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Location Report

  • Home
  • 유망산업·입지
  • 입지정보
  • Location Report
미래 모빌리티 로봇 등 첨단 신산업 육성으로 제조업 거점 산업단지로 도약하는 대구국가산업단지
작성일
2025.10.01
대구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 강점

대구광역시는 1990년대부터 건설이 추진되었지만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몇 차례나 무산되어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국가산단이 없었고, 1992년부터 28년간 GRDP가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었다. 이런 사회경제적 배경에서 대구시는 신성장산업유치, 지역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꾸준히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여 36년 만인 2009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었고 2016년 12월 1단계 준공을 거쳐 2026년 12월 전체사업 준공을 앞두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으로 297개 기업이 입주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기계 105개, 운송장비 95개사, 전기전자 45개사, 비제조 및 기타제조업이 52개 사이다.

산업단지 개요

  • 명칭 : 대구국가산업단지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일원
  • 단지규모
    (단위 : 천 ㎡)
    산업단지 단지규모를 나타내는 표
    총면적 산업시설 지원시설 공공시설 녹지구역
    7,354 491 336 1,286 822
특히 대구국가산단에는 미래 모빌리티, 로봇 등 유망 신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많이 입주하여 대구국가산단을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대표 기업으로는 2차 전지 소재 기업인 L&F,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인 ㈜구영테크, 농업용·비농업용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제품 기업인 대동모빌리티, 자동차 와이퍼 전문기업인 KBWS 등이 있다. 대구광역시는 2023년 7월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지정된데 이어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등 다양한 국책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한국산업단지공단 대구지역본부와 대구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이 진행한 ‘자율제조로봇 실증사업’은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하우징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성공하며 미래 제조업을 선도하는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

한편, 대구 도심과 서남부권 산업단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구산업선을 신설한다. 대구산업선은 서대구역부터 대구국가산업단지를 잇는 철도이며 총 9개 역으로 개통될 예정이다. 2025년 말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2030년 완공 예정이다.

기업과 지원기관 대구시의 노력이 한데 모여 2025년 7월 29일 대구제2국가산업단지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2009년 대구국가산업단지 지정 후 16년 만의 일이다. 대구제2국가산단은 달성군 화원읍, 옥포읍 일대 255만㎡ 규모로 국비 1조8천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AI기반 미래모빌리티 및 첨단로봇 중심의 미래 스마트기술 거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16개 시·도 중에 가장 늦었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눈부신 성장을 하고 있는 대기만성형 산업단지 대구국가산업단지는 오늘보다 내일이 그리고 다가올 미래가 더 기대되는 산업단지이다.

* 출처 : (글, 사진) 한국산업단지공단

메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