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산업 전반
전산업 생산 | 광공업 | 서비스업 | 소매판매 | 설비투자 | 건설기성 | |
---|---|---|---|---|---|---|
‘23.6월(%) | 0.1 | ∆1.0 | 0.5 | 1.0 | 0.2 | ∆2.5 |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 5월 생산은 견조한 글로벌 수요와 내수 시장 확대로 전년동월비 18.5% 증가했습니다. 6월 내수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전 판매량 증가로 전년동월비 11.6%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6월 수출은 친환경 자동차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41.3% 증가했습니다. 완성차는 수출 단가가 높은 전기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 수출 증가와 EU 지역에서의 소비자 인지도 개선으로 인한 판매량 증가로 58.3% 증가했습니다.
조선
→ 높은 금리 환경, 무역분쟁 그리고 환경규제 등으로 해운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은 전년동기비 34.3% 감소한 1,781만 CGT를 기록하였으나, 선가지수는 171.3으로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5월 수입은 선박용 엔진과 선박용 부품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에도, 중국으로부터 선박 수입 감소가 기저효과로 작용하며 전년동월비 28.5% 감소했습니다. 6월 수출은 대량의 컨테이너선과 LPG운반선, 탱커선, 고가의 해양플랜트가 인도되며 98.6% 증가했습니다.
일반기계
→ 5월 생산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 심화로 전년동월비 6.8% 감소했습니다. 내수출하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설비투자와 국내 기계수주 역시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생산 위축 심화되고 있습니다. 5월 수입은 28억 3,6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1.0% 증가했습니다. 6월 수출은 중국을 제외한 대다수 권역에서의 수출 호조로 전년동월비 8.1% 증가했습니다.
철강
→ 5월 철강 생산은 건설산업 부진에 따른 봉형강류 수요 감소로 전년동월비 2.6% 감소했습니다. 5월 수입은 내수 부진과 수입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7.6% 감소했습니다. 6월 수출은 미국,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물량 확대로 전년동월비 3.1%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정유
→ 5월 생산 및 수출 물량은 확대되었으나 내수가 감소하며 재고 물량이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단가 하락 영향으로 인해 주요 수출지역인 미국 및 아세안 국가로의 수출이 전년동월비 크게 감소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
→ 5월 생산은 수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8.3% 감소하고, 출하도 5.9% 감소했습니다. 5월 수입은 스마트폰 및 부품 수입의 큰 폭 감소로 전년비 28.1% 감소했습니다. 2023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감소하나 하반기부터 수요가 회복되면서 2024년부터 점진적 회복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 5월 반도체 생산은 전년동월비 16.7% 감소, 출하도 -20.5%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생산 감소율은 축소 중입니다. 지난해 상반기 사상 최대의 수출 및 생산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 생산은 전년동월비 계속 감소 중이나, 그 폭은 축소되고 있으며 전기비 실적은 3월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조금씩 안정을 찾는 모양새입니다. 6월 수출액은 88억 9,6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28.0% 감소하였고 장기간의 증가세가 꺾인 이후 11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디스플레이
→ 5월 생산은 전자기기 수요 축소로 둔화를 지속했습니다. 6월 패널 수출은 대중국 수출 부진으로 11.1% 감소하였으며, 13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