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nvest KOREA

검색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맞춤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정보 검색 서비스 바로가기

산업동향

  • Home
  • 유망산업·입지
  • 최신 산업정보
  • 산업동향
[2024년 11월] 산업동향
작성일
2024.11.05

산업 전반

2024년 8월 산업활동은 광공업·소매판매 등이 반등하였으며 서비스업이 3개월 연속 상승하며 전산업 생산의 증가를 견인하였습니다.
8월 한국의 산업 활동
전산업 생산 광공업 서비스업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기성
‘24.8월(%) ∆1.2 ∆4.1 ∆0.2 ∆1.7 ▲5.4 ▲1.2
8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일시 조정된 자동차, 반도체 증가에 더해 다수 업종 생산이 증가하며 큰 폭 상승하였습니다. 서비스업은 하계휴가·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으로 연료, 숙박·음식, 여가소비 증가 등 3개월 연속 증가하였습니다. 소매판매는 준내구재(△0.9%) 감소에도 비내구재(2.7%)·내구재(1.2%) 판매 증가로 증가 전환하였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5.4%) 중심 전월 큰 폭 증가후 줄며 감소하였습니다. 건설기성은 토목(2.4%) 증가에도 건축(△2.4%)이 줄어들며 감소하였습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액 및 수입액 감소로 하락하였고,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장단기금리차·기계류내수찰하 등 감소로 하락했으나, 장기추세인 100을 지속 상회하였습니다.

우리 경제는 잠재되어 있는 리스크 요인에 지속 예의주시가 필요하겠습니다. 생산측면에서는 중동지역 분쟁 확산 우려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선거 및 경기 불확실성 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지출측면에서는 소상공인 애로, 가계부채·부동산PF 리스크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출처 : 기획재정부 (moef.go.kr)

산업별

자동차

‘전기차 감소세가 이어지며 2개월 연속 수출 감소’
→ 7월 수출은 하이브리드차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감소로 전년동월비 4.3% 감소하였습니다. 6월 수입은 소비심리 위축과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29.8% 감소하였습니다. 6월 내수는 대기 수요 증가와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17.7% 감소하였습니다. 6월 생산은 지속되는 내수 부진과 수출 감소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조선

‘수출은 인시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생산 증가세 지속’
→ 6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1.0% 증가하였지만, 수출이 감소하며 출하는 4.8% 감소하였습니다. 7월 수출은 기저효과와 출하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36.2% 감소하였습니다. 6월 수입은 중고선 유입 감소로 전년동월비 33.2% 감소하였습니다. 7월 수주는 주요 컨테이너 선사의 수익성 개선에 따른 대규모 컨테이너선 발주로 수주환경이 개선되었습니다.

일반기계

‘생산 감소세 지속, 수출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 증가로 전환’
→ 6월 생산은 내수출하 증가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세가 지속된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3.6% 감소하였습니다. 7월 수출은 대미 · 대중동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월비 12.5% 증가하였습니다. 6월 수입은 전방산업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감소세(-2.4%)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철강

‘수요 부진과 고로 개수 영향으로 생산 감소세 지속, 수출은 감소폭 둔화’
→ 6월 생산은 포항 4고로 개수에 따른 가동률 하락, 자동차, 건설 등 수요산업 경기 부진 및 수출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0.4% 감소하였습니다. 7월 수출은 미국, 아세안 등 주요 지역의 수요 개선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수출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5.4% 감소하였습니다. 6월 수입은 내수 부진에 따른 주요국으로부터의 수입물량 감소로 전년동월비 23.6% 감소하였습니다.

정유

‘수출, 단가 하락에도 불구 물량 확대로 전년동월비 16.7% 증가’
→ 6월 생산은 정제마진 개선 및 국내 정유사의 정기보수 완료로 5.7% 증가하였습니다. 7월 수출액은 5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물량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무선통신기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회복세가 본격화되며, 7월 수출 전년동월비 53.6% 증가’
→ 수출은 신제품 교체주기 도래 및 스마트폰 부품 단가 상승에 힘입어 2분기 이후 증가 추세입니다. 6월 생산은 전년동월비 9.9% 증가하고 출하는 0.1% 감소, 재고는 12.5% 증가하였으나 가동률은 11.7% 상승하였습니다. 6월 수입은 스마트폰 부품이 큰 폭 증가하였으나, 스마트폰이 급감하며 0.4% 감소하였습니다.

반도체

‘반도체 수출 호조세 지속’
→ 수출은 7월에 111억 9,7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50.4% 증가하였고 상반기에 전년동기비 52.2% 증가하였습니다. 6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173.9로 전년동월비 26.9% 상승하여 큰 폭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전월비는 8.1% 증가하여 지난달보다 증가폭이 확대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신제품 출시 효과 지속 가운데 전년 호실적으로 수출 증가폭 둔화’
→ 6월 생산은 신제품 출시 효과 지속, 신규 OLED 수요 발생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6.9%증가, 가동률은 8.1% 상승하였습니다. 7월 수출은 IT 신제품 출시 효과의 지속 및 올림픽에 의한 TV 패널 수출 확대로 전년동월비 2.4% 증가하였습니다.
* 수출은 직전 달, 생산은 전전 달 자료가 통계청 최신 자료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출처 : 산업연구원(kiet.re.kr)

메타정보