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포커스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포커스
한국 미래차(친환경차, 자율주행차) 시장 현황
2023년 수출 최고 기록을 경신한 한국 친환경차 시장
- 2019-친환경자(승용) 59.8억달러
- 2020-친환경자(승용) 71.4억달러 비중 19.1%
- 2021-친환경자(승용) 116.6억달러 비중 25.1%
- 2022-친환경자(승용) 160.8억달러 비중 29.7%
- 2023-친환경자(승용) 242.1억달러 비중 34.2%
- 2019-친환경자 25.9만대 비중 10.8%
- 2020-친환경자 27.1만대 비중 14.4%
- 2021-친환경자 40.5만대 비중 19.8%
- 2022-친환경자 55.5만대 비중 27.3%
- 2023-친환경자 72.9만대 비중 26.3%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과 함께 성장이 기대되는 한국 시장
- 2020-레벨3 63.9 레벨4 6.6 합계 70.5
- 2025-레벨3 1234.8 레벨4 314.1 합계 1548.9
- 2030-레벨3 3456 레벨4 3109.2 합계 6565.2
- 2035-레벨3 4905 레벨4 6299 합계 11204
- 2020-레벨3 1493 레벨4 16 합계 1509
- 2025-레벨3 28852 레벨4 7341 합계 36193
- 2030-레벨3 80753 레벨4 72651 합계 153404
- 2035-레벨3 114610 레벨4 1471883 합계 261794
한국의 적극적인 미래차 전환 목표 설정과 정부 지원 현황
구분 | 내용 |
---|---|
2022년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 시행계획 (2022.2.) |
ㆍ(보급목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으로 2030 무공해차 보급목표를 385만대에서 450만대로 강화 * 2030년까지 전기차 362만대(기존 300만대), 수소차 88만대(기존 85만대)로 무공해차 보급목표 강화 및 하이브리드차 보급목표는 기존 400만대로 유지 |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 | ㆍ(목표) ①‘30년 글로벌 전기차 생산 330만대 및 세계시장 점유율 12%, ②향후 5년간(’22-‘26)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원+α, ③’30년까지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 |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발표 (2022.9.) |
ㆍ(상용화) ‘25년까지 레벨4 버스·셔틀 출시, ’27년까지 레벨4 승용차 출시 ㆍ(규제) ‘27년 레벨4 상용화를 위해 ’24년까지 레벨4에 대한 제도 선제적 마련 ㆍ(인프라) ‘30년까지 전국 도로(약 11만km)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되, 도심부 등 혼잡지역은 ’27년까지 선제 구축 |
미래차특별법 (2024.1. 제정, 2024.7. 시행 예정) |
ㆍ(범위규정)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 대표되는 미래차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프트웨어를 미래차 기술과 부품의 범위에 포함 ㆍ(지원내용) 미래차 기술개발·사업화·표준화 등 미래차 경쟁력 핵심역량 지원 ㆍ(특례규정) 미래차 산업 국내 투자촉진 및 공급망 강화 특례 규정 포함 |
한국 기업들의 미래차 경쟁력 확보 전략 수립 현황
한국 기업들은 자율주행 시장 선점을 위한 파트너십 및 기술개발 경쟁에 동참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포티투닷을 인수했으며(‘22.8.), 앱티브와 자율주행 합작법인으로 설립한(‘20.3.) 모셔널은 글로벌 자율주행 업체 기술 순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9) . 모셔널은 2024년 로보택시를 미국 주요 도시에 상용화할 계획이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는 제주도에서 레벨4 자율주행 카셰어링 기술을 시연하는(‘23.11.) 등 레벨4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또한, 현대차·기아는 소프트웨어 기술력 강화를 위해 2025년까지 모든 신차에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2030년까지 총 18조원을 투입하는 등의 로드맵을 제시했다(‘22.9.).
한국은 유연한 미래차로의 전환과 산업 경계 확장을 통해 미래차산업 글로벌 탑티어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신속한 미래차 전환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정책과 더불어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한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확대 전략 추진에 따라 한국 미래차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유연홍 연구원(yhyu1@katech.re.kr), 김수민 연구원(kimsm@katech.re.kr)
한국자동차연구원
2) 2022년 541억 달러(한국무역협회)
3) SAE(미국 자동차 공학회) 기준으로 레벨3(조건부 자율주행), 레벨4(고등 자율주행), 레벨5(완전 자율주행)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레벨3 이상을 자율주행차로 분류
4) 한국수출입은행 뉴딜산업 분석보고서(2020.12.)
5) Frost&Sullivan(2022)
6) 하이브리드차 보급목표는 400만대로 유지
7)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의 전환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대한 특별법
8) (현대차·기아) ‘30년까지 전기차 364만대 생산, (현대자동차) ‘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 판매, (기아) ‘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160만대 판매
9) Guidehouse Insights 발표 글로벌 자율주행 업체 기술 순위: (‘19) 현대차그룹 15위, (‘20) 모셔널 6위, (‘21) 모셔널 6위, (‘23) 모셔널 5위
<본 기고문의 내용은 KOTRA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