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국내 유통/물류산업 현황
유통업계: 빅 블러 1) 심화와 시장 재편
빅블러 현상과 함께 오프라인 유통은 본질이 변화하여 ‘공간 비즈니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유통과 물류, IT산업이 결합하고 코로나 19로 온·오프라인 경계가 무너지며 ‘퀵커머스’라는 새로운 비즈니스가 확산 중이다. 유통과 IT, 온·오프라인, 판매자와 구매자 간 경계가 흐려지며 나타난 비즈니스인 ‘로컬 플랫폼’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이커머스 시장 내 지배적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M&A를 통해 경쟁력 확보 및 규모의 경제 극대화를 꾀하고, 자금력을 갖춘 이커머스 기업을 중심으로 유통시장이 재편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 |
ㆍ 신세계그룹 이마트는 2021년 11월 G마켓, 옥션을 운영하는 오픈마켓 사업자 이베이코리아의 지분 80%를 3조 4,400억 원에 인수 ㆍ 인수 이후 쓱닷컴과 G마켓의 유료 맴버십 ‘스마일클럽’의 통합작업 등을 통해 시너지 창출 도모 |
![]() |
ㆍ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를 기반으로 이커머 비지니스를 전개해 온 큐텐은 2022년 9월 티몬을 2,800억 원에 인수하며,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한국계 기업) ㆍ 외부 컨소시엄의 티몬 지분 100%를 큐텐의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 지분과 교환 |
![]() |
ㆍ 2020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한 야놀자는 공연티켓 예매, 여행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인터파크 전자상거래 부문 인수를 통해 온라인 여행 시장에서 지배적 입지 구축에 나섬 ㆍ 야놀자는 2021년 10월 인터파크 전자상거래 부문을 분활해 신설한 법인지분 70%를 2,940억 원에 인수 |
![]() |
ㆍ 가격 비교 플랫폼 다나와는 2022년 11월 에누리닷컴과 해외직구 플랫폼 몰테일을 운영하는 코리아센터와 M&A를 진행하여 경영 효율성, 데이터 커머스 및 솔루션 역량 강화를 도모 ㆍ 코리아센터는 다나와 지분 51.3%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나와가 모회사인 코리아센터를 합병 진행 후 상호를 ‘(주)커넥트웨이브’로 변경 |
물류업계: 자동화 및 로봇화 가속
물류자동화와 로봇화의 등장을 요구하는 경제, 사회적 토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간의 갈등으로 분업 구조가 와해되고, Reshoring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숙련 작업자들의 확보와 필요한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자동화와 로봇화 전환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상황과 작업자의 감염으로 Lock-down 현상을 사전 예방하는 차원이다.
셋째. 긱 워커2) 운영의 어려움이다. 최근들어 긱워커들의 사회보험 접근권한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긱경제의 강점이었던 수요-공급에 유연하고 탄력적인 대처가 어려워진 것이다.
넷째. 고령화와 구인난, 인건비의 고공행진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력난은 사업주들로 하여금 물류분야의 자동화와 로봇의 필요를 깨닫게 하고 있으며, 인건비 상승 대비 자동화 및 로봇가격 하락 속도는 빨라져 보급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부의 유통/물류산업 육성 정책
비전 | 유통산업의 디지털 혁신선도 및 지속 가능한 성장 생태계 조성 |
---|---|
기본방향 | ㆍ 디지털 유통 인프라 구축을 통한 민간주도 혁신 촉진 ㆍ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 조성으로 민간의 ESG 경영 확산 ㆍ 글로벌 협력강화로 유통사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 |
추진전략 | ① 유통데이터 댐 구축 ② 배송물류 혁신기반 확충 ③ 인재양성·창업 등 유통 혁신생태계 조성 ④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유통환경 조성 ⑤ e-커머스의 글로벌화 촉진 |
비전 | 물류산업 스마트·디지털 혁신 성장과 상생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 |
---|---|
목표 | ㆍ 첨단화 및 디지털화 ㆍ 사람중심/좋은 일자리 ㆍ 공유·연계 융복합 인프라 ㆍ 산업 미래 대응력 확보 ㆍ 지속 가능한 환경 ㆍ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추진전략 | ① 첨단 스마트기반 물류시스템 구축과 디지털 전환 추진 ② 단절없는 물류 서비스 위한 공유·연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③ 인재양성·창업 등 유통 혁신생태계 조성 ④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유통환경 조성 ⑤ e-커머스의 글로벌화 촉진 |
국내 유통/물류산업 전망
물류산업의 경우 고유가·고금리·고환율의 영향으로 내수산업 침체가 예상되어 화물 물동량은 정체 될 것으로 예측되고, 탄소배출 규제, ESG 경영, 디지털 물류 전환의 가속화가 예상 된다.
대외(지정학) 및 경영환경 변화와 빅 블러 현상의 심화로 유통과 물류산업 전반에 걸친 시장 재편과 New Business의 출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고령화, 노동력 부족, ESG 경영에 따른 작업 환경 및 안전강화 등으로 유통/물류 현장의 디지털화, 자동화 및 로봇화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박찬석(mincho79@empal.com)
미래물류컨설팅 대표
2) 긱 워커(Gig Worker)는 고용주의 필요에 따라 단기로 계약을 맺거나 일회성 일을 맡는 등 초단기 노동을 제공하는 근로자를 뜻한다. 노동력의 중개가 디지털 플랫폼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기 근로형태와 차이가 있다.
3) 국가물류기본계획은 육·해·공 물류 분야 전반을 포괄하는 계획으로서, 물류시설 및 인프라, 국제물류 네트워크, 물류산업, 물류기술 및 정보화, 환경 친화적 물류 및 물류 보안, 물류인력 양성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한다.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