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국내 ICT 산업 현황
디바이스: 경쟁 심화와 신산업 진출
동시에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주요 업체들은 5G 네트워크 확대, 스마트홈 인기, 증강·가상현실 기술 발전 환경에 맞춰 스마트링, 스마트조명 등 다양한 전자기기 출시 및 신산업 확대를 강화하고 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경쟁우위 유지 및 디지털 핵심 기술 기반 신산업 추진을 통해 디지털 전환 흐름에 대응하고 있다.
통신: 5G 고도화 및 6G
5G 산업 확장을 위해서 융합 서비스 발전이 필수적이므로 정부와 민간업체를 중심으로 융합 서비스 발전을 위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5G 특화망(이하 ‘이음5G’) 보급으로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팩토리, AR/VR 등 통신을 활용한 융합 서비스를 활성화하고자 노력 중이다. 반면, 통신장비 분야의 경쟁력은 비교적 낮은 편이며 삼성전자를 제외한 다른 부품·장비 기업의 성장이 필요하다. 5G 통신장비의 주요 시장인 미국, 유럽, 인도의 탈 중국화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으로 경쟁력을 갖춘 국내 통신장비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가 점차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5G의 다음 단계로 5G 속도와 지연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6G를 목표로 글로벌 경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한국은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Pre-6G 기술 시연(‘26년), 통합시스템 시연(’30년) 등 6G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G 환경에서는 초정밀 디지털 트윈, UAM 등 혁신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반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여 서비스 영역까지 선점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의 ICT 산업 육성 정책
‘20년 『5G+전략』 추진계획(‘19.12) | ‘21년 『5G+전략』 추진계획(‘21.1) | 5G+융합서비스 확산 전략(‘21.8) | ‘22년 『5G+전략』 추진계획(‘22.2) |
---|---|---|---|
5G+ 전략산업별 후속대첵 제시 등 | 특화망 도입 결정, 5G+ 전담기관 지정 등 | 사회문제해결 서비스 발굴, 국산 5G 모듈·단말 개발 등 | 5G+ 융합서비스 고도화, 이음5G 서비스 확산 등 |
혁신선도 | ‣ 구분 : 전후방 파급효과 큰 우리경제·산업 버팀목 기술군 ‣ 해당기술 :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 목표 : 민간주도 초격차 기술개발 및 핵심소재부품 의존도 완화 |
---|---|
혁신선도 | ‣ 구분 : 급격한 성장과 국가안보 관점 핵심이익 좌우 기술군 ‣ 해당기술 :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 보안 ‣ 목표 : 민간협업 시장 스케일업 및 대체불가 원천기술 확보 |
혁신선도 | ‣ 구분 : 체제 전환에 따른 전기술·산업의 공통 핵심·필수기반 기술군 ‣ 해당기술 : 인공지능, 차세대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 목표 : 공공주도 핵심원천기술 고도화, 타 전략분야 융합·활용에 민관 역량결집 |
안길현(ghahn@gokea.org)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 5G 보급현황(한국수출입은행, ‘22.12) : (세계 1위)10만 명당 5G 기지국 수 415개, 인구수 대비 5G가입자 비중
3) 52.2%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 : 디지털 기술 주도권 확보를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및 경제안보를 위해 정부에서 수립한 전략으로, 미래상으로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50대 세부 중점기술을 제시하여 단기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제시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