정밀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닥터 앤서 2.0을 개발하는 것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환자를 질병으로부터 예방하고 질병 발생 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완치가 가능케 하는 등 향후 노인인구 비중 증가로 급증하게 될 의료비에 대한 대책으로도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ICT 기반 기술과 플랫폼 기업의 참여로 인해 한번 시장이 선점되어 고객들이 참여하게 되면 변경이 어렵다는 것도 중요한 특징중에 하나로 볼 수 있다. 향후 정부의 많은 지원과 함께 유능한 의료진, 과학자, 기업인들이 참여하여 한국이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의 성공적인 구축사례가 되길 기대한다.
임정희 (jhlim@intervest.co.kr)
부사장, 인터베스트 바이오투자본부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