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소비재] [식품]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K-Food
작성일
2023.08.02
한국의 식품산업

국내 식품산업 현황

식품산업은 첨단기술, 문화, 관광 등 타 영역과의 융·복합이 가속화되고 부가가치가 높아져면서 미래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 규모는 2021년 약 656조원으로 2018년~2021년 연평균 8.0% 성장하였고, 이는 동기간 전산업 성장률인 7.4%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러한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의 식품산업 육성을 통해 수출산업화를 추구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 역시 세계에서 힙한 식문화 컨텐츠로 떠오른 K-Food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3년 해외한류실태조사1)에서 K-Food(49.1%)가 음악, 영화를 제치고 대중적 인기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는 K-Food가 불고기, 김치 등 전통음식에 국한되었다면 최근에는 라면, 떡볶이 등 로컬 푸드까지 인기가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적 물가의 오름세 여파와 물류대란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2022년 전년 대비 5.3% 증가한 120억 달러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온라인 문화콘텐츠 소비가 확산되면서 K-팝스타, 먹방 등과 결합된 K-Food의 상품성이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전 세계의 MZ세대가 SNS 등을 통한 K-Food 트렌드를 이끌고 있어 업계에선 향후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그래프 1. 국내 식품산업 시장 규모
(단위: 조원)
한국의 식품산업
그래프 2. 농수산식품 수출액 추이
한국의 식품산업

국내 식품산업 전망

최근 식품산업은 식품 소비 트렌드 변화, 푸드테크 등 신기술 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세계 식량 안보 위협과 그에 따른 세계 식품시장 공급망 차질 등 급변하는 환경에 놓여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K-Food로 대변되는 국내 식품산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문화와 결합해 융합콘텐츠로 더욱 힘을 발휘한다는 특징이 있다. 단순 제조업이 아니라 문화콘텐츠, 농수산식품, 관련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해 융합콘텐츠로서의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식품산업의 글로벌화에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단순히 소비의 대상을 넘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푸드테크가 급부상함에 따라 이에 대한 투자와 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푸드테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식품서비스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식품 소비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어 간편식, 메디푸드, 기능성식품 등 신식품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품 소비 패턴 변화는 새로운 시장의 형성이 기대되어 식품산업의 성장세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내수에서 인구감소로 인한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식품기업들은 수출을 통한 성장 기회를 모색하여 해외 진출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K-Food의 유행이 잠깐의 유행이 아닌 지속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식품업계는 이 같은 전망에 발맞춰 미래형 성장동력 및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할 상품 개발과 사업 확장을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식품산업

정부의 식품산업 육성 정책

최근 세계 식품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식품산업의 성장을 위하여 식품산업 육성 및 글로벌화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산업 활성화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한국은 주요 식품시장인 미국, EU를 비롯하여 중국, 베트남 등과 이미 FTA가 발효된 만큼 정부는 K-Food 글로벌화를 위한 식품산업 육성 및 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강점인 정보기술(IT)·생명공학기술(BT)에 기반한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는 특히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농식품과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신산업, 스마트기술·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의 수출 산업화를 통하여, 농산업 혁신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설정하였다.
표 1. K-Food 수출 전략 주요 과제
K-Food 수출 전략 주요 과제
비전 K-Food 수출을 통한 농산물 혁신 동력 창출
목표 2023년 K-Food 수출 135억 달러 달성
[농식품] 22년 88억 달러 → 23년 100억 달러 → 27년 150억 달러
[전후방산업] 22년 30억 달러 → 23년 35억 달러 → 27년 80억 달러
주요 과제 과제 1.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달성
과제 2.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 산업화
과제 3. 수출시장 다변화
과제 4. 수출 확대 추진체계 정비
* 출처: K-콘텐츠 수출전략(제4차 수출전략회의) 보도자료, 2023. 2. 24
한편, 정부는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K-Food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으며, 현재 제4차 기본계획까지 발표하였다. 이번 제4차 기본계획에서는 코로나19로 크게 달라진 식품산업의 여건을 반영하여 식품산업 성장전략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2021년 기준 656조원 규모의 식품산업을 2027년 1,100조원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표 2.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2023~2027)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2023~2027)
비전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K-Food
목표 산업 성장 : 식품산업 규모: 21년 656조원 → 27년 1100조원 (연평균 9%↑)
수출 확대 : K-Food 수출액: 22년 88.2억달러 → 27년 150억달러
농업 연계 : 국산 원료 사용량: 21년 594만톤 → 27년 800만톤
주요 과제 전략 1. 첨단기술을 통한 식품산업 성장 도모
전략 2. K-Food의 경쟁력 강화
전략 3.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전략 4. 식품산업과 농업 간 연계 강화
전략 5.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 공고화
* 출처: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2023~2027), 농림축산식품부, 2023. 6. 28


한정민(jmhan@kiet.re.kr)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원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